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1개
-
생물공정실험 결과보고서 - Spore sterilization for food processing2025.01.041. C. difficile 멸균 이번 실험은 Filtration, Heat shock, RT Incubation의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C. difficile의 vegetative cell과 spore cell을 멸균하고 각 방법을 비교하는 실험이었습니다. C. difficile은 심각한 위소장관 질환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과도한 항생물질 투여로 인한 장내미생물 불균형이 감염의 주요 원인입니다. 실험 결과, Filtration 방법에서는 0.2um 필터로 vegetative cell과 spore cell 모두 100% 멸균되었으...2025.01.04
-
외과적 무균술의 이해와 수술중간호2025.04.281. 소독과 멸균 소독과 멸균의 수준을 이해하고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멸균된 물품만 취급하고, 멸균성에 의심이 가는 경우 새로운 멸균 물품을 준비해야 합니다. 2. 외과적 무균술의 기본원칙 멸균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고, 멸균 영역 바깥 2.5cm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멸균 테이블은 테이블 높이에서만 멸균 상태이며, 멸균 수술가운은 허리에서 어깨까지, 소매에서 팔꿈치까지만 멸균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3. 외과적 손 위생 외과적 손 씻기는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손을 씻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술 전 손과 팔의...2025.04.28
-
소독 및 멸균의 종류와 부소독물의 관한 내용2025.04.261. 소독 및 멸균 방법 소독이란 물체의 표면 및 그 내부에 있는 병원균을 죽여 전파력과 감염을 없애는 것을 말하며, 미생물의 포자는 제거되지 않습니다. 멸균이란 물리, 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여 무균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멸균의 3가지 방법은 고압증기 멸균법, EO 가스 멸균법,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가스 멸균법입니다. 2. 부소독물의 재고 파악 및 운반 부소독물의 재고 파악은 부서별로 1일 2회 실시하며, 물품 체크 리스트로 재고를 확인합니다. 부소독물의 운반 및 교환 방법은 의료 소모 비품 및 세트는 1일 2...2025.04.26
-
수술실 사전학습 자료2025.01.141. 외과적 손 씻기 외과적 손 씻기의 목적은 절개부위와 접촉하는 손가락을 포함한 손과 전박, 팔꿈치 까지를 가능하면 깨끗하게 하며 미생물 수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3~5분간 손 소독을 한 후 잘 헹궈야 한다. 순서는 손과 팔의 장신구 제거, 흐르는 물에 손과 팔 적시기, 소독액으로 거품내어 팔꿈치 위 2inch까지 문지르기, 솔로 손톱 끝부터 손가락, 손바닥, 손등, 손가락 사이 문지르기, 손목부터 팔꿈치까지 3등분하여 각각 4면으로 나누어 문지르기 등이다. 2. 타임아웃 타임아웃은 의사소통에 관한 안전계획 중 하나로, 수술 부...2025.01.14
-
감염관리실_원내 기구 및 물품 소독 멸균방법_병원2025.01.121. 비위험 기구 및 일반 물품 비위험 기구 및 일반 물품의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설명합니다. 소독 주기와 방법은 부서와 사용 빈도에 따라 다르며, 락스 100PPM 침적, 수돗물 헹굼, 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2. 호흡기 기구 호흡기 기구의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설명합니다. 산소발생기, 네뷸라이저, 호흡기 부속기구 등을 높은 수준의 소독 또는 멸균 방법으로 관리합니다. 3. 초음파 및 내시경 초음파 및 내시경 기구의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설명합니다. 엔자임 와입스로 닦고 Cidex OPA, Perasafe 등의 소독제에 침...2025.01.12
-
감염관리(소독과 멸균, 격리, 직원감염예방)2025.01.181. 소독과 멸균 환자에게 사용되는 기구를 적절한 방법으로 소독, 멸균하여 사용함으로써 감염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이 기구를 통해 환자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구의 부적절한 소독과 멸균은 외인성 감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기구의 감염위험 정도에 따라 고위험, 준위험, 비위험 기구로 분류하여 각각 멸균, 높은 수준 소독, 세척 및 소독 등의 방법으로 관리한다. 소독제 사용 시 일반적 원칙과 멸균 방법(열, 저온, 화학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격리 감염 전파 경로에 따라 표준주의, 공기매개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2025.01.18
-
감염관리 및 무균술 정의와 적용범위2025.05.071. 감염관리 감염 관리는 의료 시설 내에서 감염병 유행 예방을 목적으로 한 대처를 가리키며, 공중위생 활동과 공통점이 많다. 주요 업무는 병원감염 발생 감시와 사실 보고, 감염 관리정책과 규정의 작성, 직원 대상 감염 관리 교육, 병원 내 직원에 대한 자문, 병원감염 집단 발생의 조사, 병원 직원의 건강관리, 병원감염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연구 등이다. 2. 소독 소독은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할 목적으로 병원균 및 해로운 미생물을 활성을 억제하도록 하는 처리이다. 물체의 표면에 있는 세균의 아포를 제외한 미생물을 사멸하는 방법이며,...2025.05.07
-
[A+ 레포트] 미생물학 관련 단어 정리 레포2025.05.021. aseptic technique 무균술은 잠재적인 병원균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의 다양한 수술이나 시술 등에 적용되는 개념이다. 무균술은 흔히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로 분류된다. 내과적 무균술은 미생물의 전파예방과 오염 최소화라는 개념이 적용되는 방법이므로 격리의 표준주의의 개념을 상당부분 포함한다. 외과적 무균술은 병원균 및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멸균술(sterile technique)이라고도 하며, 수술이나 수술 시에 적용한다. 2. disin...2025.05.02
-
식품 가공을 위한 포자 멸균2025.01.071. Clostridioides difficile Clostridioides difficile은 Firmicutes문, Clostridia강에 속하는 혐기성 내생 포자 형성 세균으로, 사람에게 위장 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입니다. C. difficile의 내생 포자는 1차 담즙산에 의해 발아가 시작되며, 항생제나 장내 미생물의 대사산물에 의해 억제됩니다. 또한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으로 인해 리소좀의 효과에 저항합니다. 2. 멸균(Sterilization) 멸균은 살아 있는 모든 세포와 포자, 그리고 비세포성 입자(바이러스, 바이로이...2025.01.07
-
수술실 실습 사전과제2025.05.151. 수술실 기본조직과 구조 수술실에는 감독실, 갱의실, 손소독실, 소독물품실, 오물처리실, 기계실, 공급실, 마취실, 창고, 석회 붕대실, 검사실, 방광경 검사실, 간호사실, 마취사실, 회복실 등 다양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각 공간의 역할과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모자, 마스크, 수술가운, 장갑 착용법 수술실에 들어가기 전 착용해야 하는 모자, 마스크, 수술가운, 장갑의 착용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멸균 유지를 위한 주의사항과 절차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3. 손씻기 수술실에서 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손씻...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