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촉법소년 정의 및 폐지반대근거2025.05.101. 촉법소년제도 촉법소년제도란 만 10세 이상 14세 미만의 청소년이 강력범죄를 저질러도 형사처벌을 할 수 없게 하는 제도입니다. 1953년에 도입되어 약 70년 간 개정이 되지 않았으며, 현재 시대를 반영하지 못해 기준연령을 낮춰야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2. 촉법소년의 정의 촉법소년이란 형벌 법령에 저촉되는 행위를 한 만 10세 이상 14세 미만의 형사미성년자로, 이들은 형사처분 대신 소년법의 의한 보호처분을 받습니다. 3. 나이에 따른 처벌기준 범죄소년: 만 14세~19세 미만 (보호처분o, 형사처분o) 촉법소년: 만...2025.05.10
-
소년법 개정의 필요성2025.05.121. 소년범죄의 원인 소년범죄는 우발적인 범행이 많고 아직 자아 형성 단계이기 때문에 주변의 영향에 휘둘리기 쉬운 미성숙한 시기다. 소년범죄의 동기는 사회환경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에서 나눠볼 수 있다. 사회환경적 측면에서는 가족의 무관심, 자녀 간의 부정적 유대감, 범죄소년과의 어울림, 친구의 유혹이나 압박, 학업 스트레스 등이 있다. 개인적 측면에서는 잘못된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정서불안, 충동적 행동, 나쁜 집단과의 어울림 등이 있다. 2. 소년법상 보호 처분과 관련 과정 소년법은 만 18세 청소년이 사형 및 무기형에 따른 죄를 ...2025.05.12
-
촉법소년 연령 기준 조정과 소년범죄 문제2025.11.161. 촉법소년의 정의 및 법적 지위 촉법소년은 형벌을 받을 범법행위를 한 만 10세 이상 14세 미만의 형사미성년자를 의미한다. 형법 제9조에 따라 14세가 되지 않은 자의 행위는 벌하지 않으며, 형사책임능력이 없어 형사처벌 대신 가정법원의 보호처분을 받는다. 보호처분에는 감호위탁, 수강명령, 사회봉사명령, 보호관찰, 소년원 송치 등이 있으며, 이러한 처분은 소년의 장래 신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촉법소년 강력범죄의 증가 추세 최근 촉법소년에 의한 강력범죄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소년범들이 법의 사각지대를 악용하...2025.11.16
-
현행 소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2025.11.161. 현행 소년법의 문제점 현행 소년법은 범죄행위에 비해 지나치게 가벼운 처벌을 내리고 있다. 만 14세 미만은 형사처벌이 불가능하고 만 19세 미만 청소년도 대부분 보호처분에 그친다. 2016년 10대 범죄 87,403건 중 형사처벌은 5.9%에 불과했고 46.8%는 불기소 처분되었다. 소년범의 재범률도 높아져 4범 이상 재범률이 2006년 6.1%에서 2015년 15.2%로 증가했다. 현행법상 14세 기준은 1953년 제정 이후 유지되고 있어 시대 변화에 부합하지 않는다. 2. 외국의 소년법 사례 미국은 주마다 차이가 있으나 미...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