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8개
-
수술실 case study -갑상선절제술2025.01.111. 갑상선암 갑상선암은 전체암의 1% 정도로 흔한 질환은 아니나 성인의 약 5%에서 갑상선 결절이 발생하며 부검이나 초음파 검사상으로는 40% 내외의 정상 성인에서 결절이 발견된다. 특징적으로 여자에서 4배정도 많이 발생한다. 다른 부위의 암과는 달리 적절하게 치료하면 거의 정상 수명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경과와 예후가 좋다. 2. 갑상선 해부생리 갑상선은 목의 앞 부분에 어른의 엄지 손가락만한 크기로 좌우에 하나씩 있고 좌우 갑상선은 엷은 띠로 연결되어 있어 일견 나비모양이라고 하고 우엽과 좌엽의 중간부는 좁게되어 협부라고 ...2025.01.11
-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C/S) 문헌고찰2025.04.261. 둔위(breech presentation) 둔위는 태아의 둔부가 자궁경부를 효과적으로 개대시키지 못하여 난산의 흔한 원인이 되며 제왕절개의 적응증이 된다. 둔위는 산부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증가시키며, 태아의 둔부가 골반강내에 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양막이 조기파열될 수 있고 제대탈출 혹은 감염의 위험이 증가된다. 또한 둔위는 태아의 둔부가 아두만큼 경관을 효과적으로 개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분만이 지연되고 비효율적이다. 둔위분만을 예방하기 위해 임신 32주나 36주경에 두위 바깥태아머리회전(ecxternal cephali...2025.04.26
-
수술실케이스, OR케이스, 급성담낭염케이스(간호진단2, 과정2, 각 간호사 역할, 문헌고찰)2025.04.271. 급성 담낭염 급성 담낭염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담낭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오른쪽 윗배의 압통, 오심, 구토, 발열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와 영상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는 금식, 항생제 투여, 수액 보충 등의 내과적 치료와 담낭절제술이 있습니다. 2. 복강경 담낭절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전신마취 하에 투관침을 이용해 복벽에 구멍을 내고 카메라와 수술 기구를 삽입하여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개복 수술에 비해 작은 흉터, 적은 통증, 빠른 회복 등의 장점이 있습...2025.04.27
-
수술과 관련된 간호진단(주/객관적 자료만 포함 진단3개-컨퍼때 사용)2025.01.021. 수술 부위 통증 수술 후 환자가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통증 사정 결과 아랫배 수술 부위에서 지속적이고 쑤시듯한 통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증 점수는 최대 5점까지 나타났으며, 진통제 투여 및 PCA 사용 등의 중재가 이루어졌습니다. 2. 수술 후 고체온 수술 후 환자의 체온이 상승하여 최대 38.3도까지 나타났습니다. 두통 및 몸이 떨리는 증상도 함께 나타났습니다. 해열제 투여 및 수액 공급 등의 중재가 이루어졌습니다. 3. 수술 후 감염 위험 수술 후 환자에게 감염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5.01.02
-
[성인간호학]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2025.01.181. Unstable angina 환자는 71세 남성으로 Unstable angina 진단을 받고 Off-pump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two vessel) 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과정에서 마취 간호사가 환자의 vital sign을 모니터링하고, 수술 중 필요한 기구와 장비를 준비하고 사용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경식도 초음파(TEE)를 이용해 심장 기능을 확인하고, 관상동맥 내 shunt를 삽입하여 혈류를 유지하는 등의 기술이 사용되었습니다. 2. Abno...2025.01.18
-
수술 전, 중, 후 간호 문헌고찰2025.04.281.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환자 사정, 수술 전 간호진단과 중재, 수술 전 최종 준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수술 전 환자 사정에는 건강력, 신체검진, 진단검사 등이 포함되며, 간호진단으로는 불안, 기도개방 유지불능 위험, 말초조직관류 유지불능 위험 등이 있습니다. 수술 전 최종 준비에는 피부 준비, 위장 준비, 마취 준비, 수술 당일 간호, 수술 전 투약 등이 포함됩니다. 2. 수술 중 간호 수술실 간호사와 수술 환경, 수술환자 준비, 마취와 마취 환자 간호, 수술실에서의 응급상황, 수술과 마취로 인한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2025.04.28
-
성인간호_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2개, 간호계획 1개)2025.01.031. 말초혈관 관류장애와 관련된 급성 통증 수술 후 환자가 다리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피부 상태와 혈액 순환이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물리적 압박과 관련된 급성 통증에 대한 간호 진단과 계획이 필요하다. 진통제 투여, 비약물적 중재, 순환 상태 모니터링 등의 간호 중재를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해야 한다. 2.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수술 후 감염 위험이 있는 환자로, 드레싱 상태와 감염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예방적 항생제 투여, 무균술 준수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감염 증상 발현 시 신속...2025.01.03
-
[A+여성간호학] 제왕절개 케이스,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2개2025.01.031. 제왕절개 분만 제왕절개 분만은 복부 절개를 통해 태아를 분만시키는 방법입니다. 수술 기술과 무균 조작법, 항생제 발달로 모아 사망률은 감소했지만 질분만에 비해 위험률은 여전히 2배 이상 높습니다. 제왕절개 적응증에는 모체와 태아 측 요인, 모체 질병, 중증 감염, 과거 수술 경험, 태아 위험 등이 있습니다. 수술 전 위험 요인 확인과 준비가 중요합니다. 1. 제왕절개 분만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자연분만에 비해 회복 기간이 길고 합병증의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2025.01.03
-
비중격만곡증-수술실 간호과정2025.05.061. 비중격 만곡증 비중격은 코의 중앙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콧구멍을 둘로 나누는 벽을 의미한다. 비중격이 휘어져 코막힘이나 후비루 등의 증상을 일으키거나 비부비동염 등 기능적 장애를 유발하는 상태를 비중격 만곡증이라 한다. 주된 증상으로는 코막힘, 구호흡, 후비루나 후각장애, 급성 비염, 두통이나 안면통 등이 있다. 진단은 전비경검사, 코틀 검사, CT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약물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수술 전 간호에서는 시술 절차, 마취, 수술 후 변화 등을 설명하고, 수술 후 간호에서는 출혈 관리, 부종 관리, ...2025.05.06
-
성인간호 수술실 케이스 A+++, 갑상선 절제술(Thyroidectomy) 케이스 A+++, 교수님 극찬!2025.05.091. 갑상선의 구조와 호르몬 분비 기전 갑상선은 신체 내의 가장 큰 내분비샘으로, 갑상선은 기관 전면의 중앙에 있는 협부(isthmus)를 중심으로 양측 엽(lobe)으로 연결되어 H자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소엽은 여포(follicle)로 불리는 다수의 작은 주머니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포주의세포에서는 티록신(T4)과 삼요오드티로닌(T3) 호르몬이 분비된다.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는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의 음성 되먹임 기전에 의해 조절된다. 2. 갑상선 기능 검사와 간호 갑상선 기능 검사에는 혈청 T4, T3, TSH 검사와...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