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05개
-
진정제 간호 및 관리2025.11.161. 진정(Sedation)의 정의 및 목적 진정은 의식수준을 낮추기 위해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기법입니다. 안정과 평안을 유지하고, 신체적 불편·통증·불안을 최소화하며, 부적절한 반응과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수면내시경, 뇌파검사, 자기공명촬영, 소아 전산화단층촬영 등 환자의 안전과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필요한 모든 시술 및 검사에 적용됩니다. 과진정이 되지 않도록 호흡억제와 심박동억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2. 진정제의 종류 및 작용 주요 진정제는 Midazolam, Lorazepam, Propof...2025.11.16
-
약리학 수면주기, 진정수면제, 바비튜레이트2025.05.021. 수면주기 수면주기에는 비급속안구운동수면(NREM)과 급속안구운동수면(REM)이 있다. NREM 수면은 1단계에서 4단계까지 있으며, 신체의 휴식과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REM 수면은 빠른 안구운동, 자율활동 증가, 꿈 등의 특징이 있다. 수면의 각 단계에서 관찰되는 뇌파도(EEG) 패턴이 있다. 2. 진정수면제의 작용기전 진정수면제의 작용기전은 뇌활동 억제에 가바(GABA)가 큰 영향을 받는다. GABA가 GABA A 수용체에 결합하면 염소채널을 통해 염소가 뉴런 안쪽으로 유입되어 과분극을 일으켜 신경활동을 억제한다. ...2025.05.02
-
간호약리학 - 중추신경계약물 (항우울제,진정수면제)2025.01.091. Fluoxetine (Prozac, Prozac Weekly, Sarafem) Fluoxetine은 가장 널리 처방되는 항우울제로, 부작용이 적습니다. 세로토닌(5-hydroxytryptamime SHT)이 뉴런으로 재흡수되는 것을 차단하여 시냅스 틈에 있는 세로토닌의 수치를 높이고 세로토닌의 활성을 증가시켜 우울증을 치료합니다. 주요우울증, 양극성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신경성 폭식증, 월경 전 불쾌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에 사용됩니다. 성기능장애, 구역, 두통, 긴장, 불면, 불안,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을...2025.01.09
-
수술실 마취과 약물(진정제 및 마약 포함) 종류 및 특성, 주의사항 레포트 A+2025.05.061. 수술실 마취 카트 수술실 마취 카트에는 다양한 약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cupan, salon, Metoclopramide, Chlorpheniramine, Dexamethasone, Ropivacaine, Nicardipine, Lidocaine HCL, Labetalol HCL, Phenylephrine, Furosemide, Ondansetron, nasea, Esmolol, Epinephrine, Ketorolac, Ephedrine, Glycopyrrolate, Pyridostigmine, Atropine 등이 있...2025.05.06
-
실제 임상에서 사용하는 중요 기본 약물2025.01.131. 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인 morphine과 pethidine은 중추신경 억제로 인해 호흡 저하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morphine은 po, sc, iv 투여가 가능하며, pethidine은 sc or im, iv 투여 시 천천히 주입해야 합니다. 2. 진정제 진정제인 midazolam은 수술이나 처치 전, 수면 장애 시 효과적이지만 빠르게 iv 주입하거나 과량 투여 시 호흡 억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진통 및 해열제 진통 및 해열제인 propacetamol은 ...2025.01.13
-
A+ 모성간호학 CASE <전자간증>2025.01.271. 자간전증 환자 관리 자간전증 환자 관리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경련을 예방하고 조절하는 것이다.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₄)은 항경련제이자 평활근 이완제로, 경련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약물이다. 황산마그네슘은 평활근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근육주사는 흡수율이 조절되지 않고 통증이 있으며 조직괴사를 초래할 수 있어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대신 IV로 투약한다. 2. 항고혈압제 hydralazine 수축기압이 160~170mmHg 이상이고 이완기압이 지속적으로 105...2025.01.27
-
물질관련장애 요약2025.05.061. 물질관련장애 물질관련장애는 병리적인 물질 사용으로 구분되며, 물질남용과 물질의존으로 나뉩니다. 물질의존은 내성, 금단증상, 과다사용 등의 기준을 충족할 때 진단됩니다. 물질남용은 직분 수행 실패, 신체적 위험, 법적 문제, 대인관계 문제 등의 기준을 충족할 때 진단됩니다. 물질관련장애에는 알코올, 암페타민, 카페인, 대마, 코카인, 환각제, 흡입제, 니코틴, 아편류, 펜사이클리딘,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 복합물질 등이 포함됩니다. 2. 알코올 남용과 의존 알코올 남용과 의존은 내성, 금단증상, 통제력 상실 등의 특징이 있...2025.05.06
-
응급실 약물정리 및 투약 가이드2025.11.161. 응급실 기본 약물 응급실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본 약물들로는 할로페리돌(peridol), 항전간제(Epilatam), 응급성 고혈압 치료제(perdipine), 진통제(tridol), 위장관 출혈 치료제(gaster), 지혈제(botropase), 이뇨제(Lasix), 진경제(Atropine), 벤조디아제핀 역전제(Anexate), 스테로이드(Dexamethasone), 호흡억제 역전제(naloxone) 등이 있습니다. 각 약물은 특정 증상이나 응급상황에 맞게 투여되며, 용량과 투여 방법이 정확히 정해져 있습니다. 2. 마약성 ...2025.11.16
-
약리학 중추신경2025.01.171. 중추신경계 신경전달물질 중추신경계에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이 존재하며, 이들은 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신경전달물질로는 acetylcholine, catecholamine류(epinephrine, norepinephrine), 아미노산 소분자, 중추 신경계 신경 펩타이드, 생체 아민 등이 있습니다. 이들 신경전달물질은 흥분성 또는 억제성으로 작용하며, 각각의 수용체와 작용기전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합니다. 2. 도파민 신경계와 정신질환 도파민 신경계는 중뇌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뇌 ...2025.01.17
-
외과계중환자실 SICU 현직간호사 중환자실 다빈도 약물 적응증과 부작용2025.05.111. Fentanyl Fentanyl은 마취 유도 및 유지를 위한 마취 전 진통제, 마취 보조제, 수술 중 및 수술 직후의 단기간 진통제로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혼돈상태, 어지러움, 졸음, 피로감, 두통, 변비, 구역, 구토, 무력증, 호흡억제, 부정맥, 가슴 통증, 가슴 두근거림, 불안, 우울증, 현기증, 환각, 불면, 감각이상, 복통, 식욕부진, 설사, 뇨저류, 떨림, 입 마름, 홍반, 가려움, 발진, 약물의존성, 의식장애, 아나필락시스, 동공 축소, 경련 등이 있습니다. 2. Ultian(Remifentanil) Ultia...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