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개
-
동서양고전의 이해2025.01.251. 맹자 맹자(孟子, 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로,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에 활동했다. 그가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책 '맹자(孟子)'는 정치와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폭넓게 아우르는 책으로,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맹자는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도덕적 본성인 '인(仁)'과 '의(義)'를 근거로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교육과 수양을 통한 인간의 도덕적 발전 가능성을 강조했다. 2. 다윈의 『종의 기원』 비글호를 타고 남아메리카를 여행하던 중 다윈은 ...2025.01.25
-
동서양고전의 이해2025.01.251. 연암 박지원의 작문 이론 연암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다. 그는 연암집에서 글을 잘 짓는 이를 '소단적치인(騷壇赤幟引)'이라 비유하며, 간결하고 명료한 문체, 논리적 사고, 독자 중심의 태도를 강조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가치를 지닌다. 2. 롤스의 정의론 존 롤스(John Rawls)의 '정의론'은 사회 정의와 개인의 자유, 평등 등을 논의하며, 제1원칙(평등한 자유의 ...2025.01.25
-
동서양고전의 이해2025.01.251. 순자의 성악설과 예의 중요성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성악설을 주장하였으며, 예(禮)를 통해 인간의 본성을 교정하고 사회적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순자의 사상은 중국의 철학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서인 '순자'는 유교 철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순자의 성악설과 예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쇼펜하우어의 반합리주의 철학: 표상과 의지의 세계 쇼펜하우어는 세상의 본질을 '의지'로 보고, 인간이 경험하는 세상은 그 의지가 표상화한 형태라고 주장했다. ...2025.01.25
-
동서양고전의 이해2025.01.251. 순자의 자연관 순자(荀子,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38년?)는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 말기의 유교 사상가이자 학자로,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성악설을 주장하였으며, 예(禮)를 통해 인간의 본성을 교정하고 사회적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순자의 자연관인 '하늘과 사람은 서로의 역할이 있다'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담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철학적 개념이다. 2. 쇼펜하우어의 철학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19세기 독일의 대표적인 철학자 중 한 명으로, '의지와 ...2025.01.25
-
[KMOOC] 동양고전 사서에서 찾는 인간의길 기말고사 족보2025.05.141. 고전의 특성 고전은 시간적 연속성과 공간적 확대가 지속가능하며, 표현형식이 없어도 전범이 될 만한 내용을 담고 있는 형식이다. 고전의 탐독을 통해 창의적 지혜를 얻을 수 있다. 2. 이타적 행위의 목적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에 따르면, 벌집에 뛰어드는 적을 향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며 침을 쏘는 일벌의 행위는 이기주의에 기반한다. 3. 행복의 조건 하버드대학 성인발달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연결과 관계의 질이 건강한 수명 유지와 행복에 중요하며, 관계의 단절로 인한 고독은 행복의 조건이 아니다. 4. 맹자의 도덕 사상...2025.05.14
-
동서양고전의 이해 - 교재 『동서양 고전의 이해』(2021)를 중심으로2025.01.251. 대승기신론소 대승기신론은 1500여 년 전에 쓰인 논서이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많은 의미를 지닌다. 대승기신론은 진여의 변하지 않는 본성과 일심의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진정한 삶의 의미와 방향을 제시해준다. 또한, 심진여문(心眞如門)과 심생멸문(心生滅門)의 개념은 우리가 현실 세계와 이상 세계를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신학대전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독교 신학과 결합하여 독창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했다. 그의 대표작인 『신학대전』에서는 신의 존재, 인간의 본성과 구원, 윤리와 정치 등...2025.01.25
-
동서양고전의 이해 - 교재 『동서양 고전의 이해』(2021)를 중심으로2025.01.251. 최한기의 기학(氣學) 최한기(1803-1879)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로서 전통적인 유학의 인식론과 서구의 과학적 성취를 융합하여 독특한 학문 체계인 기학(氣學)을 수립하였다. 그는 기(氣)를 세상을 구성하는 근본적인 요소로 보았으며, 기의 운동을 통해 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하였다. 또한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연결을 강조하였다. 최한기의 기학은 조선 후기 학계와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서양 과학 기술의 도입과 국내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 베르그송의 지속(Durée) 개념...2025.01.25
-
동서양고전의 이해와 비판적 사고2025.01.251. 신채호의 『조선상고사』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는 일제강점기에 대한민국(조선) 상고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학술 역사서이다. 신채호는 역사를 '아'와 '비아'의 투쟁으로 보며, 조선 문명의 기원, 시대상의 변천, 민족의식 및 주변 국가와의 관계, 조선의 지위 및 부흥문제 등을 서술하여 일제에 대항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사관은 독립운동의 근간이 되었으나, 현재 일부 친일 사학자들에 의해 폄하되고 있다. 2.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는 정의로운 국가와 국민들의 의식을 다루고 있다. 현실주의자 글라우콘의 관점과 소크라테스의 ...202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