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2 등전위선 결과보고서A+2025.05.011. 등전위선 실험을 통해 원 내부의 각 점에서 측정한 전위가 거의 차이가 없어 등전위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체 상의 모든 점에서 전위가 같은 이유는 등전위 상의 변위와 전기장이 수직이기 때문이다. 속이 빈 도체의 내부 공간에서도 전하가 존재하지 않아 전기장이 0이 되므로 등전위 상태가 된다. 1. 등전위선 등전위선은 전기장 내에서 전위가 일정한 선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기장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등전위선은 전하가 전기장 내에서 움직일 때 받는 전위 에너지가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전기장의...2025.05.01
-
물리학실험- 등전위선2025.05.011. 등전위선 이번 실험을 통해, 여러 형태의 전극 사이에서 형성되는 등전위선을 구하고 여러 점에서의 전기장을 측정하여 전위와 전기장의 관계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보면, 막대 전극보다 원형 전극에서의 전위가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전기력은 양에서 음으로 향하기 때문에,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의미하는 전위가 막대전극을 향할수록 낮아지게 된다. 또한 등전위선의 간격과 전기장은 반비례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론과 실험으로부터 도체 내부의 전위 차는 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등전위선 등전위선은 전기...2025.05.01
-
물리학실험 정전기전하 결과레포트2025.05.151. 정전기 유도 정전기 유도(靜電氣 誘導, electrostatic induction)는 물체에 대전체를 가까이 했을 때, 자유 전자가 이동하여 대전체와 가까운 쪽에는 대전체와 다른 전하, 먼 쪽에는 같은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이다. 정전기 유도는 영국인 과학자 존 캔턴이 1753년에, 스웨덴인 교수 요한 칼 빌케가 1762년에 발견했다. 윔셔스트 발전기, 밴더그래프 발전기, 전기쟁반 같은 정전기 발전기는 이 현상을 사용한다. 정전기 유도로 인해 전위(전압)은 물체의 어디서든지 일반적으로 일정하다. 2. 도체의 유도 정전기 유도는 ...2025.05.15
-
한양대 일반물리학실험2 <등전위선과 전기장> A+레포트2025.04.301. 등전위선과 전기장 실험을 통해 막대 전극, 원형 전극, 실린더 모양의 전극과 점 전극의 등전위선 그림을 얻을 수 있었고 대체적으로 전극의 중심 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등전위선이 그려졌고 전극에 가까울수록 등전위선의 모양이 더 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극의 모양에 따라 등전위선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극의 표면에서 외부로의 전기장의 방향은 전극의 표면에 대해 수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장의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등전위선은 전극의 표면과 평행하게 그려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2. 오차 분석 ...2025.04.30
-
Four-point probe resistivity measurement 결과보고서2025.05.051. Four-point probe resistivity measurement 이번 실험에서는 4-point probe를 사용하여 알루미늄과 실리콘의 비저항을 계산하고 온도에 따른 비저항의 변화를 확인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도체인 알루미늄의 비저항이 반도체인 실리콘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알루미늄의 비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시료의 크기, 두께와 비저항 사이의 관계, 보정계수(K)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1. Four-point probe resistivity meas...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