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한국어 문법 표현의 교수 방법2025.01.091. -지 말다, -지 않다, -지 못하다 -지 말다, -지 않다, -지 못하다는 부정 표현을 나타내는 문법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동사 또는 형용사와 결합하여 사용되며, 주로 긍정 문장을 부정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됩니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동사와 형용사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장을 만들어보게 하고, 문장 완성 연습을 통해 익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2. -게 하다 -게 하다는 누군가에게 어떤 동작 또는 행동을 시키는 명령 형태를 나타내는 문법 표현입니다. 학생들에게 간단한 동사 또는 형용사를 사용하여 -게 하다 형태로 명령을 내리는 문...2025.01.09
-
2급 수준의 주제와 상황을 설정해서 '계획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말하기를 교재에 넣는다고 가정2025.05.031. 초급(2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문법 표현 '-(으)ㄹ 거예요'를 사용하여 계획하기 기능을 수행하는 말하기 과제를 제시하였다. 수업의 목표는 필요한 어휘와 문법 표현을 익혀서 주말, 휴가 등 미래에 대한 계획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수업에 대한 자료로 학습자들이 실생활에서 친구와 함께 나눌 수 있을만한 대화를 초급 수준에 맞게 구성하였다. 또한 초급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고 자연스러운 발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보기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정확한 표현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과제 수행에 있...2025.05.03
-
Should Have PP. 표현을 배울 수 있는 팝송 학습지2025.01.231. Should Have 표현 과거에 그렇게 했어야 했는지 하지 못한 아쉬움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문법 표현입니다. 구어에서는 should've 형태로 더 많이 쓰입니다. 2. Never + 과거 분사 절대 ~를 해 본 적이 없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You've never heard of ~'는 '넌 ~를 절대 들어본 적이 없다'는 뜻입니다. 3. Have you ever + 과거 분사 ~를 해 본 적이 있습니까?라는 의미로, ever를 사용하여 한 번이라도 그런 경험이 있었는지 강조합니다. 4. Would you ...2025.01.23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2025.01.061. -고 싶다 -고 싶다는 동사에 붙어 말하는 사람의 희망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계획이나 취향 등 원하는 것을 말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받침의 유무와 상관없이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정문은 '안-고 싶다', '-지 않고 싶다', '-고 싶지 않다'로 쓸 수 있습니다. 과거 시제는 '싶다'에 '-었-'을 붙여 표현하고, 미래나 추측은 '-겠-'과 결합하여 다른 사람의 바람을 나타냅니다. 형용사와는 결합하지 않지만 '-어지다'가 붙으면 가능합니다. 또한 청자가 아닌 화자의 바람을 나타냅니다. 2. -기 위해 -기 위해는...2025.01.06
-
제시된 한국어 문법 표현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다음 내용에 대해 조사하고 발표 및 제출하시오2025.05.071. 한국어 문법 표현 한국어 문법은 언어 사용자들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규칙과 구조를 제공합니다. 이 중에서 '-고싶다', '-(으)ㄹ 수 있다', '-(으)려고 하다', '-(으)로', 'ㅂ'규칙과 같은 문법 표현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조사에서는 이 중 한 가지 문법 표현을 선택하여 한국어 문법서, 교재, 영역, 그리고 활동 제시와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고 발표 및 제출하겠습니다. 2. 한국어 문법서 한국어 문법서에서 '-고싶다', '-(으)ㄹ 수 있다', '-(으)려고 하다', '-(...2025.05.07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와 교수 방법2025.01.231. -(으)ㄹ 수밖에 없다 -(으)ㄹ 수밖에 없다는 특정 상황에서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불가피한 상황에서 특정 행동이나 상태가 필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학습자들은 이 표현을 활용하여 자신의 상황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문장 작성, 역할극, 듣기, 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이 표현을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습니다. 2. -(으)ㄹ 테니까 -(으)ㄹ 테니까는 말하는 사람의 추측이나 계획을 바탕으로 상대방에게 특정 행동을 권유하거나 조언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2025.01.23
-
한국어 문법 표현의 예와 교수 방법2025.01.111. -지 말다 '-지 말다'는 어떤 행위의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함을 나타낸다. 주로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사용되며, 형용사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높임 표현으로 '-지 마세요, -지 마십시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어 주다'를 붙여 공손한 표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문장, 대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교수할 수 있다. 2. -지 못하다 '-지 못하다'는 능력이 없거나 어떤 상태에 이르지 못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이...2025.01.11
-
[한국어교원2급]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들어 어떤 정보를 가르쳐야하는지 기술2025.01.181. -게 하다 '-게 하다'는 사동의 뜻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동사/형용사/명사/부사/형용사/분사/명령형 동사] + '-게 하다'의 형태를 가진다. 이 표현에서 '-게'는 동작의 방향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보조사이고, '하다'는 동작을 하는 동사이다. '-게 하다'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등 다양한 문장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존대와 평어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게 되다'와 '-게 하다'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전자는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결과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고, 후자는 의도적으로 특정한 상태나 결과를...2025.01.18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2025.01.191. '-어'의 다양한 활용 종결어미 '-어'는 기본적으로 동사나 형용사인 '이다, 아니다'의 뒤에 붙어 활용하며 여러 가지 활용법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 활용으로 자신의 생각을 말하거나 무언가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두 번째 활용으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물어볼 때 사용합니다. 세 번째 활용으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할 것을 명령할 때 사용합니다. 네 번째 활용으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말하는 사람과 함께 어떤 행동을 하자고 제안하거나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어'의 경우 앞에 붙는 것이 명사...2025.01.19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와 교수 방법2025.01.151. -지 말다, -지 않다, -지 못하다 이 문법 표현은 앞에 오는 동사 표현을 부정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형태 통사적으로는 동사의 어간에 '-지'를 붙여 활용되며, '-지 말다'는 부정적인 명령이나 제한을, '-지 않다'는 동작이나 상태의 부정을, '-지 못하다'는 능력이나 가능성의 제한을 나타냅니다. 교수 방법으로는 문법 설명과 예시 제시, 문장 만들기 연습, 문장 해석, 문법 활용 게임, 상황 극 표현하기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게 하다 이 문법 표현은 앞말의 행동을 시키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도록 함을...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