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3개
-
나해봉 연보: 조선 시대 문신·시인의 생애와 활동2025.11.121. 나해봉의 생애와 관직 나해봉(1584~1638)은 조선 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으로, 본관은 나주이고 호는 남간이다. 1605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606년 진사시에 합격했으며, 1617년 별시 문과에 장원했다. 1623년 인조반정 때 경기전참봉에 제수되었고, 1629년 동당 별시에 급제하여 종6품 숭의랑을 거쳐 1632년 정5품 별좌에 이르렀다. 2. 의병장 활동과 역사적 사건 나해봉은 조선 시대 나주 지역의 대표적인 의병장으로 활동했다. 1624년 이괄의 난 당시 나주 공관에 의병청을 설치하고 400여 명의 의병을 모아 ...2025.11.12
-
조선시대의 문학가2025.01.281. 노계 박인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가사문학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송강 정철 조선시대 우의정, 좌의정, 전라도체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문학자입니다. 성산별곡, 사미인곡 등의 작품을 남겼습니다. 3. 맹사성 조선시대 대표적인 연시조 작가 중 한 명입니다. 4. 윤선도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으로, 대표적인 연시조 작품인 어부사시사를 남겼습니다. 5. 정극인 조선초기의 가사문학가로, 자연을 노래한 상춘곡을 지었습니다. 6. 주세붕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백운동 서원을 건립하여 향촌 사림의 교육과 활동을 지원했습니...2025.01.28
-
나위소 연보2025.05.061. 나위소 나위소(羅緯素; 1583년 선조 16년~1667년 현종 8년; 향년 85세)는 조선 시대 중기 문신으로, 호남의 대표적인 부호(富豪)이자 사대부 문학의 절정기를 구가한 국문학의 시조 시인이다. 그는 강호가계·어부가계 연시조 「강호구가」(江湖九歌) 9수의 작가이며, 17세기 나주의 문인으로 형조좌랑·호조정랑·성균관직강·광주목사·원주목사·경주부윤·승정원좌승지(정3품) 등을 역임했다. 또한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사초(史草) 「겸춘추일기일사」(兼春秋日記一事)의 저자이다. 2. 나위소의 가계 나위소는 본관이 나주(羅州)이며, ...2025.05.06
-
나계종 연보2025.05.061. 나계종 나계종(羅繼從)은 고려 시대 후기의 충신으로, 성균관순유박사, 전리좌랑, 예문관제학 등의 주요 관직을 역임했다. 그는 공민왕에 대한 절의를 지켜 삼은각에 배향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에도 태조의 부름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한시 85수를 창작하고 성리학을 논한 서간을 저술했으며, 특히 오언 절구와 칠언 율시에 뛰어났다고 평가된다. 그의 저서 『죽헌유집』은 1650년 조선 시대에 간행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2. 고려 시대 문신 나계종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성균관순유박사, 춘추관검열, 사헌부...2025.05.06
-
나득강 연보2025.05.061. 나득강 나득강(羅得康)은 조선 시대 전기 문신으로, 이조좌랑, 예조정랑, 의금부지사, 이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그는 고려 시대 충신 낙천와 나중우의 셋째 아들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똑똑했다고 한다. 나득강은 효자였으며, 부친상에서 3년 상복을 입었고 모친상으로 3년 시묘를 했다. 그는 조선 전기 최초의 나주인으로 과거 시험 기록에 명기되었으며, 이후 후손들이 대대로 나주를 관향으로 삼아 살고 있다. 세종이 극진히 아끼던 이조판서 나득강이 향리에서 별세하자, 세종은 그의 장례를 왕과 왕비, 태상왕과 태상왕비, 왕세자와 왕세자빈...2025.05.06
-
김육이 편찬한 해동명신록2025.05.101. 해동명신록 해동명신록은 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 명신의 행적을 모아 기록한 책으로, 모두 9권 9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총 296명의 인물이 수록되어 있으며, 인물의 초명, 자, 호, 가족관계, 일화, 관력, 추존사실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해동명신록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위인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해동명신록의 권별 내용 해동명신록의 각 권별로 수록된 인물들을 살펴보면, 권1과 권2에는 명망 있는 학자와 덕행이 높은 인물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권3에는 조선 초기부터 세조 즉위 초까지 활동한 인물들이, 권4에는...2025.05.10
-
조선시대의 역사서2025.11.171. 동국사략 동국사략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관찬 역사서로, 권근 등이 1402년 왕명으로 편찬을 시작하여 1403년 8월에 완성했습니다. 유희령의 표제음주동국사략, 박상의 동국사략, 현채의 동국사략 등 여러 판본이 존재합니다. 현채의 동국사략은 1906년 출간된 최초의 근대적 역사서로 중등 역사 교과서로 활용되었으며, 태고사·상고사·중고사·근세사로 시대를 구분했습니다. 2. 권근과 동국사략 편찬 권근은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학자로, 호는 양촌입니다. 조선 건국에 협력하고 친명정책을 주장했으며, 사병 폐지를 주장하...2025.11.17
-
응제시와 응제시주: 권근과 권람의 한시 문학2025.11.121. 응제시(應制詩) 응제시는 신하가 황제에게 올리는 시를 의미합니다. 조선초기 문신 권근이 명나라 황제 태조 홍무제에게 올린 시가 대표적입니다. 권근이 지은 응제시는 5언시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단군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시에서 권근은 단군이 박달나무가에 내려왔다는 점을 강조하였으며, 단군이라는 이름에서 '단'이 박달나무를 의미함을 나타냅니다. 2. 응제시주(應制詩註) 응제시주는 권근의 손자인 권람이 지은 것으로, 권근의 응제시에 훈을 붙인 주석입니다. 권람은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한 인물이며, 그의 아버지도 과거 장원...2025.11.12
-
조선시대 과거와 학교교육에 관하여2025.01.261. 조선시대 과거 제도 조선시대의 과거 제도는 국가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공정한 시험 체계로, 크게 문과, 무과, 잡과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 문과는 주로 문신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으로, 경학, 문학, 시부, 책문 등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한 학문적 소양을 평가하였습니다. 무과는 병서, 무예, 군사 전략 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실전 능력과 전술 지식을 중시하였습니다. 잡과는 의학, 천문학, 역학, 산학 등 다양한 전문 지식을 가진 인재들을 선발하였습니다. 2. 조선시대 학교 교육 조선시대의 학교 교육은 크게 공학과 사학으로 나...2025.01.26
-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12학년 공통 - 고구려, 조선통신사, 이규보, 이순신, 최부2025.01.261. 고구려의 산성 축조 고구려는 끊임없는 외적의 침입과 전쟁에 직면해 있었기 때문에 방어적 목적으로 산성을 축조했습니다. 산성은 지형적 이점을 활용하여 적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위치에 세워졌으며, 전략적 요충지에 배치되어 군사적 기지로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행정적, 정치적 중심지로도 활용되었고, 지역 주민들에게 안전한 피신처 역할을 했습니다. 고구려 산성의 군사적 방어 기능은 지형적 이점 활용, 견고한 성벽과 성곽, 감시와 통제, 다양한 방어 시설, 내부 방어 전략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 조선통신사 사절단의 구...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