총 25개
-
빈센트 반 고흐의 <낡은 구두> 해석 논쟁에 관하여2025.05.161. 하이데거의 예술작품 해석 하이데거는 고흐의 <낡은 구두 한 켤레>를 통해 농촌 아낙네의 경건한 노동과 소박한 삶의 '존재의 참모습'이 드러난다고 해석하였다. 그는 예술의 본질을 '왜곡되고 은폐되었던 존재의 모습을 드러내는 진리'라고 보았다. 2. 사피로의 예술사적 해석 사피로는 <낡은 구두 한 켤레>의 구두 주인이 고흐이며, 해당 작품은 1886~1887년 파리에서 그려졌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구두를 통해 드러나는 존재가 도시를 배회하던 남자 화가의 세계라고 설명하였다. 3.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접근 데리다는 하이데거와 사피로...2025.05.16
-
나는 누구인가: 아리스토텔레스와 자아정체성2025.11.121. 존재론과 자아정체성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 등 고대 철학자들이 고민한 존재론의 문제를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합니다. 자아정체성은 전통사회에서는 고정되고 안정적이었으나, 현대사회의 빠른 변화에 따라 정체성도 함께 변화합니다. 따라서 '나'는 한 순간에 완전히 정의될 수 없으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형성되는 동적인 개념입니다. 2. 인간의 이성과 반성적 사유 인간은 단순히 환경에 구속되어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반성할 수 있는 이성적 존재입니다. 인간만이 자신에 대해 성찰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할...2025.11.12
-
장자철학의 핵심 개념과 영화 '나의 붉은 고래' 해석2025.11.131. 인뢰(人籟) 장자가 말하는 퉁소의 소리 중 인간의 법칙과 규율에 따라 나는 소리를 의미한다. 인간이 만들어낸 제도와 사물에 대해 자유롭지 못한 세속의 소리이며, 오직 인간만이 낼 수 있는 소리다. 인뢰를 통한 소통으로 사회를 구성하지만, 인간이 이를 자각해야 세상의 상대성과 가치의 덧없음을 깨달을 수 있다. 2. 천뢰(天籟) 개인과 자유에 대한 장자의 가장 큰 의미를 담은 개념으로, 외부 환경이 아닌 내적 고민과 선택을 통해 삶을 결정짓는 존재론적 소리를 의미한다. 개인의 가치와 자유를 존중하며 모든 만물이 공평하고 평등한 위...2025.11.13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서론 요약2025.11.151. 존재물음의 필연성과 구조 하이데거는 고대 형이상학에서 비롯된 잘못된 선입견들(존재가 가장 보편적 개념, 정의 불가능, 자명한 개념)을 비판하며 존재에 대한 물음을 새롭게 제기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존재는 존재자와 다른 차원의 개념이므로 새로운 방식의 정의가 요구되며, 일상적 존재 개념의 이해는 막연하고 모호한 '평균적 이해'일 뿐이다. 물음의 형식적 구조는 '물어지고 있는 것', '물음이 걸려 있는 것', '물음이 꾀하고 있는 것' 세 요소로 구성되며, 존재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존재자에게 그 자신을 규정하는 존재에 대해 묻는...2025.11.15
-
사르트르의 타자론과 수치의 문제2025.11.181. 사르트르의 유아론 사르트르의 현상학적 철학에서 유아론은 오직 자기 자신의 의식만이 존재한다는 주관적 관념론의 극단적 입장이다. 사르트르는 '몸은 의미 없는 물체'와 '의식은 생리학적 몸 뒤에 숨겨져 있다'는 두 전제를 받아들이면서도, 타자의 몸을 단순한 물체가 아닌 '심리물리적 대상'으로 지각한다. 이러한 유아론적 의식에서 출발하여 타자의 실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 사르트르 철학의 핵심이다. 2. 주체-타자의 존재론적 관계 사르트르는 나와 타자의 관계를 '두 신체화된 의식 간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한다. 객체-타자와 달리 주체...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