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6개
-
쿠바 보건의료의 가능성과 한계2025.05.121. 쿠바 보건의료의 가능성 쿠바는 신자유주의 흐름 속에서도 무상의료정책을 유지하였으며, 1961년 피델 카스트로의 혁명정부로부터 시작된 무상의료정책은 당시 질병과 전염병으로 고통받던 국민들의 건강 지표를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쿠바의 의료 시스템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일차보건의료 체계로, 진료소-폴리클리닉-병원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진료소에 근무하는 가족주치의와 간호사는 지역 주민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예방의료를 중심으로 활동한다. 이를 통해 쿠바는 저개발 국가로서 선진국 이상의 국민 건강 수준을 달성할 수 있었다...2025.05.12
-
일차보건의료를 통한 노인 당뇨병 및 우울증 관리 사례연구2025.11.121. 당뇨병의 역학 및 관리 우리나라는 30세 이상 성인 7명 중 1명(14.4%), 65세 이상 성인의 경우 10명 중 3명(30%)이 당뇨병을 진단받는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급격하게 높아지며, 70세 미만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유병률을 보이나 70세 이상에서는 여성이 더 높다. 당뇨병 관리 현황을 보면 당뇨병을 가진 성인 10명 중 5명만이 질병을 인지하고 있으며, 치료를 받는 경우는 절반을 조금 넘고, 4명 중 1명만이 조절되는 상태이다. 당뇨병 환자의 약 15%가 발 궤양을 경험하며, 그 중 1~3%가 다리 일...2025.11.12
-
지역사회 간호학 실습보고서: 함안보건소 사업 분석2025.11.141. 지역사회 건강사정 및 보건소 기능 함안보건소는 1963년 설치되어 지역보건의료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운영 중입니다. 보건행정과와 건강증진과로 구성되며, 건강친화적 지역사회 조성, 보건의료정책 기획, 질병예방관리, 모자보건, 취약계층 건강증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함안군은 2개 읍 8개 면으로 구성되며 총인구 65,700명(2019년 기준)으로 노령화지수 223.61%로 고령사회입니다. 2. 만성질환 관리 및 건강지표 분석 함안군의 비만유병률은 36.2%(2019년)로 전국평균 33.8...2025.11.14
-
치매 A+ 케이스 및 간호진단 보고서2025.11.141. 치매의 정의 및 특성 치매는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에게 후천적이고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 장애가 나타나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상태입니다. 건망증과 달리 경험한 일의 전부를 잊으며, 시간이 지난 후에도 기억하지 못합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가 전체 치매의 약 70%를 차지하며,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 질환에 의해 발생합니다. 조기 진단과 약물 치료, 인지재활치료 등이 중요합니다. 2. 치매 예방 및 관리 방법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손과 입을 바쁘게 움직이고, 활발한 두뇌활동을 유지하...2025.11.14
-
지역사회보건간호의 역사 및 발전2025.11.161. 외국 지역사회보건간호의 역사 고대부터 근대까지 지역사회보건간호의 발전 과정을 추적한다. 고대 이집트와 로마에서 위생체계와 보건규정이 확립되었고, 기독교 시대에 여집사 푀베가 최초의 방문간호사가 되었다. 중세에는 수도원 중심의 간호가 제공되었으며, 페스트 유행 시 격리소 설치 등 현대적 방법이 시행되었다. 나이팅게일은 영국 방문간호사업 발전에 기여했고, 미국에서는 릴리안 왈드가 Henry Street Settlement Project를 통해 체계적인 방문간호사업을 전개했다. 2. 나이팅게일과 근대간호의 발전 나이팅게일은 카이저스...2025.11.16
-
지역사회간호학실습: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2025.11.171. 보건지소의 기능과 역할 보건지소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치과위생사 등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진료, 행정, 예방사업을 수행한다. 업무는 진료, 예방, 행정으로 구분되며, 최근 만성질환자 및 노인건강사업 등 통합보건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농촌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보건복지연계사업 구축이 필요해졌다. 2. 도시보건지소 및 건강생활지원센터 2007년부터 도시지역 저소득층, 거동불편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보건의료 접근성 제고를 위해 도시보건지소 확충사업을 실시했다. 2013년부터는 건강생활지원센터 확충사업으로 전환...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