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개
-
성찬 예식을 위한 기도2025.01.121. 성찬 예식 성찬 예식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기념하는 중요한 기독교 의식입니다. 이 기도문은 성찬 예식을 준비하고 참여하는 성도들을 위해 드려지는 기도로,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과 그 의미를 되새기며 성도들이 주님의 살과 피를 간직하고 감격하도록 기원하고 있습니다. 1. 성찬 예식 성찬 예식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적인 의식 중 하나입니다. 이 예식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을 기념하고, 그분의 몸과 피를 상징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신자들이 그리스도와 연합하게 됩니다. 성찬 예식은 신자들에게 구원의 은혜를 경험하게...2025.01.12
-
신약성경의 기질(器質) 성화와 십자가의 처리2025.11.141. 기질(器質)의 정의와 성격·행위와의 구분 기질은 사람의 구조의 가장 내적 측면으로 우리 존재의 뿌리 자체이며, 타고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천연적인 어떠함이다. 성격은 기질과 관습과 버릇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행위는 외적 표현이다. 주 예수님은 행위에는 별로 주의하지 않으시고, 성격에는 보다 주의하시며, 기질에는 대단히 주의하신다. 기질은 전적으로 내적인 것이고, 성격은 부분적으로 내적이고 부분적으로 외적이며, 행위는 전부 외적이다. 2.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과 신약의 인물들 히포크라테스는 BC 400년경 인간의 기질을 다혈질...2025.11.14
-
갈라디아서 6장 11-18절 설교2025.11.141. 십자가의 의미와 자랑 바울은 갈라디아서 6장 14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자랑할 것이 없다고 선언합니다. 십자가는 유대인들에게는 거리끼는 것이고 이방인들에게는 미련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능력과 지혜입니다. 자신을 자랑하는 곳에서 십자가는 무의미해지며, 십자가를 자랑하는 곳에서 자신은 죽게 됩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믿는 사람이 하나님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은혜와 축복을 받는다는 것을 보증합니다. 2. 율법주의자들의 거짓 교리 비판 갈라디아서 6장 12-13절에서 바울은 할례를 강요하는...2025.11.14
-
마태복음 14-17장: 메시아 사역과 십자가의 길2025.11.151. 오병이어의 기적과 메시아적 잔치 오병이어의 기적은 네 복음서 모두에 기록된 유일한 기적으로, 예수님의 메시아적 정체성을 보여줍니다. 구약의 엘리사의 기적과 출애굽 시 만나 사건을 배경으로, 예수님은 남자만 오천 명, 여자와 아이들까지 합쳐 이만 명 이상을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배불리 먹이고 열두 바구니를 남겼습니다. 이는 천국잔치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며, 메시아의 잔치가 예수님의 사역 가운데 이미 벌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교회의 기초 마태복음 16장 13-20절에서 베드로는 '주는 그리스...2025.11.15
-
마태복음 26-28장: 예수의 죽음과 부활2025.11.151. 성만찬의 제정 예수님은 유월절 식사 중에 빵과 포도주의 의미를 설명하며 성만찬을 제정하셨습니다. 빵은 예수의 몸을 상징하고, 포도주는 죄 사함을 위해 흘리는 피를 의미합니다. 이는 구약의 유월절 양의 희생과 새 언약을 성취하는 사건으로, 제자들이 예수의 구속적 죽음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 효력을 누리게 됩니다. 성만찬은 교회가 시행하는 의식이며 메시아적 잔치를 의미합니다. 2. 제자들의 실패와 회복 예수님은 제자들이 자신의 고난과 죽음으로 인해 실족할 것을 예고하셨습니다. 베드로를 포함한 제자들은 자신감만 있었고 기도로 준비하지...2025.11.15
-
히브리서 9장 1-10절: 옛 언약과 새 언약의 의미2025.11.161. 성소와 성막의 구조 및 의미 히브리서 9장 1-5절에서 설명하는 성소는 첫 장막(성소)과 둘째 휘장 뒤의 지성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소에는 등잔대, 상, 진설병이 있고, 지성소에는 금 향로, 언약궤, 만나를 담은 금 항아리, 아론의 싹난 지팡이, 언약의 돌판이 있습니다. 이러한 성소는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내는 증거이자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백성임을 보여주는 표지판입니다. 성막과 그 안의 모든 의식의 핵심은 노동이 아니라 하나님과 백성 간의 교제와 관계 맺음입니다. 2. 대제사장의 역할과 제사 제도의 한계 히브리서 9장 6-7...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