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럼피스킨병: 정의, 분포, 증상 및 진단2025.11.151. 럼피스킨병의 정의 및 원인 럼피스킨병은 소와 물소에게 전염되는 전신 피부병으로, 폭스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로 모기, 곤충, 진드기 등 다양한 절지동물에 의해 전염되며, 인간에게는 감염되지 않습니다. 물소가 소보다 감염되기 쉬우며, 특히 Jersey, Guernsey, Friesian, Ayrshire 품종이 더 취약합니다. 2. 럼피스킨병의 지리적 분포 및 확산 2012년 이전 아프리카와 이스라엘에 제한되었던 럼피스킨병은 중동, 유럽 남동부, 발칸 반도, 러시아, 카자흐스탄, 한국 등으로 확산되었습니다. 2019년부터...2025.11.15
-
수문사 간호 미생물학 (2023) 중간고사 범위 감염병요약정리2025.01.231. 공기매개 세균 감염병 1. 성홍열(Scarlet fever) - A군β-용혈성사슬알균에 의해 발생하며, 호흡기 분비물 비말감염, 직간접 환자나 보균자 접촉, 물건 등을 통한 접촉으로 감염됨. 증상은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오한, 인후염이며 잠복기는 1-3일임. 치료는 페니실린, 에리스로마이신, 클린다마이신, 세팔로스포린이며 예방을 위해 치료 후 24시간 지날 때까지 격리하고 분비물, 오염물을 소독해야 함. 2. 디프테리아 - 사람에게 자연감염되며, 환자와 보균자 직접접촉, 호흡기 분비물 간접접촉, 멸균되지 않은 생우유로...2025.01.23
-
물벼룩 심장 박동 관찰2025.01.071. 화학적 메신저 화학적 신호와 전기적 신호가 신체기능을 조절한다. 동물의 체세포는 항상성을 유지하고 여러 다른 공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정보를 주고받아야 한다. 이것은 내분비계와 신경계를 거쳐 전달되는 화학적 신호와 전기적 신호를 통해 이루어진다.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2. 자율신경계 조절 신경계에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뉜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이고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맡는다.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몸의 각 부분을 연결하는 신경계이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작용에 따른 심장...2025.01.07
-
기후변화로 인한 새로운 바이러스의 위협2025.01.281.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는 실제로 다양한 질병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특히 열대 바이러스성 질병들(에볼라출혈열, 지카열 등)과 관계가 있는데, 대부분 모기나 벼룩 및 진드기를 포함한 절지동물에 의해 인간에게 전파되기 때문에 기후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기온, 강수량, 습도, 바람 등 기후요소에 크게 영향을 받아 모기와 같은 질병 매개 곤충들이 변화된 기후에 맞춰 그들의 활동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2. 새로운 바이러스 출현 기후 변화는 바이러스의 변이를 촉진시킬 가능성도 있다. 환경...2025.01.28
-
감염미생물과 간호: 숙주와 미생물의 상호관계2025.11.121. 감염성 질병의 경과 감염성 질병은 잠복기, 전구기, 질병기, 회복기의 단계를 거친다. 잠복기는 병원체의 독력과 수, 숙주의 면역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전구기는 특이적이지 못하나 전염성이 높다. 질병기는 질병이 가장 심하고 특징적인 증후와 증상이 나타나는 단계로 염증이 발생하며 통증, 발열, 발적, 종창과 기능장애가 나타난다. 회복기는 증후와 증상이 사라지는 시기이다. 2. 감염경로와 전파 감염경로는 공기매개 전파, 접촉성 전파, 운반체 전파, 매개자 매개 전파로 분류된다. 공기매개 전파는 수두, 홍역, 코로나, 메르스 ...2025.11.12
-
A+ 보장 아동간호학실습_가와사키병 간호과정 2개 (진단 5개 포함)2025.01.131. 가와사키병 가와사키병(점막하림프절 증후군)은 소아에게 원인을 알 수 없는 혈관염이 나타나는 급성, 열성, 발진성 질환입니다. 가와사키병은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후천심장병이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20%의 아동에게서 관상동맥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피부, 점막, 임파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 전신에 다양하게 침범할 수 있으며, 위장관 장애, 담낭수종, 드물게 뇌수막 등의 염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가와사키병 원인 가와사키병의 정확한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급성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