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어린이집 실내 복도의 안전관리2025.01.041. 분전반 관리 분전반 내부나 외부에 불필요한 물건이 적재 혹은 방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그를 즉시 치울 수 있어야 한다. 분전반 내부에는 차단기나 전선이 충전부와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 감전의 우려가 있으므로, 영유아들이 접촉할 수 없도록 하고 분전반 전면에 전기위험 표시판을 부착해야 한다. 또한 분전반 내부 외함 접지공사 시공에 대한 여부도 반드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영유아의 머리 높이에 손잡이가 있어서 돌출될 경우 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안전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2. 인테리어 방염 관리 어린이집 복...2025.01.04
-
영유아발달-안전교육 중요성2025.01.201. 영유아 안전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영유아 안전교육은 영유아가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위험 상황을 예측하고 예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전교육의 중요성은 영유아의 생명 보호, 안전한 환경 조성, 사고 예방, 자기 보호 능력 향상 등이다. 2. 영유아 안전사고 사례 최근의 영유아 안전사고 사례로는 밥솥 증기 화상 사고와 가습기 화상 사고가 있다. 이는 주방에서의 안전교육 부족, 보호자의 부주의, 가습기 설치 위치의 부적절함, 영유아의 호기심에 대한 방치 등이 원인이었다. ...2025.01.20
-
어린이집에서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개인적, 기관적 차원의 방법2025.01.201. 개인적 차원의 예방 방법 교사와 부모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 개인의 감정 관리 및 스트레스 해소가 중요하다. 교사와 부모는 아동학대의 징후를 조기에 인식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잘 관리하여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기관적 차원의 예방 방법 어린이집은 교사 채용 시 엄격한 배경 조사를 실시하고, 정기적인 감독 및 평가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아동학대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교사와 직원, 학부모의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3. 제도적 지원과 법적 ...2025.01.20
-
어린이집 실내영역별 안전사고 예방 및 대응2025.01.291. 놀이 공간 안전사고 놀이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안전사고는 미끄러운 바닥에서 넘어지는 사고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직원은 바닥의 청결 유지, 미끄럼 방지 매트 설치, 놀이 기구 정기 점검 등의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유아들에게 올바른 놀이 방법과 안전 수칙을 교육하여 스스로 안전을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2. 식사 공간 안전사고 식사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안전사고는 음식물 질식 사고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직원은 유아들의 식사 시 지속적인 감독, 음식물의...2025.01.29
-
어린이집 감염병 및 약물 오남용 예방 교육2025.01.051. 감염병 및 약물 오남용 예방 어린이집에서는 감염병 및 약물 오남용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고, 맛있는 냄새가 나는 물건이라도 먹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또한 손을 꼭꼭 씻는 습관을 기르고, 친구의 약을 먹으면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약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양만 먹어야 하며, 옛날에 먹던 약은 절대 먹으면 안 된다고 교육합니다. 마지막으로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1. 감염병 및 약물 오남용 예방 감염병 및 약물 오남용 예방은 매우 ...2025.01.05
-
어린이집 실내에 위치한 복도의 안전 관리2025.04.271. 어린이집 실내 복도 안전 관리 어린이집 실내에 위치한 복도의 안전 관리는 크게 분전반 관리, 인테리어(합판 등) 방염 관리, 피난 유도등 및 비상 대피도 관리, 소화 설비 (소화기, 스프링클러)로 나눌 수 있다. 분전반 관리에서는 불필요한 물건 적재 금지, 감전 위험 방지, 돌출 방지 등이 필요하다. 인테리어 자재는 방염 처리가 되어야 하며, 피난 유도등과 비상 대피도는 항상 관리되어야 한다. 소화 설비인 소화기와 스프링클러 시설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해야 한다. 1. 어린이집 실내 복도 안전 관리 어린이집 실내 복도 안전...2025.04.27
-
어린이집 실내에 위치한 복도의 안전관리2025.01.231. 어린이집 실내 복도 안전관리 어린이집 실내에 위치한 복도의 안전관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복도에 분전반, 인테리어 방염, 피난유도등 등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과 계단 단 높이, 너비 기준 등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화재예방을 위한 소화기구, 자동화재탐지 설비 등을 설치하고 바닥재료 선정에 유의해야 한다. 교사의 안전교육과 체크리스트 활용을 통해 실내 복도의 안전관리를 체계화해야 한다. 1. 어린이집 실내 복도 안전관리 어린이집 실내 복도의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어린이들의 안전은 최우선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복...2025.01.23
-
영유아 연령별 발달특징과 가정 및 어린이집에서의 안전사고 예방2025.01.151. 영유아 발달 특징 영유아는 연령에 따라 다양한 발달 특징을 보인다. 1-3개월 영아는 주로 누워서 생활하며, 4-6개월 영아는 뒤집기와 탐구 능력이 향상된다. 7-9개월 영아는 기고 일어서는 등 활동적이고 탐구적인 시기이며, 10-12개월 영아는 걷기 시작한다. 13-18개월 영아는 더욱 활발해지고 19-24개월 영아는 움직임이 많아진다. 25-36개월 영아는 호기심이 많고 4세는 균형이 잡히며 5세는 모험을 즐기는 시기이다. 2. 연령별 안전사고 유형 영유아 연령별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유형은 다음과 같다. 1-3개월 ...2025.01.15
-
어린이집 실내 및 실외 안전점검과 안전관리 방법2025.05.071.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에는 복도 내 분전반 관리, 복도 내 인테리어 방염관리, 복도 내 피난 유도등 및 피난안내도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분전반 관리 시 불필요한 물건 정리, 감전 위험 방지, 돌출부 안전장치 설치 등이 필요합니다. 복도 내 인테리어는 방염처리된 제품을 사용해야 하며, 피난 유도등과 피난안내도를 적절히 설치해야 합니다. 2. 어린이집 실외 안전점검 어린이집 실외 안전점검에는 모래 관리, 실외 놀이시설물 고정 및 안전검사, 날카로운 부분 제거, 돌출부 관리, 시설물 간격 유지 등이 포함됩니...2025.05.07
-
어린이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 흡입이나 삼킴 사고에 대한 대응2025.01.041. 이물질 흡입 및 삼킴 사고 사례 어린이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 흡입이나 삼킴 사고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습니다. 플라스틱 장난감, 작은 자석, 음식 조각 등이 유아들에 의해 삼켜지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심각한 결과가 초래되었습니다. 2. 사고 발생 원인 및 대처 방안 이물질 흡입 및 삼킴 사고의 원인으로는 유아의 호기심, 위험한 물건의 접근성, 부적절한 음식 크기 등이 지적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는 안전한 장난감 및 재료 사용, 선생님의 철저한 감독, 응급처치 교육 실시, 신속한 응급 의료체계 구...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