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1개
-
정형외과 수술 전 . 후 간호2025.05.111. 관절내시경 (Arthroscopy) 관절내시경은 작은 절개를 통해 시행되며 이 삽입구를 통해 작은 카메라가 달려있는 관절 내시경을 관절 안으로 삽입하게 되며 이 카메라에서 영상을 모니터로 전송하게 되고 이 모니터를 통해 보다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손상된 조직을 제거 혹은 봉합하기 위해선 작은 수술도구가 필요하게 되며 이들 도구는 무릎의 반대편에 작은 절개를 통한 삽입구로 삽입되어 사용하게 된다. 2. 전방십자인대 재건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ve) 전방십자인대는 경골의 앞쪽으...2025.05.11
-
성인간호학 급성충수염 케이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2025.05.131. 충수염의 정의와 해부학적 구조 충수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충수는 관모양의 주머니로 맹장에 붙어 있으며 회맹판막의 바로 아래, 오른쪽 엉덩뼈와 배꼽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엉덩뼈가지(장골극)로부터 5cm 안쪽인 맥버니점(McBurney's point) 부근에 있다. 2. 충수염의 병태생리 충수가 폐색되면 점막에서 체액이 분비되어 충수가 팽창한다. 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고 혈액공급이 저하되면서 염증, 부종, 궤양, 괴사가 발생한다. 화농성 배액이 형성되고 충수가 팽창한다. ...2025.05.13
-
비뇨기과 수술 전, 후 간호2025.05.131. HoLEP(Holmium laser Enucleation of the Prostate) 홀미움레이저를 이용한 전립선 비대증 수술로, 다른 레이저들에 비해 투과 깊이가 낮아 주위조직을 다칠 염려가 없고, 비대증 제거에 효과적이며 선종 완전 제거가 가능하고 재발 가능성이 낮다. 전립선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절개 상처와 수혈이 필요하지 않다. 2. P-Bx(전립선조직검사) 전립선 조직검사를 위해 외래에서 동의서를 작성하고, 검사 전 9A Enema, TRD, 24G+HS1L, Anti AST 등의 준비를 한다. 검사 후...2025.05.13
-
갑상선 전절제술 수술 사례보고서2025.05.161. 갑상선 해부와 생리 갑상선은 신체 내의 가장 큰 내분비샘으로, 무게는 정상 성인에서 약 15~30g 정도이며 얇은 결합 조직의 막으로 싸여 있다. 갑상선은 기관 전면의 중앙에 있는 협부를 중심으로 양측 엽으로 연결되어 H자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각 엽은 불규칙한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엽은 여포로 불리는 다수의 작은 주머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여포 속에는 요오드를 포함한 교질형태의 thyroglobulin이 채워져 있는데, 이는 티록신(T4)과 삼요오드티로닌(T3)호르몬의 저장형태이다. 갑상샘에는 호르몬을 형성하는 ...2025.05.16
-
산부인과 수술 전후 및 퇴원 관리 교육2025.11.141. 수술 전 간호 수술 전날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를 실시하고, 장을 비우기 위해 관장을 합니다. 밤 12시 이후 금식하며 모든 음식과 음료 섭취를 금지합니다. 수술동의서를 작성하고 담당의로부터 상세한 설명을 받습니다. 모든 장신구, 부속물, 화장을 제거하고 저녁에 제모를 합니다. 수술 당일 환의만 입고 소변줄을 삽입하며, 수술 직전 근육주사를 맞아 마취를 유도합니다. 2.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최소 4시간 동안 수면을 제한하고 심호흡을 통해 마취가스를 배출합니다. 폐합병증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코로 깊이 들이마신 후 입술을 모아...2025.11.14
