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5개
-
산후출혈 프로토콜2025.01.041. 산후출혈 Fatima sanogo 환자는 41주 4일 된 태아를 질식분만 후 산후출혈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분만 과정에서 2도 회음부 열상이 있었으나 즉시 교정되었고 태반도 자발적으로 만출되었습니다. 하지만 분만 후 출혈이 다시 시작되어 혈압이 낮고 맥박이 높은 상태였으며, 많은 양의 오로와 출혈이 있어 moderate rate bleeding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또한 복부 통증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산후출혈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1. 산후출혈 산후출혈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할...2025.01.04
-
질환고찰 - 양수과소증, 조기진통2025.01.121. 양수과소증 (Oligohydramnios) 양수의 양이 300mL 이하로 비정상적으로 적은 상태를 말한다. 양수는 태아를 보호하고 태아와 탯줄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며 폐와 근골격계 및 위장관계의 정상적인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양수과소증의 원인에는 태아의 양측 신장 형성 부전, 선천성 기형, 염색체 이상, 자궁 내 태아 발육 지연 등이 있다. 임신 초기와 중기 초반의 양수 과소증은 유산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임신 말기에는 분만 과정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양수과소증을 진단하기 위해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며,...2025.01.12
-
모성간호학 조기진통 비판적 사고2025.04.271. 조기진통의 정의와 유발요인 조기진통의 정의는 임신 20~37주 사이에 진통이 시작되는 것이며, 유발요인으로는 인구학적 요소(연령, 흡연, 스트레스 등), 임신여성의 신체적 질환, 산과적 이상, 태아 기형 등이 있다. 2. 김00 산부의 산과력 김00 산부의 산과력은 G3, P0으로 과거 임신 때 유산과 조기진통 경험이 있다. 3. 김00 산부의 조기분만 위험요소 김00 산부의 조기분만 위험요소는 산모 연령(42세), 산과적 과거력(유산, 조기진통), 현재 임신과 관련된 산과적 요소(제태기간 32w(+2), 자궁경관 2~3cm ...2025.04.27
-
[모성간호학] A+ 레포트, 조기진통 간호 레포트2025.04.301. 가진통과 진진통의 특성 가진통은 임신 중에 흔히 생길 수 있는 자궁 수축으로 점차 잦아들수도 있고 진진통으로 진행되어 분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진통은 병적인 증상이 아니라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지만 일부 의사들은 통증이 심한 가진통에 대하여 약을 처방하기도 합니다. 진진통은 시간이 지나면서 진통 간격이 점점 짧아지고 통증도 심해지며, 휴식을 취하거나 진통제를 복용해도 통증이 잦아들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2. 조기진통 대상자 간호 (약물관련) 조기진통의 원인은 산과적 요인, 내과적 요인, 양수감염, 사회 행동적 요인 ...2025.04.30
-
자궁수축마사지 교육계획안2025.05.011. 산후 출혈의 원인 분만 후에 자궁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오로이다. 떨어진 자궁내막이 재생되면서 탈락막이 천천히 배출되는 정상 과정이다. 간혹 분만 1~2주에 태반 부착 부위의 딱지가 떨어지면서 일시적으로 출혈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일시적인 것으로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아도 저절로 멈춘다. 하지만 출혈이 1~2시간이 지나도 멈추지 않고 지속적이며 출혈 양이 많은 경우는 잔류 태반과 같이 산후 출혈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원인들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방광이 커지면 자궁의 수축을 방해하여 출혈이 발생한다. 2. 정상적인...2025.05.01
-
A+받은 제왕절개분만 (Cesarean section delivery)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 2개2025.04.281. 제왕절개분만 제왕절개분만은 복부를 통해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시키는 것으로, 모성과 태아의 생명이나 건강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현대의 의학 발달로 모성과 태아의 사망률과 이환율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질분만에 비해 위험률이 2배 이상 높습니다. 제왕절개분만의 주요 적응증은 난산, 반복 제왕절개, 둔위, 태아질식 등이며, 수술 방법에는 자궁 하부 제왕절개술, 재래식 제왕절개술, 제왕절개분만-자궁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제왕절개분만의 단점으로는 모성 사망률 증가, 모아결속 방해, 수술 후 합병증 증가, 모유수유 어...2025.04.28
-
분만실 실습 - 분만일지2025.05.111. 분만실 입구 분만실 입구에는 신발장이 있어 실외화와 실내화를 갈아신어야 한다. 실외화는 분만실 밖으로 나갈 때, 실내화는 분만실 안에서 착용한다. 2. 간호사 스테이션 간호사 스테이션에는 Charting을 할 수 있는 컴퓨터 2대가 있으며, 벽에는 당일의 근무자 정보가 적혀있는 칠판이 있다. 3. 간호사 스테이션 내부 간호사 스테이션 내부에는 주사기, 멸균장갑, 수액, 응급함, 산모 tray set, 식염수, 약물 등이 준비되어 있다. 4. 분만실 분위기 분만실에는 발라드 풍의 가요가 조용히 흘러나오고 있었으며, 당일 근무자는...2025.05.11
-
산욕기 산모의 관리_좌욕2025.05.061. 산욕기 산모의 관리 분만 후 외음순, 회음부, 항문 주위를 깨끗이 씻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닦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좋은 치료법은 하루 3회 좌욕을 하는 것입니다. 좌욕은 회음 절개 부위의 염증 예방, 상처 부위 통증 감소, 산도 손상 빠른 회복, 혈액순환 향상, 변비 및 치질 예방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좌욕 시 물 온도는 38-40도가 적당하며, 15-20분 정도가 적절합니다. 부종이 심한 경우 찬찜질도 도움이 됩니다. 퇴원 후에도 1-2주 정도 좌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산욕기 산모의 관리 산욕기는 출산 후 ...2025.05.06
-
임신과 관련된 합병증 정리2025.01.161.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임신성 당뇨병) 임신 동안에 발생하였거나 예전에 미처 알지 못한 type Ⅰ, 혹은 type Ⅱ당뇨병을 앓고 있다가 임신 동안에 진단을 받은 경우이다. GDM은 모든 임산부의 2~7%정도에서 발생할 수 있고, 스페인계와 아시아, 흑인들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GDM을 발생시키는 고위험 요인에는 과거 4Kg이상의 아기를 출산했던 경험, 당뇨병의 가족력, 비만, 임신 중 2회 이상 당뇨가 검출된 경우, 선천성 기형아의 출산력, 양수 과다증, 과거 자연 유산, 사산, 조산 등의...2025.01.16
-
조기진통 preterm labor 사례보고서2025.01.161. 조기진통 조기진통은 20~37주 사이에 발생하는 진통으로, 신생아 사망의 절대적 원인(75~80% 차지)이며, 신경학적 합병증의 주요 원인(50% 이상 차지)입니다. 원인으로는 모체의 신체적 질환, 산과적 이상, 태아 기형, 외상, 흡연, 음주, 폭력 등이 있습니다. 증상/징후로는 복부, 등 및 골반 통증, 배 뭉침, 질 출혈, 질 분비물 증가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태아감시장치, fFN 검사, 자궁경부 길이 측정 등을 시행합니다. 치료로는 항생제 투여, 자궁경부결찰, 자궁수축억제제 투여 등이 있으며, 가정간호와 입원 중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