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3개
-
울혈성 심부전 관련 약물과 환자 교육 보고서(수정)2025.01.241. 심부전(Heart Failure)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문제가 발생하여, 심장의 이완 및 수축 기능이 저하되고, 그 결과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관상동맥질환, 심근염, 고혈압, 판막질환 등이 있으며, 과도한 음주와 스트레스도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전신 피로감, 소변량 감소, 체중 증가, 부종 등이 있다. 2. ACE 억제제(ACE Inhibitors) ACE 억제제는 안지오텐신 II의 생성을 억제하여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압...2025.01.24
-
만성 신부전 환자의 체액과다와 피부 손상 관리2025.05.081. 만성 신부전의 병태생리 당뇨병으로 인한 혈액 점도 상승으로 신장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신장 기능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체액과다와 부종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신기능 저하로 인해 적혈구 생성 감소, 단백질 배출 증가, BUN 및 크레아티닌 수치 상승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 만성 신부전의 진단검사 신장 스캔 검사를 통해 양쪽 신장의 관류와 배출 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구체 여과율이 15ml/min 이하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장의 99mTc-DMSA 흡수가 저하되어 있음을 확인할 ...2025.05.08
-
실제 임상에서 사용하는 중요 기본 약물2025.01.131. 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인 morphine과 pethidine은 중추신경 억제로 인해 호흡 저하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morphine은 po, sc, iv 투여가 가능하며, pethidine은 sc or im, iv 투여 시 천천히 주입해야 합니다. 2. 진정제 진정제인 midazolam은 수술이나 처치 전, 수면 장애 시 효과적이지만 빠르게 iv 주입하거나 과량 투여 시 호흡 억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진통 및 해열제 진통 및 해열제인 propacetamol은 ...2025.01.13
-
DI, SIADH2025.04.281. 항이뇨 호르몬 항이뇨 호르몬(Antidiuretic hormone;ADH)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어 신장의 집합관에 작용하여 수분의 투과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원위 신장 단위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시켜 요 농축을 가능하게 한다. 요붕증(diabetes insipidus, DI)은 이러한 원위 신장단위의 수분 재흡수 장애 시 발생한다. 중추성 요붕증은 AVP분비 결핍으로, 신요붕증은 AVP에 대한 원위 신장단위의 반응이 없거나 감소하여 발생한다. 2. 요붕증의 원인 중추성 요붕증의 원인으로는 시상하부절제와 같은 뇌수술...2025.04.28
-
고칼륨혈증 간호2025.01.221. 고칼륨혈증 고칼륨혈증이 심해질수록 T파가 뾰족해지고 정점을 찍으며 P파가 소실되는 특징적인 심전도 소견을 보인다. 치료방법으로는 칼륨 섭취를 제한하고 이뇨제 투여, 인슐린 주사 등의 방법이 있다. 음식으로는 토마토, 시금치, 당근, 바나나, 오렌지, 키위, 붉은 육류 등 칼륨 함량이 높은 식품을 피하도록 설명한다. 1. 고칼륨혈증 고칼륨혈증은 혈액 내 칼륨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신장 기능 저하, 약물 부작용, 과도한 칼륨 섭취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칼륨혈증은 심각한 경우 심장 리...2025.01.22
-
성인간호학 고혈압 약물 총정리2025.05.091. 이뇨제 이뇨제 약물의 작용 기전과 간호 시 고려할 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티아지드계, 루프형, 칼륨보존 이뇨제, 알도스테론 수용체 차단제, 레닌 억제제 등 다양한 이뇨제 약물의 특성과 주의사항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2. 칼슘통로 차단제(CCB) 칼슘통로 차단제의 작용 기전과 간호 시 고려할 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이하이드로피리딘계와 비다이하이드로피리딘계 CCB의 특성과 주의사항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3. RAAS 억제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의 작용 기전과 간호 시 ...2025.05.09
-
TTN2025.05.11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하고 경한 질환으로, 주로 만삭아 또는 막삭에 가까운 큰 미숙아에게 나타나며 빈호흡, 경한 흉골 함몰, 경한 청색증, 산소요구량이 Fio2 0.4 이하로 필요한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 1~3일 이내에 흉부 X-선 소견이 호전되고 1주 이내에 임상적으로 호전된다. 원인은 출생 시 폐액의 흡수 지연 때문이다. 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신생아기에 흔히 나타나는 호흡 패턴의 하나로, 일시적이고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이는 신생아의 호흡 조절 기능이 아직 ...2025.05.11
-
저나트륨혈증 간호과정2025.01.031. 저나트륨혈증 저나트륨혈증은 혈액 내 나트륨 농도가 낮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신장 기능 저하, 과도한 수분 섭취, 이뇨제 사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손가락 구부러짐 어려움, 부종, 체중 증가 등이 있습니다. 간호 중재로는 수분 섭취 제한, 이뇨제 투여, 부종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2. 호흡 곤란 대상자는 숨가쁨과 호흡 곤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는 저나트륨혈증으로 인한 체액 과다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간호 중재로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반좌위 자세 취하기, 심호흡 교육 등이 필요합니다. 이...2025.01.03
-
심장내과 약물 사용2025.01.051. 항혈소판제 혈액 중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로, 주로 동맥에 작용합니다. P2Y12 억제제로는 Clopidogrel, Ticlopidine, Prasugrel, Ticagrelor 등이 있으며, 기타 항혈소판제로는 Cilostazol, Triflusa, Sarpogrelate 등이 있습니다. 2. 항응고제 응고인자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섬유성 형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DOAC(CHA2DS2-VASc score 2점 이상)로는 Argatroban, Bivalirudin, Lepirudin, Riva...2025.01.05
-
만니톨 논문리뷰보고서2025.01.171. 만니톨 만니톨은 BBB를 가로질러 직접적인 삼투성 이뇨제로 삼투압 기울기를 만들어 뇌척수액과 수분을 감소시킨다. 이는 뇌혈관 수축과 두개내압 하강을 이끌어낼 뿐만 아니라 혈액의 점도를 낮추어 뇌혈류량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킨다. 만니톨의 효과는 투여 후 15~30분 이내에 다소 빠르게 발생하며 1.5~6시간 동안 지속된다. 만니톨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체중 kg당 0.5~15g (최대 2kg)이다. 만니톨은 저온에서 결정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의료진들은 용액에 이물질이 없는지 검사해야 하며 결정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투여하지 말거나...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