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7개
-
현직 간호사의 간호과정 정리 - 비효과적 호흡양상 케이스 스터디2025.01.271. 비효과적 호흡양상 환자가 호소하는 주관적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호흡의 불규칙성, 과도한 기침, 가슴 통증 또는 불편감, 피로감 및 불안감, 청색증 등이 있다. 객관적 자료로는 호흡수, 산소포화도, 청색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정상 호흡수는 분당 12~20회이며, 24회 이상 또는 10회 이하일 경우 비효과적 호흡 양상을 의심할 수 있다. 정상 산소포화도는 95~100%이며, 90% 이하일 경우 산소 공급이 충분하지 않거나 호흡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청색증이 나타나면 산소 부족이 의심된다. 1. 비효과적 호흡양상 비효과적 ...2025.01.27
-
Portable Finger Pulse Oxmeiter 산소포화도기기 사용법과 이해2025.01.181. Portable Finger Pulse Oxmeiter 사용 방법 1. 커버 표시를 눌러 열리면 손가락을 받침에 넣고 닫는다. 2. 전원 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이 켜지고 표시가 점등된다. 3. OLED 계기판에 산소포화도, 맥박표시가 된다. 4. 측정이 끝나면 반대로 커버를 눌러 받침에서 손가락을 뺀다. 5. 전원은 8초 안에 자동으로 꺼집니다. 2. 주의사항 저관류 상태이거나 센서의 위치가 부적절할 때 파형이 정상보다 작게 나오며 환자가 많이 움직이거나 지나치게 많은 빛에 노출되면 파형 이상 초래. 피부손상을 막기 위해 adh...2025.01.18
-
산소요법과 마스크의 이해2025.01.041. 산소요법 산소요법은 환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필요에 따라 산소를 공급하는 것입니다. room air의 산소포화도는 정상인 경우 95% 이상이어야 하며, 질병이 있는 환자도 90%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간호사는 ABGA 검사를 통해 pH, PCO2, PaO2 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소 공급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SpO2와 SaO2는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PaO2와 PCO2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2. 산소 공급 방법 산소 공급 방법에는 비강캐뉼라, ...2025.01.04
-
진단명 뇌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이뇨제사용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 진단에 대한 근거자료2025.05.071. 뇌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환자의 진단명이 ICH on Lt basal ganglia with lateral ventricle hemorrhage로 출혈로 인해 두개내압이 상승하였다. 혈색소 수치가 낮고 PCO2가 높으며 산소포화도가 낮아 뇌조직 관류가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간호중재를 통해 정상적인 두개내압을 유지하고 뇌조직 관류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이뇨제사용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 환자에게 Mannitol과 Lasix가 병용 투여되고 있어 전체 혈액량 감소로 인한 체액부족의 위험...2025.05.07
-
산소부족에 따른 심장질환2025.05.011. 말초 산소포화도 정의 말초산소포화도란 산소와 결합된 헤모글로빈 포화도를 측정하는 비침습적 검사이다. 말초산소포화도 측정 목적은 동맥혈의 산소포화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면서 저산소증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의 산소비포화 상태를 알기 위해서이다. 말초산소포화도 측정 방법은 적외선 불빛의 파장과 대상자의 손가락, 발가락, 코, 귓불 혹은 앞이마에 부착한 감지기를 이용하여 혈색소의 산소포화도를 확인한다. 2. 말초 산소포화도 측정 시 간호와 주의할 점 대상자에게 혈액순환을 잘 측정할 수 있도록 팔을 많이 움직이지 않도록 설명한다. 매니큐...2025.05.01
-
환자 모니터2025.05.011. HR (Heart rate, 맥박) EKG (Electrocardiogram, 심전도) Electrode (전극) 부착: 우상 – 좌상 – 좌하 (빨노초 / 흰검빨) (모니터상 리듬이 이상하게 보일 때 우선 electrode 확인해보기 대부분 떨어져 있거나 땀으로 인한 습기로 완전히 부착되어있지 않을 수 있고, 탈착을 자주하면 부착력이 떨어져서 새로 부착해보도록 함, 부착 시에는 건조한 피부상태로 부착하기) 2. NIBP (Non invasive blood pressure, 비침습적 혈압) Systolic(SBP, 수축기혈압)...2025.05.01
-
아동간호학실습_기본간호술기 8개_ 과정, 절차, 대상자 반응_ 활력징후 측정, 피내주사, IV, syringe pump, 산소포화도, nasal suction2025.05.091. BST(경구 당부하 검사) 혈당 수치를 측정하여 혈당 수치를 확인하고, 혈당 모니터를 하기 위해 시행한다. 당뇨병을 조기 진단하고, 혈당 조절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고, 대상자의 이름과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공복 상태를 유지했는지 확인하고, 주사 부위를 소독한 후 카테터를 삽입한다.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고, 카테터를 세척한 후 헤파린 락을 연결한다. 주의할 점은 혈당 검사 전 10시간 공복상태를 유지했는지 확인하고, 아이의 움직임이 있으면 주삿바늘에 의해 다칠 수 있기에 보호자에게 잡아...2025.05.09
-
항공간호 항공기내 안전 및 응급상황의 사례 분석 및 간호중재 평가2025.05.101. 항공기내 응급상황 비행기에서 가장 흔한 응급상황은 실신 또는 거의실신, 호흡기 증상, 구토, 가슴통증 등이다. 이는 비행기가 높은 고도를 날기 때문에 산소포화도가 낮아져서 생길 수 있다. 항공사에서는 기내 응급의료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항공기내 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탑재하고, 객실승무원에게 응급처치 교육을 시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이 빨라야 몇 개월에 한 번 있어 실제 상황에서 어려움이 있다. 2. 기내 의료진의 역할 심정지와 호흡곤란 등 환자 발생으로 항공기 회항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의료진을 찾게 되는데, 의...2025.05.10
-
성인간호학실습 - 폐암, 성대마비 대상자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2025.01.291. 질병과 관련한 가스교환 장애 대상자는 폐암 진단을 받았으며, 무기폐, 천명음, 비정상적인 호흡음, 과다한 객담, 기좌호흡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활력징후 모니터링 결과 심박수 평균 101-110회/분, 호흡수 평균 20-22회/분으로 나타났으며, 산소포화도는 85-91%로 저하된 상태입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가스교환 장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질병과 관련한 가스교환 장애 질병으로 인한 가스교환 장애는 매우 심각한 건강 문제입니다. 이는 폐 기능 저하, 호흡 곤란, 저산소증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생명을 위협할 ...2025.01.29
-
아동간호학 사례보고서2025.01.131. 미숙아 간호 이 사례보고서는 미숙아 간호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미숙아의 일반적 사항, 간호과정 보고서,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평가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숙아의 활력징후 모니터링, 호흡양상 사정, 산소포화도 및 동맥혈가스 분석 결과 확인, 호흡기계 약물 투여, 무호흡 발생 시 대응, 적절한 자세 취하기, 피부색 관찰 등의 간호중재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숙아의 효과적인 호흡 증진과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 접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미숙아 간호 미숙아 간호...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