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3개
-
박테리아 계수 및 미생물 생장 요인 분석2025.11.121. 박테리아 계수 (Bacterial Counting) 박테리아의 개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미생물학적 기법입니다. 평판 배양법, 혈구계산판법, 탁도 측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미생물의 농도를 결정합니다. 이는 식품 미생물학, 의약품 품질 관리,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분석 방법으로 활용됩니다. 2. 미생물의 생장에 미치는 요인 박테리아의 생장은 온도, pH, 산소 농도, 영양분, 습도 등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각 미생물은 최적 생장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을 제어함으로써 미...2025.11.12
-
신체 미생물 및 공중 낙하균 관찰 실험2025.11.181. 배양배지의 분류 및 특성 배지는 미생물 배양을 위한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양 환경이다. 배지의 성분에 따라 천연배지(Natural medium), 합성배지(Synthetic medium), 반합성배지(Semisynthetic medium)로 분류되며,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배지(Selective medium), 농축배지(Enrichment medium), 감별배지(Differential medium)로 나뉜다. 형상에 따라서는 액체배지, 고체배지, 반고체배지, 평판배지, 고층배지 등으로 구분된다. 본 실험에 사용된 LB(...2025.11.18
-
반응능 세포(Competent Cell) 제조 실험2025.11.171. 유전자 재조합 기술 특정 유전자가 클로닝된 재조합 플라스미드 DNA를 세포 내에 도입하여 특정 유전자를 다량 확보하거나 발현시켜 원래의 생명체가 만들지 않는 특정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법입니다. 표적 DNA를 공여 세포로부터 분리한 후 제한효소로 절단하고, 벡터 DNA와 연결하여 재조합 DNA를 만든 후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2. 반응능 세포(Competent Cell) 유전자 도입에 사용되는 숙주세포로, 외부의 DNA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세포입니다. 대장균이 가장 널리 사...2025.11.17
-
유산균 음료로부터 미생물 분리 평판계수법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221. 유산균 음료 미생물 분리 이 실험은 유산균 음료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고 평판계수법을 사용하여 미생물 수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MRS Agar 배지와 BCP Agar 배지에서 유산균 음료를 10-4와 10-5로 희석하여 배양한 결과, MRS Agar 배지에서는 콜로니가 관찰되었지만 BCP Agar 배지에서는 콜로니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희석 과정에서 유산균이 손실되었거나 배지 제조 과정에 문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평판계수법의 신뢰성을 위해서는 30-300개의 콜로니가 관찰되어야 하며, 이 실험에서는 ...2025.01.22
-
[미생물공학실험]미생물 배양 배지 제작 및 세균배양2025.01.231. 미생물 배양 미생물을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을 배양이라고 한다. 진균, 세균, 랩토스피라 등은 무세포 배지에서 배양되지만 리케치아, 바이러스는 무세포 배지에서는 증식되지 않으므로 살아 있는 세포를 필요로 한다. 세균을 배양할 때에는 균종에 따라 각각 최적조건의 배지 선택이 중요하다. 2. 배지 분류 배지란 적당한 영양성분을 혼합해서 무균상태의 액체 또는 고체로 만든 인공적인 증식환경을 말한다. 배지는 물리적 상태에 따라 액체, 고형, 반고형 배지로 분류되며, 배지 사용 목적에 따라 증식용 배지, 증균 배지, 분리 배지, 성상...2025.01.23
-
임상병리 미생물학 실습: 배지 만들기2025.11.121. 미생물 배지 미생물 배지는 미생물의 배양과 증식을 위해 필요한 영양분과 환경 조건을 제공하는 배양 매질입니다. 임상병리학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배지를 사용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분리하고 동정합니다. 배지는 성분에 따라 기본배지, 선택배지, 감별배지 등으로 분류되며, 물리적 상태에 따라 액체배지와 고체배지로 구분됩니다. 2. 임상미생물학 실습 임상미생물학 실습은 의료 전문가 양성을 위한 필수 교육 과정으로, 실제 임상 검체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고 배양하는 기술을 습득합니다. 배지 제조, 멸균, 접종, 배양 등의 기본적인 미생물학 기법...2025.11.12
-
API kit(3종)를 사용한 미생물 확인시험/동정 진행-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Salmonella spp.)/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2025.05.131.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은 그람양성 구균으로,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 중 하나이다. API Staph kit를 사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을 신속하게 동정할 수 있다. 배양 결과 및 보조시약 첨가 후 판독표와 웹사이트 동정 결과를 통해 황색포도상구균으로 확인되었다. 2. 살모넬라(Salmonella spp.) 살모넬라는 그람음성 간균으로,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이다. API 20E kit를 사용하여 살모넬라를 신속하게 동정할 수 있다. 배양 결과 및 보조시약 첨가 후 판독표와 웹사이트 동정 ...2025.05.13
-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2025.01.121.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결과 레포트에서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 실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Glucose 농도를 달리하여 YM 배지를 제조하고 흡광도 측정을 통해 미생물의 비성장속도를 계산하였습니다. 실험 결과와 이론값을 비교하여 오차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Monod 식을 이용한 실험적 계산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 미생물의 비성장속도 측정은 미생물 연구 및 산업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통해 미생물의 생장 특성을 이해하고, 최적의 배양 조건을 찾...2025.01.12
-
공중낙하균 및 신체미생물 배양2025.01.031. 공중낙하균 및 신체 미생물 배양 이번 실험에서는 생물학 실험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LB plate를 만드는 방법을 익히고, 실제 우리 주변에서 생활하면서 접하게 되는 것들에게서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균의 종류를 알고, 우리 주변에 출현하는 미생물의 종류와 위생 상태를 점검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손바닥, 휴대폰, 가방 등에서는 미생물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다른 조원의 배지에서는 수도꼭지, 눈, QCY(무선 이어폰) 등에서 다양한 미생물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 주변에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며, ...2025.01.03
-
미생물 배양 및 세균검사, 박테리아의 동정2025.01.041. 미생물 배양 및 세균검사 이번 실험에서는 미생물 실험의 기초인 멸균과 소독의 개념을 이해하고 배양배지를 만들어 식품위생검사를 위한 균의 접종 및 배양방법을 익혔습니다. 또한 미생물을 그람 염색하여 염색된 세균의 표본을 관찰한 후 동정된 균의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였습니다. 2. 박테리아의 동정 실험 결과 대장균인 E.coli가 나선균이며 동시에 그람 음성균이라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그람염색을 통해 자주색을 띠는 그람양성균인 Bacillus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그람염색의 원리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