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51개
-
복부에 관통상을 입어 다량의 출혈이 있는 성인간호학 케이스2025.05.031. 저혈량성 쇼크 환자는 복부에 관통상을 입어 다량의 출혈이 있는 상태로, 이로 인해 저혈량성 쇼크가 발생했다. 저혈량성 쇼크는 순환혈량 감소로 인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심박출량 감소, 체액량 부족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신속한 지혈, 수액 요법, 혈관작용성 약물 투여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2. 비효율적 호흡양상 저혈량성 쇼크로 인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감소하면 대사성 산독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빠른 호흡, 피부의 차고 축축한 상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활력징후 모니터링, 산소 ...2025.05.03
-
ECMO 요약, 체외막산소화장치 정리2025.01.141. ECMO(체외막산소화장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교정되지 않는 중증 심부전 또는 중증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게 특수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인체 밖에서 심폐기능을 보조하는 체외순환장치입니다. ECMO는 환자의 정맥혈을 뽑아내어 산화기를 통과시킨 후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고 환자의 순환 및 호흡 기능을 보조합니다. ECMO는 회복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생체 징후를 유지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심장 및 폐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서 장기 기증자가 나타날 때까지...2025.01.14
-
ECMO(체외 막형 산화 장치) 관리2025.01.241. ECMO(체외 막형 산화 장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회복 가능성이 있는 심각한 호흡부전이나 순환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일반적인 치료방법으로 호전이 불가능한 경우, 심폐기능이 회복될 때까지 수일에서 수주 동안 생명유지를 도와주는 체외순환 장치입니다. ECMO의 역사는 1954년 Gibbon이 개심술에서 체외순환 장치를 적용한 것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1969년 Bartlett 등이 심각한 호흡부전의 치료로서 체외순환이 사용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국내에서는 1992년...2025.01.24
-
분석화학실험 도파민의 순환 전압 전류법- EC 메커니즘2025.01.131. 산화, 환원 반응 반응물 간의 전자이동으로 일어나는 반응이다. 산화 환원 반응은 동시에 일어난다. 전자를 잃은 쪽은 산화수가 증가하고 산화되며, 전자를 얻은 쪽은 산화수가 줄어들고 환원된다. 잃은 전자수와 얻은 전자수는 항상 같게 된다. 산화가 되면 산화수는 증가하게 되고 전자는 잃게 되지만 산소를 얻게 된다. 환원이 되면 산화수가 감소하게 되고 전자를 얻게 되고 산소를 잃게 된다. 2. 3전극셀 3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져있는 전지. 작업전극, 기준전극, 보조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준전극은 고정된 기준 전위를 제공해준다. 작...2025.01.13
-
비사용 증후군 위험성 간호진단2025.01.291. 근육 강도 감소와 관련된 비사용 증후군 위험성 환자는 최근 들어 움직일 때마다 피로감을 느끼고,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체검사 결과, 근육 강도 측정에서 정상 범위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치가 나타났다. 이는 장기간의 활동 제한이나 불완전한 운동을 통해 근육 약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간호사는 근육 강도 회복을 위한 개인화된 운동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시행하고, 환자에게 운동의 중요성과 올바른 운동 방법을 교육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근육 강도를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2. 기...2025.01.29
-
ECMO ward class/체외막산소요법 워드클래스/ICU ECMO 사전학습2025.01.161.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체외막 산소화장치) ECMO는 산소화막장치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심장을 보조하여 호흡기능이나 심장기능을 상실했을 때 적용한다. 이는 호흡부전 또는 순환부전이 있는 환자가 일반적인 치료로 호전이 불가능한 경우 개흉술 없이 막형 산화기와 펌프를 이용하여 가스교환 및 체외순환을 유지하는 것이다. ECMO는 폐쇄적이고 장기적으로 적용하는 반면 CPB는 수술 시 일시적으로 심장기능을 대신한다. 2. ECMO 작동원리 ECMO 작동원리는 다음과 ...2025.01.16
-
순환기내과 중환자2025.05.041. 심장수술 관상동맥 우회술(CABG)은 관상동맥이 막힌 경우 혈관부위를 우회하여 혈관을 이식함으로써 혈액을 공급하는 수술적 방법이다. 수술 후 간호에는 기도개방성, 폐 상태, 활력징후, I/O 모니터링 등이 포함된다. 합병증으로는 혈역동학적 불안정성, 급성신부전, 호흡기계 감염 등이 있다. 2. 심장의 감염 심내막염은 심장 가장 안쪽 막의 염증으로 세균성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미열, 오한, 피로,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심초음파, ECG, 혈액검사 등이 필요하다. 치료는 항생제 요법과 함께 심장 기능 지지...2025.05.04
-
정형외과 수술 후 재활간호: CPM, QSE, SLR, 활동보조기구2025.05.161. CPM(Continuous Passive Motion) CPM은 관절 수술 후 회복을 돕기 위한 장비이며, 수술 후 재활치료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CPM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시행하면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관절 움직임의 범위를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회복 시간을 단축시키며 수술 후유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CPM은 최소 하루에 6~8시간 동안 사용해야 하며, 사용하는 동안 대상자는 앙와위로 눕되, 침상머리는 15도 이하로 올리도록 해야 합니다. 2. QSE(Quadriceps Strengthening Exercise) Qua...2025.05.16
-
수술실(OR) 사전학습2025.05.041. 수술 전 투약 수술 전 환자의 불안이나 흥분을 경감시키는 진정작용, 기도 분비물의 억제, 미주신경 반사 억제, 진통작용, 기초대사 저하 작용, 마취제의 용량 감소, 실제 수술 과정 동안 일어나는 일에 대해 잊게 하는 것이 수술 전 투약의 목적입니다. 진정제, 부교감 신경 억제제, 진통제, 정온제 등의 약물이 사용됩니다. 2. 소독간호사의 역할 소독간호사는 수술 과정을 인식하고, 멸균 물품을 무균적으로 준비하며, 기구의 개수를 확인하고, 외과적 손위생을 실시하고, 집도의와 보조의의 gowning과 gloving을 보조하며, 수술...2025.05.04
-
A+ 체외순환(ECMO) 컨퍼런스 자료2025.01.291. 체외순환(Extracorporeal circulation: ECC) 체외순환은 혈관내에 삽입한 튜브를 통하여 혈액을 일단 체외로 내보내서, 펌프에 의하여 연속하여 재 차 체내에 되돌라는 순환을 말한다. 여러 목적을 위해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CPB(Cardiopulmonary bypass)와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가 있다. 2. 심폐기(Cardiopulmonary bypass, CPB) 심폐기란 심장수술 시 심장과 폐를 대신하여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받아들여 산소화한 후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