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전기설비의 기능별 분류와 특징 설명2025.01.191. 전력부하설비 전력부하설비에는 조명설비, 동력설비, 전열설비가 있다. 조명설비는 건축물 내부의 밝기를 조절하고 공간을 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설비는 건물에 설치된 전동기를 구동하는 설비이며, 일반동력과 비상동력으로 구분된다. 전열설비는 전류의 발열 작용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대표적으로 콘센트가 있다. 2. 전원설비 전원설비는 전기 에너지의 공급원 설비로, 수변전설비, 예비전원설비, 축전지설비로 구성된다. 수변전설비는 전력회사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전압을 조절하는 설비이며, 예비전원설비와 축전지설비는 정전 시 비상전...2025.01.19
-
위험물제조소 등에 설치되는 채광, 조명, 환기설비 및 환기설비와 배출설비의 차이점 비교2025.05.131. 위험물제조소 등의 채광, 조명, 환기설비 위험물제조소 등에는 채광설비, 조명설비, 환기설비가 설치됩니다. 채광설비는 창문을 통해 실내 조도를 확보하고, 조명설비는 위험물 취급 시 화재 위험을 고려하여 설치됩니다. 환기설비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적입니다. 2. 환기설비와 배출설비의 차이점 환기설비와 배출설비는 목적과 구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환기설비는 자연배기 방식으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지만, 배출설비는 강제 배출 방식으로 실내의 미분이나 가연성 증기를 실외로 배출시킵니...2025.05.13
-
건축설비 및 IoT 기술 레포트2025.05.141. IoT(Internet of Things) IoT(Internet of Things)는 사물들이 상호 작용하는 네트워크로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집, 교환, 분석하고 상호 작용하게 한다. 건축에서는 건물 관리 분야에서 중요성을 갖는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2. 건물자동제어시스템(BAS) 건물자동제어시스템은 건물 내 다양한 시스템과 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주요 목적은 건물 내의 안전성, 편의성,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3.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은 건물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