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3개
-
우리를 반영하는 줄임말 현상2025.11.151. 줄임말의 어휘 구조적 측면 줄임말은 언어의 경제성을 추구하는 언중들의 욕구에서 비롯된다.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의사소통을 추구하며, '낄끼빠빠', '내로남불' 등 긴 절과 문장을 몇 음절로 줄인다. 또한 기존 어휘를 모방하는 심리('세젤귀', '튀맥')와 의미나 어휘 체계를 구축하려는 욕구('뇌섹남', '뇌섹녀')가 작동한다. 2. 줄임말의 어휘 사용적 측면 줄임말 신어는 언어 사용자의 유희성 추구 심리에서 생성된다. '샵쥐'(시아버지), '셤니'(시어머니)는 유머러스하거나 풍자적 의미를 담으며, '패테'(...2025.11.15
-
언어의 속성, 기능 및 사회언어학적 특성2025.11.151. 언어의 속성 언어는 자의성, 규칙성, 사회성, 역사성, 창조성의 다섯 가지 속성을 가집니다. 자의성은 언어 기호와 의미 사이에 필연적 관계가 없음을 의미하며, 규칙성은 단어와 문장 구성에 일정한 규칙이 있음을 뜻합니다. 사회성은 언어가 사회 구성원 간의 약속이므로 임의로 변경할 수 없음을 나타내고, 역사성은 언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 변화, 소멸을 거침을 의미합니다. 창조성은 새로운 단어와 문장을 무한대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합니다. 2. 언어의 기능 언어는 정보적, 지시적, 명령적, 정서적, 친교적 기능을 수행...2025.11.15
-
응용언어학의 여러 분야와 연구 방향2025.11.171. 심리언어학 심리언어학은 인간의 심리적 측면과 언어행위를 연결하여 연구하는 분야이다. 1930년 이후 정보이론, 촘스키의 생성변형문법, 문화인류학의 영향을 받아 성립했다. 인간의 생득적 자질과 언어기구의 한계를 연구대상으로 삼으며, 언어의 습득·처리·상실 및 회복을 중심과제로 한다. 현대언어학, 인지심리학, 인지과학을 토대로 발전하고 있다. 2. 인지언어학 인지언어학은 언어, 몸과 마음, 문화의 상관성을 밝히는 학제적 연구이다. 1960~1970년대 인지과학과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출발했으며, 1989년 국제인지언어학회 창설 이후...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