-
난소 낭종의 병리, 진단 및 간호 관리2025.11.141. 난소 낭종의 정의 및 분류 난소 낭종은 난소에 발생하는 낭성 종양으로 내부가 수액 성분으로 차 있는 물혹을 의미합니다. 생리적 낭종(여포 낭종, 황체 낭종, 난포막 황체화 낭종)과 양성 난소 신생물(자궁 내막종, 기형종, 장액성 또는 점액성 낭종)로 분류됩니다. 가임기 여성의 배란 과정 중에 흔히 발생하며, 대부분 증상이 없고 양성으로 큰 해를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부는 생명을 위급하게 할 수 있어 정기적 검사와 감시가 필요합니다. 2. 난소 낭종의 원인 및 증상 기능성 낭종은 배란 과정의 장애로 발생하며, 출혈성 황체 낭...2025.11.14
-
수술 전후 간호와 상처 드레싱 관리2025.11.151. 상처 드레싱 종류와 적응증 상처 드레싱은 드레싱 목적과 상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됩니다. 반투과성 필름 드레싱은 부분층 피부손상과 분비물이 없거나 최소한일 때 상피세포 보호 목적으로 사용되며, 폼 드레싱은 과량의 삼출물이 있는 상처에 적용됩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는 부분층에서 전층 피부손상, 소량에서 중정도 분비물, 피부이식공여부, 2도화상에 사용되고, 하이드로겔은 분비물이 없거나 최소한일 때 적용됩니다. 칼슈알지네이트는 강채우는데 효과적이며 과량의 분비물 흡수, 화상, 출혈, 감염상처에 사용됩니다. 2. 욕창 위험 ...2025.11.15
-
부인과 수술의 종류 및 간호2025.11.161. 자궁절제술 자궁절제술은 부인과에서 가장 빈번하게 시행되는 수술로, 자궁근종, 자궁이완증, 악성종양 등을 적응증으로 한다. 부분자궁절제술, 전자궁절제술, 난관-난소 절제술 동반 전자궁절제술, 근치적 자궁절제술 등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수술 방법은 자궁의 크기, 하강 정도, 질의 모양, 수술의사의 기술에 따라 결정되며, 복부절개(TAH), 질구를 통한 절제(TVH),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 등으로 시행된다. 2. 자궁절제술의 수술 방법 자궁절제술은 TAH(복부절개), TVH(질구를 통한 절제),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 세 가지 방법...2025.11.16
-
신경계 두부수술 환자 간호2025.11.161. 두부수술의 종류 두부수술은 두개 내부 구조에 접근하여 종양 제거, 두개내압 감소, 혈전 제거 및 출혈 조절을 목적으로 시행된다. 주요 수술 방법으로는 개두술(두개골 절개 후 복원), 두개절제술(두개골 일부 제거), 접형동 접근수술(뇌하수체 종양 제거), 두개성형술(두개 결손 부위 대치), 뇌실측로술(뇌척수액 순환 통로 형성), 뇌정위 수술(3차원 좌표 계산으로 정밀 진단 및 치료)이 있다. 2.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신경학적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활력징후, 의식수준, 동공 반응, 사지 움직임 등을 사정한다. 환자와 가족에게 ...2025.11.16
-
대동맥박리(해리성대동맥류) 간호진단 및 중재2025.11.171. 대동맥박리의 정의 및 분류 대동맥박리는 동맥벽의 내막과 중막 사이에 가성 내강이 생기는 질환으로 동맥류와는 다르다. A형 박리는 상행대동맥과 대동맥궁에서 발생하며, B형 박리는 하행대동맥에서 시작한다. 내막이 찢어지면서 혈액이 중막으로 들어가 두 층으로 분리된다. 유병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2~5배 높고 60~70대에 자주 발생한다. 2. 대동맥박리의 원인 및 증상 원인은 동맥벽의 탄력섬유 변성으로 인하며, 만성 고혈압이 이 과정을 촉진시킨다. 선행요인으로는 나이, 대동맥질환, 죽상경화증, 외상, 흡연, 코카인, 임신 등이 있다...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