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한국어교육 교수법의 개념과 특징2025.01.191. 한국어교육 교수법의 개념 한국어교육에서는 문법번역교습법, 청각구두교습법, 시청각교습법, 커뮤니케이션교습법 등 다양한 교수법이 사용되어 왔다. 각각의 교수법은 장단점이 있으며,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따라 변화해왔다. 1990년대부터는 커뮤니케이션 교수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하나의 교수법일 뿐이며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교수법을 선택하거나 혼합할 필요가 있다. 2. 한국어교육 교수법의 특징 한국어교육에서 사용되는 주요 교수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직접교수법은 교사 중심의 문법번역 교수법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했으...2025.01.19
-
절차 중심 교수요목을 설명하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 모색2025.01.171. 절차 중심 교수요목 절차 중심 교수요목(procedural syllabus)은 학습 내용보다는 학습 과정의 측면에서 목표언어를 사용해 달성해야할 과제(task)를 상세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내용을 조직하는 교수요목이다. 프라부(Prabhu)가 1972년에 개발한 CTP(communicational teaching project)에서 시작하였으며, 언어 학습보다는 과제(task)의 완성에 초점을 둔다. 학습자들이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면서 의미를 중심으로 목표어를 이해하게 되고 언어 체계를 무의식적으로 구축하여 문법 체계의 발달을...2025.01.17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교육론-말하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2025.01.201.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말하기는 음성언어로 의사소통하는 표현 영역이며 언어와 비언어적 도구를 사용하여 화자가 자신의 생각, 감정, 정보 등을 표현하는 기능이다. 시대에 따라 언어를 보는 관점, 교수법, 학습 목적, 학습 과정 등이 변화하면서 말하기 교육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서는 말하기가 중요하지 않았지만, 직접식 교수법, 청각구두식 교수법, 공동체 언어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등으로 발전하면서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차 증가했다. 2. 현재 말하기 교육과 언어...2025.01.20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과제 -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 교실 적용 교수 방법 (말하기 수업 사례)2025.01.201.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를 살펴보면, 문법 번역식 교수법, 청각 구두식 교수법,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등이 있다. 문법 번역식 교수법은 문법 규칙을 설명하고 연습하는 방식이었고, 청각 구두식 교수법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자동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방식이었다.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은 언어 사용 환경과 맥락에 초점을 두고 통합적인 언어 기능 향상을 목표로 한다. 2. 교실 적용 교수 방법 - 말하기 수업 사례 말하기 수업에서는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를 기반으로 과제 중심 교수법과 형태 초점 언...2025.01.20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과제중심 교수요목의 대안으로 제시된 focus on form의(형태를 고려한 과제 중심 교수법) 기법에 대해 focus on forms(문법초점교수법-문법번역식, 청화식 교수법), focus on meaning(의미초점교수법-의사소통교수법)과 비교하여 구체적인 예를 바탕으로 설명하시오.2025.01.201. focus on forms 문법초점 교수법 문법초점 교수법은 전통적인 제 2언어 교수법으로 목포 언어 형식을 학습하는데 초점을 두고, 단어, 규칙, 구조, 기능, 개념, 의미 등으로 분리시켜 언어의 개별 요소를 먼저 학습한 후에 각 부분들을 통합해가는 통합적 접근법이다.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청화식 교수법이 이에 해당한다. 2. focus on meaning 의미초점 교수법 의미초점 교수법은 학습자가 언어를 맥락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둔다. 자연적 교수법과 의사소통 교수법이 이에 해당한다. 자연적...2025.01.20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2025.05.051. 관광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 교육 관광 및 한국어 학습을 목적으로 3주 동안 한국을 방문한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에 사용될 교수요목을 작성하였다. 관광 목적의 학습자들은 한국의 문화에 관심이 있거나 한류 문화에 관심이 있는 경우로 구분되며, 이들의 공통적인 목적은 여행 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다. 따라서 듣기와 말하기 능력 향상, 상호작용 중심의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과제 중심의 교수요목을 선정하였다. 2. 단기 관광 목적 학습자의 교육 목적 및 목표 단기 여행자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들의 교육 목적을 다음...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