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정상 심전도(EKG) 요약보고서2025.11.131. 심전도(EKG)의 정의 및 임상적 의의 심전도(EKG 또는 EC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상태를 그래프상에 나타낸 검사 방법이다. 심장병의 진단에 필수적이며, 특히 심박동이 불규칙한 심장 부정맥의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장의 전기적 신호를 기록하여 심장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2. 심전도의 주요 파형(P파, QRS군, T파, U파) 정상 심전도는 여러 특징적인 파형으로 구성된다. P파는 심방의 탈분극 시 나타나며 2~3mm 높이, 0.06~0.12초 지속된다. QRS군은 심실의 탈분극으로 발생하며 Q파, R...2025.11.13
-
의학용어 및 약어 정리2025.11.141. 처방 관련 약어 의료 처방에서 사용되는 약어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투여 빈도를 나타내는 q.d(매일), b.i.d(하루 두 번), t.i.d(하루 세 번), q.i.d(하루 네 번) 등과 투여 경로를 나타내는 I.M(근육주사), I.V(정맥주사), S.C(피하주사), P.O(경구)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식사와 관련된 p.c(식후), a.c(식전), 투여 시간 간격 q1h, q2h, q4h, q6h, q8h와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stat(즉시), ASAP(될수록 빨리), p.r.n(필요시) 등이 있습니다. 2. 검사 관련 ...2025.11.14
-
동물생리학 레포트 - 부정맥의 종류와 치료2025.11.161. 심장의 박동 및 전기전달체계 심장은 펌프 작용을 하며 주기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한다. 동방결절에서 시작된 흥분은 심방근을 거쳐 방실결절과 속가지를 통해 심실근에 전달된다. 심장박동은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받으며, 교감신경은 박동수를 증가시키고 부교감신경은 감소시킨다. 정상적인 안정 상태의 박동수는 분당 60~100회이다. 2. 부정맥의 정의 및 검사방법 부정맥은 심장에서 전기 자극이 제대로 만들어지거나 전달되지 않아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이다. 검사방법으로는 심전도 검사, 24시간 심전도 ...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