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35개
-
정신간호 항정신병약물 요약2025.05.081. 항정신병약물 항정신병약물은 뇌의 감정작용 부분인 limbic system에서 dopamine receptor를 차단하여 dopamine 활성을 감소시킨다. 이를 통해 사고장애, 지각장애 등의 증상이 호전되며, 신경이완효과와 진정효과도 나타난다. 정형적 항정신병 약물과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 구분되며, 주요 부작용으로는 추체외로계 증상, 자율신경계 부작용, 내분비 및 대사성 부작용 등이 있다. 이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2. 항우울제 항우울제는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재흡수를 감소시켜 우울증상을 개선한다. 삼환계 ...2025.05.08
-
정신간호학 항정신병약물 보고서 A+받은 자료입니다.2025.05.151. 정형 항정신병 약물 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출현하면서 이와 구분하기 위해 처음 개발된 항정신병 약제인 클로르프로마진 및 이와 유사한 약물들을 말한다. 이는 도파민수용 차단제, 1세대 항정신병 약물로 불리기도 한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클로르프로마진, 할로페리돌 등이 있다. 2.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세로토닌 2A 수용체 차단 작용이 강하여 세로토닌-도파민 수용체 차단제라고 불린다. 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비해 흑질-선조체 도파민 경로, 결절누두체 도파민 경로에서 도파민 길항작용이 적어 ...2025.05.15
-
[정신간호실습 A+] 정신간호 약물 정리, 항우울제, 기분안정제, 항불안제, 항정신병 약물2025.05.051. 항우울제 항우울제는 우울장애, 양극성장애의 우울 단계 및 기타 우울 증상의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항우울제가 필요한 증상은 불행감, 식욕 및 에너지 저하, 무쾌감증, 집중력 감소, 절망 및 자살의도 등이며 불안장애의 치료에도 사용된다. 하지만, 항우울제는 심혈관계 장애나 경련장애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주의 깊게 사용되어야 한다. 보통 항우울제 투여 전에 자살성향을 증가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간호사는 특히 갑작스러운 기분 상승을 경계해야 한다. 2. 기분안정제 기분안정제는 양극성장애와 충동조절장애 치료에 우선 사용된다. 수십 년간...2025.05.05
-
정신 약물 기록(정형/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항조증 약물, 항불안제, 항우울제)2025.05.071. Antipsychotic drugs (Typical Antipsychotics) 올란자핀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를 모두 차단하여 정신분열병, 양극성장애의 조증 및 혼재삽화, 양극성장애 1형의 우울삽화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부작용으로는 과민반응, 체중증가, 혈당 및 콜레스테롤 상승, 당뇨, 졸음, 현기증, 기립성 저혈압, 변비, 구갈 등이 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약물 취급 주의, 부작용 관찰, 교육 등이 필요합니다. 2. Antipsychotic drugs (Atypical Antipsychotics) 할로페리돌은 도파민 수...2025.05.07
-
항정신병약물과 도파민 4가지 경로 (dopamine pathway)2025.01.241. 항정신병약물 항정신병 약물 또는 신경이완제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조현병을 위시한 정신병적 장애를 치료하는 약물로, 인지작용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정신병적 증상들을 진정시킨다. 작용기전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으로, 부작용으로는 추체외로증상과 기타 자율신경계장애를 야기한다. 정형 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 수용체 D2를 차단하여 정신병적 증상을 완화하지만 추체외로 증상 등의 부작용이 있다.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를 차단하며 신경학적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다. 2. 항정신병약물 부작용 항정신병약물의 주요 부작용...2025.01.24
-
정신약물치료 [향정신성 약물(약동학, 약역학, 신경전달물질), 항파킨슨 약물(파킨슨병과 추체외로 부작용, EPSE), 항정신병 약물(정형, 비정형, Dopamine pathway, 약물개요, 부작용, 대사증후군), 항우울 약물(삼환계항우울제,TCA, 세로토닌재흡수억제제,SSRI,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MAOI)]2025.05.121. 향정신성 약물 소개 향정신성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약물의 흡수, 분배, 대사, 배설 과정을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특히 약물의 반감기와 모노아민 산화효소 시스템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약물의 약역학적 특성과 신경전달물질의 작용 기전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습니다. 2. 항파킨슨 약물 항파킨슨 약물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과 추체외로계의 역할, 도파민과 아세틸콜린의 균형 관계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도파민 증가 약물(L-do...2025.05.12
-
조현병 환자에게 사용하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 쿠에티아핀2025.04.301. 쿠에티아핀의 약리기전 및 효과 쿠에티아핀은 정신병 치료제로, 중추신경계에서 기분과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의 과잉 활성을 억제하여 항정신병 작용을 나타낸다. 쿠에티아핀은 조현병, 양극성장애(조울증), 우울증의 보조요법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노인의 섬망, 파킨슨에서의 환시 등의 정신과적 증상에도 사용된다. 또한 불안, 초조함을 진정시키는 작용으로 쓰이기도 하며, 행동조절에 사용되기도 한다. 2. 쿠에티아핀의 부작용 쿠에티아핀의 가장 주된 부작용은 과도한 졸림과 멍한 느낌, 쳐짐 등이다. 또한 콜린성 작용이 강해 눈마름, ...2025.04.30
-
(정신건강과간호) 조현병 환자에게 사용하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리스페리돈, 올란자핀, 쿠에티아핀, 아미설프라이드2025.05.011. 리스페리돈의 약리기전 및 효과, 적응증, 부작용 리스페리돈은 환자의 환각이나 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 조현병 환자, 치매환자의 초조 및 공격성, 정신병적인 증상, 양극성장애와 관련된 조증삽화, 행동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부작용으로는 졸림, 좌불안석증, 체중증가, 고프로락틴혈증 등이 있지만 양성증상에 효과가 좋은 편이다. 약물간호 시 최소 유효량 투여, 부작용 관리, 복용법 교육 등이 중요하다. 2. 약물간호의 구체적인 내용과 간호사의 역할 간호사는 환자에게 약을 빠뜨리지 않고 처방대로 복용하도록 교육하고, ...2025.05.01
-
정신간호학 정신과 약물정리2025.01.021. 정신병적 증상 개선을 위한 항정신병 약물 항정신병 약물은 환각, 망상, 기괴한 행동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기존의 증상뿐 아니라 환자의 인지기능이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주로 조현병의 치료제이지만 조증이나 기질적 정신장애 등의 질환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정신병적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2. 정형 항정신병 약물(1세대 항정신병 약물) 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도파민 경로에서 비선택적으로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한다. 특히 중뇌-피질 경로와 중뇌-변연계 경로...2025.01.02
-
항정신병제 문헌고찰2025.01.271. 정형항정신병제 정형항정신병약물은 조현병을 비롯한 정신과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항정신병약물 중 먼저 개발된 약물들로서 제1세대 항정신병약이라고도 부르며, 환각, 망상 등의 양성증상에는 효과를 보이지만 무논리, 무딘 감정 등의 음성증상에는 효과가 없거나 악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정형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작용이 강하고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작용은 미약하기 때문에 양성증상을 치료하는 효과는 강하지만 음성증상에는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악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2. 비정형항정신병제 비정형항정신병약물은 조현병을 비롯한 ...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