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개
-
최신 WiFi 기술 중 IEEE 802.11ax 및 IEEE 802.11be 표준의 특징 비교2025.05.111. IEEE 802.11ax IEEE 802.11ax는 다양한 전파 환경에서 전송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다중 사용자 미모(MU-MIMO) 기술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방식을 사용한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WLAN)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2.4 GHz ISM 대역과 5 GHz U-NII 대역을 포함하여 1~7 GHz 대역에서 동작이 가능하며, 접근점(AP) 밀집 환경에서 전송효율을 802.11ac보다 4배 이상 높여 전송 용량을 증대시킵니다. 또한 실외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IoT 용도로도 ...2025.05.11
-
WiFi 프로토콜 비교: 802.11a와 802.11ac2025.11.171. 802.11ac 프로토콜 2013년에 도입된 802.11ac는 5세대 와이파이 기술로 5GHz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합니다. 최소 1Gbps의 다중 스테이션 WLAN 처리량을 지원하며, 최대 160MHz의 넓은 채널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MIMO 기술과 빔포밍을 지원하여 여러 데이터 스트림의 동시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신호 강도를 향상시킵니다. 2.4GHz 대역과 역호환되어 이전 장치와의 연결이 호환됩니다. 2. 802.11a 프로토콜 1999년에 도입된 802.11a는 5GHz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최초의 표준입니다. 최대...2025.11.17
-
강화학습을 이용한 unslotted CSMA_CA backoff 학습법2025.04.251. IEEE 802.15.4 프로토콜 IEEE 802.15.4 프로토콜은 저전력 및 저속 WSN(Wireless Sensor Network)의 특성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MAC계층은 unslotted, slotted 두가지의 CSMA/CA알고리즘을 지원하며, 본 논문에서는 Unslotted CSMA/CA 알고리즘을 개선하고자 합니다. 2. Unslotted CSMA/CA 알고리즘 Unslotted CSMA/CA 알고리즘은 시간동기화 없이 패킷을 전송하지만, 주변 트래픽이 혼잡해질수록 패킷 충돌확률이 높아져 PDR이 급격...2025.04.25
-
OSI 7계층을 나눈 이유에 대해 PC사용중 인터넷 연결이 끊긴 경우 설명2025.01.041. OSI 7계층 소개 OSI(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품군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각각 특정 기능을 가진 7개의 개별 계층으로 나눕니다. 각 계층은 직접 이웃 계층하고만 통신하며, 데이터는 전송 장치의 계층을 통해 전달됩니다. 2. OSI 7계층 사례 PC 사용 중 인터넷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OSI-7 계층 모델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각 계층의 기능을 확인하여 물리적 연결,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전...2025.01.04
-
[A+, 에리카] 2021-1학기 논리설계및실험 Verilog HDL 3 실험결과보고서2025.05.011. Verilog HDL Verilog HDL은 FPGA나 집적회로 등의 전자 회로 및 시스템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기술 언어입니다. IEEE 1364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회로 설계, 검증, 구현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Verilog HDL을 사용하면 회로도 작성 대신 언어적인 형태로 전자회로의 기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회로를 구성하는 Synthesis 부분과 회로의 동작을 가상으로 시험하는 Test bench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로 Data Flow level과 Structural level을 이용한 설계를 사용...2025.05.01
-
Verilog HDL을 이용한 AND Gate 설계 및 FPGA 구현2025.11.121. Verilog HDL Verilog HDL은 FPGA나 집적회로 등의 전자 회로 및 시스템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기술 언어로, IEEE 1364로 표준화되어 있습니다. 회로 설계, 검증, 구현 등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회로도 작성 대신 언어적 형태로 전자회로의 기능을 구성합니다. Module 단위로 설계되며, Synthesis 부분과 Test bench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HDL 설계 레벨 HDL 설계는 세 가지 레벨로 구분됩니다. Behavioral level은 진리표와 같이 case를 이용하여 회로의 동작을 정확하...2025.11.12
-
사물인터넷 연결성 제공을 위한 장거리, 저전력 무선 통신기술과 IoT 동향2025.04.291. 사물인터넷 연결성 제공을 위한 장거리, 저전력 무선 통신기술 사물인터넷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연결 시스템 아키텍처는 간단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터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갖춘 복잡한 무선 네트워크까지 다양하다. 이 글에서는 GHz 이하 대역에서의 저전력 장거리 무선 연결에 대해 다루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스마트 계량기, 홈오토메이션 디바이스, 웨어러블 전자 제품 등이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장거리 실외 네트워크부터 단거리 실내 네트워크까지 다양...2025.04.29
-
[A+, 에리카] 2021-1학기 논리설계및실험 Verilog HDL 2 실험결과보고서2025.05.011. Verilog HDL Verilog HDL은 FPGA나 집적회로 등의 전자 회로 및 시스템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기술 언어입니다. IEEE 1364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회로 설계, 검증, 구현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HDL을 사용해 설계할 경우 회로도 작성 대신 언어적인 형태로 전자회로의 기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회로를 구성하는 Synthesis 부분과 회로의 동작을 가상으로 시험하는 Test bench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듈 단위로 설계하며, Behavioral level, Data Flow level, St...2025.05.01
-
한양대 Verilog HDL 12025.05.041. Verilog HDL Verilog는 IEEE 1364로 표준화된 전자회로 및 시스템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기술 언어입니다. VHDL과 다르게 순차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clock에 따라 동시 동작하기 때문에 동시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Verilog HDL은 Behavioral, Data flow, Structural 레벨로 나뉘며 각각 장단점이 있어 목적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2. AND Gate AND gate의 Verilog 코드를 작성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출력 값이 AND gate의 Truth table과 일치하...2025.05.04
-
국내외 간호정보학 연구동향 보고서2025.04.281. 사물인터넷 서비스 사물인터넷은 기본의 유선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이다. 인터넷 연결 기기가 상호 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한다. 센싱 기술, 인터페이스 기술, 네트워킹 기술 등이 사물인터넷의 핵심 기술이다. 2.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 디바이스는 PC와 다르게 이동성을 제공하고, GPS, 가속도 센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센서를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어 다양한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에 활용이 가능하다. 유헬스 사용자, 개인용 건강 단말부, 건강정보 중계부 등이 스마트 헬스케어...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