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성인간호학케이스 간염(허혈성), 부정맥, 심부전 -> A+2025.01.171. 간염 간염은 크게 두 분류로 나누자면, 바이러스성 간염과 기타 간염인 독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전격성 간염 등으로 분류한다. 바이러스성 간염의 종류에는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D형 간염, E형 간염, G형 간염까지 있다. 이 중 B형, C형, D형 간염바이러스들이 만성간염을 일으킨다. 간염이 발병하여 6개월 이내인 경우는 급성 간염으로, 그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만성 간염으로 구분한다. 2.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것을 말한다.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문제가 생겨 심장이 규칙적으로 뛰지...2025.01.17
-
뇌내출혈(ICH) 케이스, 뇌출혈 케이스 / 뇌압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뇌조직관류장애, 비효과적 기도청결2025.01.161. 뇌내출혈(ICH) 뇌내출혈은 혈관의 파열에 의해 뇌 안쪽에 생긴 출혈로, 전체 뇌졸중의 10%정도를 차지한다. 가장 중요한 원인은 고혈압이며, 그 외 원인으로 혈관기형, 응고장애, 항응고제나 혈전용해제, 외상, 뇌종양, 동맥류 파열 등이 있다. 출혈은 활동할 때 주로 발생하며, 출혈이 수분 내지 수시간 동안 진행된다. 증상의 정도는 출혈의 양과 위치, 기간에 따라 다르다. 밀폐된 머리뼈 안에 생긴 혈액응괴는 혈종을 형성하여, 뇌조직의 압박과 전위를 일으켜 뇌혈류의 감소 및 허혈과 경색을 초래한다. 2. 고혈압(HTN) 고혈압은...2025.01.16
-
검진으로 알 수 있는 건강정보2025.01.271. 혈액검사 혈액은 사람 몸무게의 약 7~8%정도를 차지하는 체액 성분으로 약 55%의 혈장과 45%의 혈구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액은 체내에서 혈관을 통해 흐르면서 여러 장기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감염에 맞서 싸울 수 있는 항체나 세포를 전달하기도 하며 출혈이 발생하면 혈액을 응고시켜 출혈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혈액에는 개인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가 담겨 있으므로 혈액검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해석함으로써 다양한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진단하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 일반혈액검사 일반혈액...2025.01.27
-
[A+] 간경화증 (liver cirrhosis)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2025.01.121. 간경화증의 구조와 기능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샘으로 정상 성인의 간의 무게는 약 1,500g이며 오른쪽 횡경막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간은 우엽과 좌엽으로 나뉘고 우엽의 뒷면과 아랫면에 미상엽과 방형엽이 있다. 간소엽은 간의 좌우 각 엽에 5-10만개 존재하며 길이는 1-2mm로 아주 가늘고 작다. 간에서 생성된 담즙은 담모세관을 따라 간소엽 내의 담관으로 흐른다. 간을 순환하는 동안 동맥혈은 풍부한 산소를 공급하고 정맥혈에 포함된 영양소는 대사와 저장과정을 거치며 독성 물질이 해독된다. 2. 간경화증의 병태생리 간경화증은 ...2025.01.12
-
간호학과 병리학 정리(레포트) - 염증과 수복, 순환장애, 면역질환, 신생물(종양), 감염성 질환, 순환계통질환, 혈구생성계통 질환, 호흡계통질환, 소화계통질환, 비뇨계통질환, 생식/내분비계통질환, 신경/감각/근육뼈대계통/피부 질환2025.04.271. 병리학이란? 병리학은 우리 인간의 질병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로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리학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질병(disease)을 나타내는 Pathos와 학문 또는 과학을 나타내는 logs의 합성어로 질병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한 의학의 가장 기초분야이다. 2. 질병의 원인 질병의 원인은 크게 외인인자와 내인인자로 나뉜다. 외인인자에는 영양장애, 물리적 요인, 병원체, 화학적 인자 등이 있고, 내인인자에는 연령, 성별, 인종, 유전상태 등이 있다. 질병은 선천적 질환과 후천적...2025.04.27
-
신생아기, 영아기, 걸음마기, 유아기 4단계에서 흔한 건강문제들2025.05.151. 미숙아 미숙아는 출생 후 체중이 2.5kg 이하이고 37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말한다. 미숙아가 태어날 확률은 전체 출생아의 5~10% 정도이며, 특히 임신 기간 중 산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그 위험성이 증가한다. 미숙아로 태어나면 호흡 곤란증, 괴사성 장염, 기관지폐이형성증, 뇌출혈, 장 폐색증, 패혈증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따라서 미숙아 치료에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미숙아에게 가장 중요한 예방책은 조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분...2025.05.15
-
병리학 정리노트 (2)2025.05.131. 순환계통 질환 순환계통은 펌프 역할을 하는 심장, 혈액의 통로가 되는 혈관, 물질을 실어 나르는 혈액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심장은 온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단단한 근육주머니로 평생 단 1초도 쉬지 않고 혈액을 펌프질하여 혈액이 우리 몸 곳곳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심장질환에는 심장기능상실, 선천성 심장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심내막염 등이 있습니다. 2. 호흡계통 질환 호흡계통은 코, 코인두, 후두, 기도, 허파, 기관지, 세기관지, 호흡세기관지, 허파꽈리관, 허파꽈리로 구성됩니다. 상기도 질환에는 편...2025.05.13
-
성인간호학 요약본2025.05.141. 정상 생리적 범위 중심정맥압(CVP) 4-12cmH₂O or 0-7mmHg, 폐모세혈관쐐기압(PCWP) 4-12mmHg, 흉관배액량 100mL/hr 미만, Hgb 12-16, HbA1c 5.7% 미만, Hct 34-49%, PLT 150-450, BUN 5-25, Creatinine 0.5-1.5, BUN/Cr 비 10-20:1, 크레아티닌 청소율 75-125, 요비중 1.010-1.025, Albumin 3.5-4.5, K 3.5-5.1, Na 135-145, Ca 4.5-5.5mEq/L or 8.5-10.5mg/dL, Ph...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