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개
-
조선시기의 역사서2025.01.121. 동국사략 동국사략은 조선 전기에 이전 시대의 역사를 정리하고 통치 이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나온 관찬 사서입니다. 태종 시기에 하윤을 비롯하여 권근, 이첨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고, 편찬을 시작한 이듬해에 완성하였습니다. 동국사략은 성리학적 기준에 의한 편년체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사건의 경중에 따라 기록 형식을 달리하는 강목체(綱目體)를 첨가하였습니다. 동국사략에서는 단군조선부터 삼한까지는 '외기(外紀)'로 간략히 처리하고, 삼국을 중심으로 서술하였기 때문에 삼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 2. 고려사절요와 동국통감 고려사절요...2025.01.12
-
우리나라의 주요 역사서2025.01.131.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한반도의 삼국 시대인 고구려, 백제, 신라의 역사를 기록한 한국의 역사서입니다. 이 책은 당시의 사료와 기록을 기반으로 편찬되었으며, 그 신빙성과 역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삼국사기는 삼국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2.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려시대에 쓰여진 삼국 시대의 역사와 전설을 담은 책입니다. 이 책은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삼국 시대 역사와 함께 전설과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어, 삼국 시대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2025.01.13
-
동국사략의 종류2025.05.041. 동국사략의 종류 고려시대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동국사략에는 조선 태종때 편찬된 동국사략, 박상이 지은 동국사략, 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이 있습니다. 이외에 조선전기에 유희령이 지은 동국사략과 민제인이 지은 동국사략도 있습니다. 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은 근대에 역사 교과서로 많이 활용되었고, 유희령이 지은 동국사략은 표제음주동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 2.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 조선 태종의 명에 따라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은 우리나라 최초의 통사라고도 할 수 있는데, 단군 때부터 고려 말기까지의 사실을 ...2025.05.04
-
기전체 역사서2025.01.181. 기전체 역사서 기전체(紀傳體)는 중국의 전통 역사서 편찬 방식 중 하나로, 사마천의 사기(史記)에서 처음 체계화되었습니다. 기전체는 '본기(本紀)'와 '열전(列傳)'을 중심으로 하여 역사적 사건과 인물의 전기를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이 체계는 이후 중국의 역사서 편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후대 역사서들이 이를 따랐습니다. 2. 기전체 역사서의 구성 요소 기전체 역사서의 주요 구성 요소는 본기, 세가, 열전, 표, 서입니다. 본기는 제왕과 중요한 통치자의 행적을, 세가는 제후국의 역사와 제후의 행적을, 열전은 유명한 인물...2025.01.18
-
고려시대의 농업서와 역사서2025.01.211. 고려시대 농업서 고려시대에는 농업에 대한 서적이 많이 남아 있지 않지만, 중국에서 도입된 농업서적들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대표적인 농업서로는 농상집요와 사시찬요가 있습니다. 농상집요는 고려 후기 이암이 저술한 것으로, 원나라의 농업 기술과 정보를 집대성하여 고려의 농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사시찬요는 고려 중기인 12세기에 편찬된 농서로, 사계절에 맞춘 농업 활동을 정리하였습니다. 2. 고려시대 역사서 고려시대의 주요 역사서로는 7대왕조실록, 사략, 해동고승전, 삼국유사, 제왕운기 등이 있습니다. 사략은 고려 말 성...2025.01.21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2025.05.121. 조선시대 관찬 역사서 조선시대에 편찬된 관찬 역사서에는 동국통감, 고려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가 있습니다. 고려국사는 조선 태조 시기에 정도전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역사서로,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을 합리화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고려사는 세종 시기에 편찬된 기전체 역사서이며, 고려사절요는 고려사를 편년체 형식으로 다시 편집한 것입니다. 2. 고려사 고려사는 정인지 등이 조선 문종 원년에 간행한 역사서입니다. 고려사는 기전체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 46권, 지 39권, 표 2권, 열전 50권 등 총 139권으로...2025.05.12
-
한국의 고전문학사와 관련된 작가, 작품 등에 대한 연구2025.01.211.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려 후기의 승려 일연이 저술한 책으로, 삼국시대의 역사적 사실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전문학, 즉 전설, 민담, 신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한국 고대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삼국유사는 단순한 역사서 이상의 가치를 지니며, 한국의 고대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비교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는 모두 삼국시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지만, 그 내용과 성격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삼국사기는 주로 정치적 사건과 왕조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인 반...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