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타악기별 장단2025.05.071. 국악 장단 우리나라의 국악에는 '장단'이 존재하며 이는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리듬과 길이의 일정한 단위'라고 풀이할 수 있다. 장단은 국악을 다른 음악과 차별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국악에서 장구가 모든 음악의 장단을 잡아주는 악기이며, '장구장단'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 다양한 장단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2. 정악 장단 정악 장단은 기본적으로 '덩-기덕-쿵-더러러러'의 구조로 되어 있다. 20박 장단, 갈라치는 20박 장단, 10박 장단, 도드리 장단, 타령 장단, 취타 장단, 절화 장단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2025.05.07
-
초등 음악 지도안, 시김새 살려 노래 부르기(늴리리야)2025.05.101. 경기 민요 경기 민요는 서울, 인천을 포함한 경기도와 그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전해져 내려온 노래입니다. 맑고 깨끗한 창법으로 경쾌하고 유창하게 부르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기 민요로는 도라지, 아리랑, 천안 삼거리 등이 있습니다. 2. 시김새 시김새는 전통 음악에서 중요한 요소로, 음의 변화나 장식음 등을 통해 표현되는 음악적 요소입니다. 경기 민요 '늴리리야'에서는 첫 음을 높게 질러서 내는 것, 전통 창법으로 불러 떨림이 많고 꺽는 느낌이 나는 것 등이 시김새의 특징입니다. 3. 가창 지도 가창 지도 시 유의사항은...2025.05.10
-
판소리 고법(고수의 역할, 판소리 장단의 종류)에 대하여 서술2025.04.261. 판소리 고법 판소리에서 소리꾼이 소리를 할 수 있도록 북 장단을 치는 사람을 고수라고 하고 북을 치는 것을 고법이라고 한다. 고수는 판소리의 음악적 흐름을 이끌어갈 뿐만 아니라, 청중과의 관계를 이끌고 나가면서 소리꾼의 소리를 판의 예술로 승화시키는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고수가 갖추어야 하는 3가지 요소는 자세, 추임새, 가락이다. 2. 판소리 장단의 종류 판소리의 장단은 서양음악에서의 박자개념이 아닌, 속도, 리듬, 강약, 반복 주기 등이 다양하게 포함된 의미로 다양한 장단이 쓰이는데 장단의 이름에 붙은 '모리'의 어원은 ...2025.04.26
-
입춤의 정의와 다양한 입춤을 대상으로 비교분석2025.01.101. 입춤의 정의 입춤은 다른 말로는 즉흥무, 수건춤, 굿거리춤 등이라고 부른다. 즉흥무나 허튼춤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입춤의 춤사위가 순서가 특별히 정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감정을 표출하는 미적 의식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굿거리춤이나 수건춤과 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이유는 굿거리 장단에 맞춰서 춤을 추거나 수건을 사용해서 춤을 추기 때문에 붙었다. 2. 서울·경기 지역의 입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입춤은 한성준류의 강선영 입춤, 김덕순 계열의 김숙자 입춤, 김인호 계열의 이동안 수건춤이 있다. 한성준류의 강선영 입춤은 굿거리...2025.01.10
-
민속무용 ) 민속무용에 관련된 공연(현장공연)을 보고 감상문 제출2025.05.161. 민속무용 민속무용은 민중의 풍속과 관련하여 만들어진 춤으로, 왕족이나 귀족이 즐겼던 궁중무용과는 달리 피지배계층이 주체가 되어 추고 감상하는 무용이다. 각 나라나 지역에 따라 독특한 개성을 표출하며, 지역의 날씨, 지형, 문화 등의 차이가 반영된다. 민간사회를 통해 전승되어 오며, 일상의 소소한 재미나 희노애락의 정서, 종교의식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또한 지배 계층과 왕권에 대한 저항 의식을 바탕으로 비판과 해학의 정서가 느껴지기도 한다. 2. 진도북춤 진도북춤은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전해지는 민속무용으로, 양손에 채를 쥐...2025.05.16
-
시나위에 관한 음악교육2025.05.121. 시나위의 정의 시나위는 남도 지역의 민속 기악 합주라고 한다. 심방곡이라고도 불리며, 남도 지역의 무속 음악에 유래한 민속 기악 합주곡이다. '심방곡(心方曲)'이란 뜻은 무가의 뜻을 담고 있는 노랫말을 말한다. 무속 음악에 영혼을 달래기 위하여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특히 기악 독주의 형식으로 연주 한 산조를 여러 악기와 더불어 연주하는 것인데 살풀이의 춤 반주에도 사용된다. 2. 시나위의 유래 시나위는 한강 이남과 태백산맥 서쪽 지방의 무속음악에서 유래하였다. 민속 기악 합주곡은 육자배기 토리를 바탕으로 하고 각종 악기가...2025.05.12
-
음악의 이해(국악) 학기 말 감상문2025.05.151. 국악 감상 2달 동안 국악 강의를 들으며 국악과 친근해졌다고 느꼈지만, 막상 국악을 50분 동안 감상해야 한다는 과제를 받고 나서 진정으로 음악에 집중해서 들을 수 있을까하는 걱정이 앞섰다. 그러나 이번 과제를 통해 생각 이상으로 국악의 폭이 넓구나하는 인식의 전환이 일어났다. 서양음악을 접목한 국악, 이야기가 담긴 국악 등 다양한 국립국악원의 공연영상들은 제대로 된 국악 공연 감상이 전무하던 나에게 신선한 감흥을 주었다. 2. 수제천 맨 처음 들었던 음악은 수제천(18:04)이었다. 이미 지난 강의 시간에 들었던 음악이라 친...2025.05.15
-
고려시대 음악2025.05.121. 고려시대의 음악 고려의 태조 왕건 시기에는 신라의 고풍이 많이 반영되었으며, 팔관회와 연등회 등 대규모 의식에서 향악과 당악, 백희 등이 연주되었다. 예종과 의종 때부터는 송나라의 아악이 도입되면서 신라 때의 음악이 밀려났다. 고려 후기에는 한글 가사로 된 향악곡들이 생겨났으며, 일부는 조선 초기까지 전승되었다. 2. 향악 향악은 전기(918~1170)와 후기(1171~1391)로 나눌 수 있다. 전기에는 통일신라에서 전승된 음악과 고려조의 창작 향악이 있었다. 후기에는 한글 가사로 된 곡들이 많이 생겨났으며, 일부는 조선 초...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