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교육심리-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과 학습자의 발달단계에서 교사와 부모의 역할2025.05.111.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 에릭슨은 생애주기 발달과정을 8단계로 나누고 있다.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심리사회적 적응(Virtue)과 부적응을 소개하며 발달단계에 나타나는 인간특성을 분석하고, 각 단계에서 교사나 부모의 조력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신뢰감 대 불신감 (0~1세) 이 시기에 성취해야 할 긍정적인 과업은 기본적인 신뢰감이다. 이 신뢰감은 자신과 타인과 세상에 대한 신뢰감으로서 그것의 형성은 어머니의 양육의 질에 달려 있다. 부모의 역할은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신뢰감과 애착관계형성에 힘써야 한다. ...2025.05.11
-
실제 범죄 사건에 대한 범죄심리학적 프로파일링2025.01.071. 스토킹 범죄 스토킹은 가해자가 애정이라는 이름으로 피해자의 정신과 신체를 집요하게 괴롭히는 행위이다. 특히 스토킹 가해자가 결국 피해자를 살인하는 결말을 맞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스토킹은 잠재적 살인 사건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스토킹 범죄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피해자에 대한 병적일 정도로 강한 소유욕과 집착이 나타난다고 이야기한다. 상대방의 감정이나 의사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의 감정을 강요하며, 만약 이러한 자기의 감정(주로 호감에서 시작한다)을 거부하면 공격적, 맹목적인 성향이 강해져 상대방의 신체...2025.01.07
-
묻지마 범죄의 원인, 특징, 사례 및 해결 방안2025.11.151. 묻지마 범죄의 정의 및 개념 묻지마 범죄는 특별한 동기 없이 불특정 다수인에게 행해지는 범죄로, 피해자와 가해자 간 사회적 상관성이 없거나 약하며, 약물·게임·알코올 중독이나 정신적 문제 상태에서 발생한다. 일본의 '도리마(通り魔)'에 해당하며, 무동기 범죄, 무차별 범죄, 한국형 증오범죄 등으로도 불린다. 2003년 이후 한국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학술적으로 합의된 명확한 정의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2. 묻지마 범죄의 유형 분류 묻지마 범죄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 불만과 분노형으로 자신의 처지...2025.11.15
-
한국사회의 분노조절장애: 원인, 증상, 사례 및 치료법2025.11.151. 분노조절장애의 정의 및 분류 분노조절장애는 충동적 분노를 제어하지 못하거나 분노 폭발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해 습관적으로 표출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간헐성 폭발장애에 해당하며, 폭발적 분노조절장애, 불안정 감정조절장애, 내성적 분노조절장애 등으로 분류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5년 1,721명에서 2019년 2,249명으로 4년간 30.7% 증가했으며, 10대 남성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 분노조절장애의 신경생물학적 원인 뇌 손상, 알코올 독성, 변연계 이상, 높은 안드로겐 수준 등 호르몬 요인이 영향...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