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8개
-
배터리 제조_코팅_롤프레스 공정2025.05.061. 배터리 제조 공정 배터리 제조는 믹싱, 코팅, 압연 등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믹싱 공정에서는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를 섞어 슬러리 형태의 물질을 만들고, 코팅 공정에서는 이 슬러리를 기재 위에 일정한 두께와 패턴으로 바르며, 압연 공정에서는 기재와 활물질이 잘 붙도록 압력을 가하여 전극 두께를 줄이고 에너지 밀도를 높인다. 2. 코팅 공정 코팅 공정은 슬러리를 기재 위에 일정한 두께와 패턴으로 바르는 공정이다. 양극판은 알루미늄 기재, 음극판은 구리 기재를 사용한다. 코팅 공정에서는 음극과 양극의 활물질 용량비율인 엔피비율...2025.05.06
-
배터리제조_슬리팅과 노칭 공정2025.05.061. 배터리 제조 공정 배터리 제조 공정은 믹싱, 코팅, 롤프레싱을 거쳐 슬리팅과 노칭 공정을 거쳐야 한다. 슬리팅 공정은 롤프레싱 공정을 거쳐 얇게 펴진 전극을 배터리 크기에 맞게 절단하는 작업이며, 노칭 공정은 양/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부분에서 탭을 접지하기 위한 부분을 남기고 이외의 부분을 잘라내는 작업이다. 2. 슬리팅 공정 슬리팅(Slitting)은 프레스 가공공정의 하나로, 넓은 판재를 일정한 간격의 좁은 코일 또는 스트립으로 가공하는 작업을 말한다. 슬리팅 공정에서는 피자 커터와 같은 날카로운 칼날을 이용하여 전...2025.05.06
-
전극 casting 및 전지 조립 실험 결과보고서2024.12.311. 전극 제작 실험에서는 활물질인 α-MnO2, 도전재인 super P, 바인더인 PVDF를 7:2:1의 비율로 섞어 슬러리를 제작하였다. 이 슬러리를 SUS 기판에 OHP 필름을 사용하여 얇게 코팅하는 공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슬러리의 균일한 도포와 표면 손상 방지가 중요하였다. 2. 전지 조립 제작된 전극 기판은 1cm x 1cm의 일정한 크기로 준비되었으며, 각 기판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하고 번호를 매겨 구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전극을 이용하여 전지를 조립할 수 있다. 1. 전극 제작 전극 제작은 전지 및 배터리 산업...2024.12.31
-
전극 casting 및 전지 조립 실험 예비보고서2024.12.311. 전극 casting 실험 이 실험에서는 양극재 casting의 과정을 이해하고, 전극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실험에서는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의 역할을 파악하고 적절한 비율로 섞어 슬러리를 만들어 전극 casting을 진행합니다. 믹싱 공정과 코팅 공정을 통해 전극을 제조하는 과정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수계 아연 이차 전지 조립 이 실험에서는 수계 아연 이차 전지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전지를 순서에 맞춰 조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1차 실험에서 제조한 양극을 활용하여 코인 셀 형태의 수계 ...2024.12.31
-
배터리 조립공정2025.05.041. 파우치형 배터리 조립공정 파우치형 배터리 조립공정은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된 배터리 소재와 파우치 케이스를 사용하여 진행된다. 주요 공정으로는 노칭, 라미네이션, 스태킹 & 폴딩, 포장 등이 있으며, 전해질 주입과 디개싱 공정도 거친다. 파우치 배터리는 원통형과 달리 롤러로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특징이 있다. 1. 파우치형 배터리 조립공정 파우치형 배터리 조립공정은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공정은 배터리 셀을 제작하고 이를 포장하는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파우치형 배터리는 기존...2025.05.04
-
PLED 소자 제작 A+ 레포트 건국대학교 고분자재료과학2025.05.091. PLED 소자 제작 PLED 소자 제작 방법을 알아보고 PLED의 봉지공정을 통해 제작된 소자를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한다. 고분자 발광물질을 이용하여 PLED를 제작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PEDOT:PSS, 발광층 고분자, 전자주입층 및 전극 증착, 봉지공정 등의 내용을 다루었다. 1. PLED 소자 제작 PLED(Polymer Light-Emitting Diode) 소자 제작은 유기 전자 소자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PLED 소자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광학적 신호로 변환할 수 ...2025.05.09
-
전기분해와 전기도금2025.01.231. 전기도금 전기도금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극 표면에 특정 물질을 코팅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도금을 이용하면 전극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닳거나 부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를 가해 물질을 증착하는 방식에 따라 전기 화학 도금, 전기 이동 석출, 미달 전위 석출로 나눌 수 있다. 전기 화학 도금은 전압이나 전류를 제어하여 물질을 증착하고 전기 이동 석출과 미달 전위 석출은 전기 이동을 이용하여 물질을 증착하는 방식이다. 2. 탈지세척 탈지세척에서 탈지(degreasing)는 물체에 있는 기름(지방산)을 제거하는 ...2025.01.23
-
등전위선 측정 (물리)2025.01.111. 등전위선 등전위선은 전기장 내에서 전위가 같은 점들을 연결한 선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된 등전위선을 측정하고 분석하였습니다. 전극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등전위선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전위 측정 전극 사이의 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두 전극의 중심을 잇는 선 상에서 양극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른 전위 변화를 측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전극 모양에 따른 전위 분포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전극 모양 이 실험에서는 두 가지 전극 모양, 즉 디스크 전극과 막대 전극을 사용...2025.01.11
-
전극 casting, 전지조립 예비보고서2025.01.241. 전극 casting 전극 casting 과정은 믹싱, 코팅, 롤프레싱, 슬리팅&노칭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믹싱 과정에서는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를 적절한 비율로 섞어 슬러리를 만듭니다. 코팅 과정에서는 슬러리를 집전체에 얇게 코팅하며, 롤프레싱 과정에서는 전극에 압력을 가해 두께를 줄이고 에너지 밀도를 높입니다. 슬리팅&노칭 공정에서는 전극의 폭 사이즈를 규격에 맞게 자릅니다. 전극 casting 과정에서 활물질에 따라 전지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전지조립 전지조립 공정은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을 셀 형태로 조...2025.01.24
-
전공기초실험2 화학전지와 열역학 결과보고서2025.05.081.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원자의 산화수가 달라지는 반응으로, 물질 간의 전자이동으로 산화와 환원 반응이 동시에 일어난다. 전자를 잃은 쪽은 산화수가 증가하고 산화되며, 전자를 얻은 쪽은 산화수가 줄어들고 환원된다. 2. 화학전지 화학전지는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갈바니 전지(볼타 전지)는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실험장치이며, 다니엘 전지는 분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전지이다. 3. 이온화 경향 이온화 경향은 원소(원자)가 얼마나...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