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다섯가지 관점의 성격 분석2025.01.191. 성향적 관점 성향적 관점은 개인행동을 분석할 때 개인 자체에 더 관심이 많은데 개인 특질, 생물학적인 특성에 기반을 두고 성격을 설명한다. 성격 5요인 모델을 바탕으로 한서진을 분석하면 한서진의 정서적 불안정성은 상당히 높은 편으로 볼 수 있다. 스트레스가 많고 안절부절못하는 행동이 종종 나타나며 딸인 예서의 서울의대에 집착하고 있는데 예서의 성적에 상당히 예민하게 반응하고 배우자의 혼외자인 강혜나를 집에 들이게 되면서 정서적 불안정성은 더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강혜나에게 손찌검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외향성 측면에서는...2025.01.19
-
성격 심리학의 정신역동적 관점 중 한 이론을 선택하여 주요개념을 정리하고, 선택한 이론에 대한 학습자 개인의 평가를 서술하시오.2025.01.141. 정신역동적 관점 중 융의 분석 심리학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은 스위스의 정신분석학자이자 분석심리학의 창시자이다. 융은 분석 심리학에서 성격은 후천적으로도 변할 수 있으며 자신의 미래의 목표와 열망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융은 리비도를 성적 에너지가 아닌 일반적인 생활에너지로 보았다. 인류의 역사를 통해 발달해 온 정신과 개인이 속한 문화적 영향을 바탕으로 형성된 타고난 정신적 소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집단적 무의식의 요소를 원형이라고 부르는데 원형에는 영웅, 부모, 죽음, 탄생과 부활, ...2025.01.14
-
(정신건강론) (1) 성격이론을 '정신역동적 관점', '행동주의적 관점', '인본주의적 관점', '특질적 관점2025.01.251. 정신역동적 관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성격이 원초아와 초자아, 자아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세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원초아는 충동을 즉각적으로 만족시키도록 하고 초자아는 절대적으로 올바른 것만을 주장하는데 자아는 이러한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들러는 소속감, 유대감 등과 같이 타고난 본성은 공동선을 위한 협동심을 발휘하게 한다고 보았다. 2. 행동주의적 관점 행동주의 관점에서는 관찰 가능한 행동을 연구해야 한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성격은 다양한 자극 상황에 따른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