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7개
-
컴퓨터네트워크_OSI 모델과 TCP IP 모델의 각 계층의 기능을 정리하고 비교하여 설명하라2025.01.171. OSI 모델 OSI 모델은 네트워크를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만든 모델이다. 각 계층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 2) 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 흐름과 오류 제어, 3) 네트워크 계층 - 최적의 경로 선택 및 데이터 전송, 4) 전송 계층 - 흐름 제어 및 오류 제어, 5) 세션 계층 - 통신 시작/종료 및 동기화, 6) 표현 계층 - 데이터 형식 정의 및 변환, 7) 응용 계층 - 사용자 응용...2025.01.17
-
OSI 7계층과 메시지 전송 원리2025.05.121. OSI 7계층 OSI 모델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만든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모델입니다. 7개의 계층은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계층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2. 메시지 전송 원리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려면 데이터가 송신 장치의 OSI 7계층을 거쳐 하향 이동한 후 수신 장치의 7계층을 거쳐 상향 이동해야 합니다. 데이터는 전송 계층...2025.05.12
-
정보통신기기I ) 자동 재전송 방식(ARQ)에 대해서 설명하시오.2025.05.141. ARQ의 개요, 정지대기 ARQ 원리 및 특징 ARQ는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중 오류 검출 및 복구를 위한 기술이다. ARQ는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된다. ARQ는 기본적으로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 송신자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으로 나눈다. 둘째, 수신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CRC 등의 오류 검출 코드를 이용해 오류를 검출한다. 셋째, 오류가 검출된 경우, 수신자는 이를 송신자에게 알리고, 송신자는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자에게...2025.05.14
-
[A+ 레포트] 네트워크 I - 네트워크 통신방식에서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방식을 설명하시오2025.01.141. 유니캐스트 유니캐스트 방식은 한 대의 송신자가 특정 한 대의 수신자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가장 일반적인 통신 방식으로, 인터넷 상에서 대부분의 데이터 전송이 이 유니캐스트 방식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유니캐스트는 특정 대상과의 1:1 통신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2. 브로드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가 송신자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야 할 때 사용됩니다. 브로드캐...2025.01.14
-
라이파이(Light Fidelity)원리, 장점, 한계 및 전망2025.01.211. 라이파이(Light Fidelity) 개념 Li-Fi(Light Fidelity)는 광통신 기술의 일종으로, LED 조명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혁신적인 통신 방식이다. Wi-Fi(Wireless Fidelity)와 달리, Li-Fi는 전파 대신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기술은 전통적인 무선 통신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그 가능성과 응용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2. 라이파이 등장배경 1) 전파 스펙트럼의 포화 2) 보안과 프라이버시 문제 3) 전파 간섭 문제 4) 에너지 효율성 ...2025.01.21
-
네트워크1_TCP와 UDP를 각각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환경에 대해 실제 환경을 예를 들어 설명2025.01.21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로 전송하는 연결 지향 방식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TCP는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를 검사하며 목적지에 데이터가 도달했는지 확인하고 재전송을 시도하는 등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TCP는 채팅, 파일 전송, 이메일, 온라인 동영상 검색 및 시청, 웹 검색 등의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2. UDP(User Datagram Protocol...2025.01.21
-
서강대학교 23년도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3주차 Lab03 결과레포트 (A+자료)2025.01.211. 메모리 소자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메모리 소자를 내장하고 있다. 메모리 소자는 크게 ROM과 RAM으로 구분되며, 이 둘의 차이는 volatile 여부로 나뉜다. RAM에서는 CPU가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 SRAM 구조 및 동작 SRAM의 경우 메모리 소자의 한 종류이다. 메모리의 동작을 위해서는 핀들을 통한 신호전달이 필요하다. /CS는 특정 메모리 소자를 선택하는 신호로, LOW일 때 메모리가 선택되어 read/write가 가능해진다. /WE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쓰고자 할 때 LOW가 되어야 ...2025.01.21
-
경영정보시스템 ) 통신프로토콜에 대해 정의하고 인터넷 기반의 TCPIP 모델 구조를 국제 통신표준 규격인 OSI 7계층 모델과 비교하여 설명2025.01.231. 통신프로토콜 통신프로토콜이란 컴퓨터를 포함한 전자기기 간에 상호 접속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하고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게 돕는 규칙의 집합이다. 이 규칙은 정보 송수신 방법과 정보 교환 형식 등을 규정한다. 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되면 전자기기의 기종이나 모델이 다르더라도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전자기기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 의미를 일치시켜 상호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2. TCP/IP 모델 TCP/IP는 미국 국방성에서 개발한 컴퓨터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TCP/I...2025.01.23
-
통신 프로토콜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1.191. 통신 프로토콜 구성요소 통신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 효율성,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크게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타이밍(Timing)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구문은 데이터의 형식과 구조를 규정하고, 의미는 데이터의 목적과 처리 방식을 정의하며, 타이밍은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 시기를 규정한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의 효율성, 신뢰성,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다. 1. 통신 프로토콜 구성요소 통신 ...2025.01.19
-
경영정보시스템_통신프로토콜에 대해 정의하고 인터넷 기반의 TCPIP 모델 구조를 국제 통신표준 규격인 OSI 7계층 모델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2025.01.191. 통신 프로토콜 통신 프로토콜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컴퓨터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규칙과 절차를 정의하는 기술적 표준이다. 통신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의 전송, 포맷,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2. TCP/IP 모델 TCP/IP 모델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인터넷 프로토콜(IP)로 구성된 네트워크 모델이다. TCP/IP 모델은 네 개의 계층으로 나뉘며, 각각의 계층은 특정한 기능을 담당한다. TCP/IP 모델의 계층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인터넷 계층, 전...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