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8개
-
관용표현과 속담 교수 방안2025.04.301. 한국어 관용표현의 개념 및 특징 관용표현은 오랜 기간에 걸쳐 언중들에 의하여 습관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표현이다. 둘 이상의 단어 등이 결합한 구 또는 절로서 이루어지며 기본적인 구성 요소와 다른 의미를 갖는 제3의 의미를 갖는다. 한국어 관용표현의 특징으로는 비합성적, 투명성의 정도, 표현의 효과 등이 있다. 2. 관용표현 '그림의 떡'에 대한 교수 방안 관용표현 '그림의 떡'을 중급 학습자에게 가르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제시 단계에서는 관용표현에 대해 설명하고 관련 질문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한다. 설명 단계...2025.04.30
-
한국어 다층적 의미장의 예2025.01.031. 다층적 의미장의 개념 및 의의 다층적 의미장은 어휘들 간 관련성을 비교, 검토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의 사전적 지식을 이끌어 내 새로운 지식과 만나는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개념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의미장을 활용한 교수법은 어휘 간 관련성을 장조하며 어휘를 인지구조 내 정보와 연관시켜 교육하기 때문에 어휘 기억 측면에서 우수하고 유의미 학습으로서의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2. 한국어 다층적 의미장 사례 한국어 단어 '죽음'의 다층적 의미장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어휘의 특성을 반영한 다층적 의미장의 ...2025.01.03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개론 - 어휘 교수법 정리2025.05.051.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필요성과 유의점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필요성은 문법 없이는 의미 전달이 거의 되지 않지만, 어휘가 없으면 의미 전달이 전혀 되지 않는다는 점, 언어 교육의 시작이자 마지막이 어휘 교육이라는 점,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휘 학습이 가장 큰 부담이라는 점, 어휘가 언어 기술 중 하나이며 의사소통에 필요하다는 점, 어휘 학습을 통해 목표어 문화 이해와 새로운 개념 형성에 도움을 준다는 점 등이다. 유의점으로는 대조적 관점 고려, 문법 범주와 관련된 어휘 표현 및 학습자의 목표 어휘 변별 필요, 어휘 학습 전략 활용, ...2025.05.05
-
한국어 어휘의 의미2025.05.101. 의미장과 어휘장 의미장은 특정한 의미를 기준으로 삼아 그 의미에 있어서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단어들의 집합을 말한다. 예로는 기후 : 춥다, 차다, 덥다, 썰렁하다, 따스하다 / 맛 : 짜다, 달다, 달짝지근하다, 시다, 시큰하다, 새콤하다 등이 있다. 어휘장은 한 단어의 주위에 그 단어와 개념적으로 연관이 있는 단어들이 있는데, 그 단어들은 상호 개념적으로 친족관계에 있는 개념적 친족들이고 이 어휘들이 외적인 구체적 구현을 말한다. 즉, 의미장은 여러 단어들의 의미 관계가 조직된 추상적 공간을 말하며 어휘장은 이러한 추상...2025.05.10
-
[한국어교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 과제_파생어의 개념과 유형 등 정리 및 파생어휘 1개를 선택하여 어휘의미 추측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 절차 제시2025.01.171. 파생어의 개념 파생어란 실질 형태소(어근)의 앞이나 뒤에 파생접사가 결합해 하나의 단어가 된 것을 의미한다. 어근은 중심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접사는 어근의 뜻을 더하거나 한정해주는 주변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파생어는 접사가 붙는 위치에 따라 접두파생어와 접미파생어로 나눈다. 2. 파생어의 유형 파생어의 일반적 유형으로는 접사에 의한 파생, 영변화 파생, 내적 변화에 의한 파생이 있다. 접사에 의한 파생은 다시 접두사에 의한 파생과 접미사에 의한 파생으로 나눌 수 있다. 접두사에 의한 파생은 대체로 어근의 원래 성격(=품사)을...2025.01.17
-
언어지도 접근방법 중 문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사례2025.01.141. 문화적 접근법을 통한 어휘 교육 문화적 배경을 소개함으로써 어휘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언어 학습에서 어휘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적 맥락에서 의미를 갖기 때문에, 해당 언어와 관련된 문화적 요소를 함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어휘의 의미와 사용 상황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다. 2. 문화적 행사 참여를 통한 실용적 언어 활용 문화적 행사에 참여하여 언어를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언어 학습에 매우 효과적이다. 학습자가 직접 문화 행사에 참여하거나 관련 활동을 체험함으로써, 언어를 자...2025.01.14
-
한국어의미론-다의어와 동음어가 신문, 방송, 광고, 간판 등에 활용된 예를 찾고 해당 단어의 의미를 표준국어대사전과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 찾아 비교 분석하시오.2025.01.201. 다의어 다의어는 하나의 낱말이 두 개 이상의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다의어의 생성 요인에는 적용의 전이, 사회 환경의 특수화, 비유적 의미 획득, 동음어의 재해석, 외국어의 영향 등이 있다. 다의어가 활용된 예로는 '길에서 잠들면 영원히 잠들 수 있습니다'와 '하나도 모르겠다면 하나만 기억하세요'가 있다. 2. 동음어 동음어는 음성형태는 동일하나 의미가 다른 두 개 이상의 단어를 일컫는다. 동음어의 생성 원인에는 언어의 이원성과 음운 목록의 한계, 음운의 변화, 의미의 변화, 외래어의 영향 등이 있다. 동음어가 활용된 예로는 ...2025.01.20
-
외국어로서 한국어 어휘 교육론 -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2025.01.221.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 한국어교육에서 어휘의 종류에는 이해 어휘와 표현 어휘, 일차 어휘와 이차 어휘, 기초 어휘와 기본 어휘, 일반의 학습 어휘와 특수 목적의 어휘 등이 있다. 한국어교육에서는 어휘의 형태와 소리뿐만 아니라 의미, 즉 내용을 구성하는 의미에 대한 교육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물론 개인 학습자의 문화권과 언어 의식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강의에서는 다의어와 응결성 장치를 예시로 들어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를 요약하였다. 1. 한국...2025.01.2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한국어 동의어와 반어의 목록한국어교육에서 효과적으로 교수2025.01.111. 한국어 동의어와 반의어 목록 작성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동의어와 반의어의 교수-학습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동의어는 '음운적으로 서로 다른 단어가 동일하거나 매우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며, 반의어는 '서로 반대되거나 대립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동의어와 반의어를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2. 한국어교육에서 동의어와 반의어 교수-학습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초급과 중급 수준의 외국인 학습자들...2025.01.11
-
동사 '보다'의 다층적 의미장 분석2025.05.151. 의미장 이론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어휘 학습이 가장 중요하며, 어휘 간의 의미 관계를 분석하는 '의미장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의미장 이론은 어휘들이 개념적으로 연관된 집단을 의미장으로 보고, 이를 통해 어휘 의미 관계를 연구할 수 있다. 2. 동사 '보다'의 다의성 동사 '보다'는 단순히 '눈으로 대상을 알다'의 의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명사와 결합하면서 다층적인 의미를 갖게 된다. 이를 Porzig의 '통합적 장 이론'으로 분석하여 동사 '보다'를 중심으로 한 명사 간 통합 관계의 의미장을 구성하였다. 3. 다층적 ...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