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1개
-
교양 라틴어 문법 정리본(중간)2025.01.241. 1,2활용 동사의 어미 변화 라틴어 기초 문법 정리본에서는 1,2활용 동사의 어미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칭 1, 2, 3 단수의 어미는 각각 -o (혹은 -m), -s, -t이며, 복수의 어미는 -mus, -tis, -nt입니다. 2. 1변화 명사의 어미 변화 1변화 명사는 대개 -a로 끝나며, 여성 명사가 대부분입니다. 격 변화는 주격, 속격, 여격, 대격, 탈격, 호격으로 이루어지며, 단수와 복수의 어미 변화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3. 2변화 명사의 어미 변화 2변화 명사에는 -us로 끝나는 남성 명사와 -um...2025.01.24
-
-e 쇠퇴의 일파만파, 단순부사2025.04.301. -e 의 쇠퇴와 -ly 의 역할 변화 -e가 음성적으로 약화되면서 부사를 표시하기 역부족이 됨. 형태적, 음성적으로 명확한 -ly가 부사접사로서 기능하게 되었고, -e와 무어미의 대립이 없어지자 본래 -e가 가진 부사표시 역할을 -ly가 대신하게 되었다. -e 소실의 원인은 영어가 주로 첫 음절에 강세를 가지기 때문이며, 그 결과 형용사와 부사가 동일한 형태로 쓰이게 되기도 하고 형용사에 -ly를 첨가한 부사형도 쓰이게 되었다. -ly가 부사표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본래 가진 형용사접사로서의 역할이 방해가 되어 형...2025.04.30
-
한국어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2025.01.061. 동사의 특성과 분류 동사는 의미 범위에 따라 넓은 의미에서는 형용사를 포함하며, 좁은 의미에서는 형용사와 구별된다. 동사는 형태론적으로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는-/ -ㄴ-'과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는'을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고, 현재진행형 '-고 있다'의 결합도 자유롭다. 또한 명령형, 청유형, 연결어미 등과 결합할 수 있다. 통사론적으로는 목적어 유무에 따라 타동사와 자동사로 나뉘며, 피동사, 사동사, 본동사, 보조동사 등으로 세분화된다. 의미론적으로는 이동동사, 심리동사, 수행동사, 단언동사, 대칭동사, 수혜동사,...2025.01.06
-
한국어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 분석2025.11.141. 동사의 정의와 분류 동사는 시제나 상을 나타내며 능동태, 수동태, 사동태의 활용이 가능한 품사이다. 동작에 따라 주동사, 사동사, 능동사, 피동사로 분류되며, 의미에 따라 이동동사, 심리동사, 화행동사, 단언동사, 대칭동사, 수혜동사, 지각동사, 인지동사, 기원동사, 재귀동사로 나뉜다. 상에 따라서는 과정동사, 순간동사, 지속동사로 분류된다. 동사는 본동사와 보조동사로도 구분되며 어미가 붙을 수 있어 주로 서술어로 기능한다. 2. 형용사의 정의와 분류 형용사는 의미와 논항을 기준으로 존재 형용사, 감각 형용사, 평가 형용사, ...2025.11.14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2025.01.231. 동사의 정의와 특징 동사는 주어가 무엇을 하거나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주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문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동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시간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는 점이다. 동사는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 개념에 따라 시제를 가지며, 이는 동사의 활용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2. 형용사의 정의와 특징 형용사는 사물이나 사람의 성질, 상태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이다. 형용사는 주어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형용사는 동사와 달리 시제에 따라...2025.01.23
-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형용사 사용 오류 분석2025.05.061. 한국어와 영어의 형용사 특징 비교 한국어와 영어는 서로 다른 언어 체계를 가지고 있어 형용사 사용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주로 명사 앞에 위치하며, 관형격 활용을 합니다. 또한 형용사에 종결어미가 붙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영어에서는 형용사가 일반적으로 명사 앞에 위치하며, 변화 없이 그대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영어권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면서 형용사 사용에서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한국어 형용사의 관형격 활용 한국어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2025.05.06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하여2025.01.051. 동사와 형용사의 개념 동사는 사물의 움직임을 과정적으로 표시하는 품사이며, 형용사는 주체의 성질과 상태를 상태적 또는 정지적으로 나타내는 품사이다. 두 품사 모두 문장의 주어를 서술할 수 있으며 어미를 활용할 수 있고 부사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 2.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 동사는 동작성, 형용사는 상태성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형태적으로 동사는 명령형, 청유형, 종결어미와 결합할 수 있지만 형용사는 불가능하다. 또한 형용사는 시제 범주와의 결합은 가능하나 '~어 있-' 또는 '~고 있~'과 같은 범주와 결합하기 어려운 ...2025.01.05
-
스페인어 형용사2025.04.281. 형용사의 성과 수 일치 스페인어 형용사에서 품질 형용사와 한정 형용사는 명사의 성과 수에 일치해야 합니다. 단수 남성은 '-o'로, 단수 여성은 '-a'로, 복수 남성은 '-os'로, 복수 여성은 '-as'로 끝납니다. 또한 '-o' 이외의 문자로 끝나는 대부분의 형용사는 성에 따른 변화 없이 수 변화만 합니다. 2. 형용사의 위치 품질 형용사는 대체로 명사 뒤에 놓여 명사의 성질이나 상태를 제한합니다. 하지만 명사 앞에 놓여 명사가 가지고 있는 속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형용사가 명사 앞에 쓰일 때와 뒤에 쓰일 때 의미가 다...2025.04.28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2025.01.231.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 동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로 주어에 대한 서술어 기능을 하며, 과거시제와 비과거시제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형용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 상태, 존재를 표현하는 품사로 동사와 비슷하지만 의미상, 분포상, 형태상의 차이가 있다. 동사는 명령법, 청유법 등을 만들 수 있지만 형용사는 불가능하며, 동사는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는-', '-ㄴ-'이 결합할 수 있지만 형용사는 불가능하다. 또한 동사는 관형사형 전성어미 '-는-'이 사용될 수 있지만 형용사는 불가능하다. 이처럼 동사와...2025.01.23
-
한국어 관형사와 형용사의 구분 및 교수법2025.11.131. 관형사 관형사는 체언을 수식하는 불변화어로, 지시관형사(이, 그, 저, 어떤 등), 성질관형사(새, 헌, 오른 등), 수량관형사(한, 첫, 여러 등)로 분류된다. 조사나 어미가 연결되지 않으며 오직 체언 수식 기능만 가진다. 용언의 관형형과 달리 어미 변화 없이 체언을 수식하고, 접두사와는 띄어쓰기로 구별된다.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체언 앞에서 변하지 않는 수식어라는 점을 강조하여 가르칠 수 있다. 2. 형용사 형용사는 용언에 속하며 사물의 성질·상태·존재를 표현한다. 동사와 달리 진행형이 없고, 명령법·청유법이 쓰이지 않으며,...202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