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개
-
우리나라의 여걸: 선덕여왕과 소서노2025.11.111. 선덕여왕 신라 제27대 왕인 선덕여왕은 진평왕에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신라의 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습니다. 첨성대를 건립하고 분황사와 황룡사 대탑을 건설하여 신라의 문화 발전을 주도했습니다. 정관 6년 임진년에 즉위하여 16년간 나라를 다스렸으며, 재임 중 세 가지 일을 미리 알아 왕으로서의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당 태종이 보낸 모란꽃 그림에 향기가 없을 것을 예측했고, 영묘사옥문지의 개구리 울음으로 서쪽 교외의 정병을 예측하여 습격했으며, 자신이 죽을 해, 달, 날을 예언했습니다. 2. 소서노 소서노는 졸본 부여 출신...2025.11.11
-
본성을 실현한 인물과 나2025.01.211. 선덕여왕 선덕여왕은 신라 제 26대 왕이었던 진평왕의 장녀로서 어머니인 마야부인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선덕여왕이 즉위할 당시의 신라 사회는 여성이 왕이 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 사회였지만 선덕여왕의 경우, 아버지인 진평왕의 뒤를 이을 태자가 없는 상황에서 유일한 성골 후손이었던 탓에 관례를 깨고 왕의 자리에 오를 수가 있었다. 선덕여왕은 즉위 직후에 전국 방방곳곳에 관리를 파견하면서 백성들을 구휼하였고 조세 면제등의 시책을 펴면서 당시 혼란스러웠던 민심을 수습하였으며 국가의 내치를 다져나가기 시작하였다. 또...2025.01.21
-
경주 역사 유적 기구 - 천년의 역사가 담긴 세계유산2025.05.021. 경주 남산 경주 남산은 수많은 절터, 불상, 석탑 등 문화유산이 넘쳐나는 '노천 박물관'이다. 거대한 자연암벽에 새겨진 80여 체의 불상은 신라인들이 단단한 화강암에 담은 부드러운 부처의 모습을 보여준다. 늠비봉 봉오리에 세워진 5층 석탑에서는 신라의 수도 '서라벌'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2. 분황사 선덕여왕이 건립한 사찰 '분황사'는 향기 나는 황제의 사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선덕여왕은 나무로 만들어진 탑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돌을 벽돌처럼 잘라 전탑을 세웠는데, 이를 모방한 석탑을 '모전 전탑'이라고 한다. 3. ...2025.05.02
-
생활 속의 수학: 건축과 수학의 상관관계2025.11.171. A4용지와 수학적 비례 A4용지의 규격(297mm x 210mm)은 황금비가 아닌 1:√2의 비례를 지닌다. 이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약 1㎡의 A0규격 용지를 계속 이등분하면서 만들어진 규격으로, 독일 공업규격 위원회의 자원 낭비 최소화 제안에 따라 탄생했다. 이 방식은 절반으로 제단할 때 비례를 유지하며 닮은꼴이 되도록 최적화되어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스톤헨지의 기하학적 구조 영국 솔즈베리 평원의 스톤헨지는 원형 구조의 동심원으로 이루어진 천체 관측소이다. 중심 제단에서 힐 스톤을 바라보면 하지 날 태양의 위치가 ...2025.11.17
-
『三國遺事·紀異』편 서(叙)를 통해 알 수 있는 요소들 / 일연의 민족우월성 고취와 13세기 고려의 상황2025.05.121. 삼국유사 기이편 서(叙)의 저술 의도 삼국유사의 기이편은 전체 편목들 중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일하게 서문을 갖추고 있는 편목이다. 이는 저자가 기이편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이편 서(叙)에는 저자의 저술 의도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분석하고 당시 고려의 대내외적 상황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2. 기이편 서(叙)에 나타난 일연의 민족우월성 고취 기이편 서(叙)에는 한국 고대 건국 신화들이 소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일연은 한국 민족의 우월성을 강조하고자 했던 것...2025.05.12
-
[KMOOC] 사건과 스캔들로 보는 옛이야기 퀴즈 족보2025.05.141.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공통점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는 모두 삼국시대에 쓰여졌으며, 삼국시대 역사를 담고 있다. 하지만 저자가 모두 유학자라거나 고조선 역사가 자세히 쓰여 있지는 않다. 2.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일연이 1215년에 인각사에서 썼으며, 신이한 일들도 적극 수용하여 단군, 고주몽 이야기 등을 자세히 서술했다. 또한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인식하고 있으며, 고승 이야기, 불교 관련 건축물 등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불교적 성격이 강하다. 3. 전기(傳奇) 전기는 기이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군이며, 당나라의 영향을 ...2025.05.14
-
첨성대 한시2025.05.011. 첨성대 첨성대는 신라 선덕여왕 시기에 세워진 천문대로, 동양 최고의 천문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몽주는 첨성대와 관련하여 한시를 남겼는데, 그 내용은 첨성대가 월성 가운데 우뚝 서 있고, 옥적 소리가 만고의 바람을 머금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문물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지만, 산과 물은 고금이 한가지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2. 망경대 정몽주는 고려 말 우왕 때 이성계를 따라 운봉에서 왜구를 물리친 후 개선가를 부르며 돌아오다가 완산을 지나면서 망경대에 올라 한시를 지었습니다. 그 내용은 천 길 높은 산마루에 돌길이 비껴 있...2025.05.01
-
경주 문화유산 답사기2025.01.041. 경주 석굴암 경주 석굴암은 토함산 정상에 위치한 신라시대 문화유산입니다.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를 기리기 위해 지었다고 전해집니다. 현재 석굴암은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에 의해 유리로 보관되고 있어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보면 그 시대에 어떻게 이렇게 섬세한 불상을 만들었는지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2. 경주 첨성대 경주 첨성대는 신라시대에 하늘을 관측하기 위해 만들어진 관측대입니다. 선덕여왕 시기에 건립되었으며, 당시에는 별자리를 보고 하늘의 움직임을 추측했을 것입니다. 야간에 방문하면 화려한 조명 아래에서 다른 분...2025.01.04
-
한국 밀교의 역사와 발전2025.11.141. 신라시대 밀교 신라시대 밀교는 불교를 영험 있는 종교로 인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밀교의 대표 부처인 비로자나불이 많이 조성되었으며, 주요 신앙으로는 사리탑신앙과 오대산신앙이 있었습니다. 대표적 유적으로는 대구 동화사 비로암의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불국사의 석가탑이 있습니다. 삼국유사에는 밀본법사가 약사경을 외워 선덕여왕의 병을 낫게 한 기록과 명랑이 신유림을 세워 외침을 물리친 기록이 전해집니다. 2. 고려시대 밀교 고려 태조 왕건은 훈요십조를 통해 불교를 국교로 정하고 연등회와 팔관회를 매년 개최하게 했습니다. ...2025.11.14
-
[KMOOC] 사건과 스캔들로 보는 옛이야기 중간, 기말고사 족보2025.05.141. 전기(傳奇) 전기(傳奇)는 중국 명나라 때부터 유행했던 문학 장르로, '배형'이라는 문인이 편찬한 소설책 이름에서 따온 명칭이다. 당시 과거를 보고자 했던 사람들이 자신의 이름을 알리기 위해 상사에게 올렸던 '온권' 문화에서 나왔으며, 도교, 불교라는 종교와 접목하면서 문학적으로 더욱 성숙해졌다. 2. 지귀설화 『지귀설화』는 삼국유사에 전해지는 작품으로, 선덕여왕이 작자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작품은 지귀와 선덕여왕 두 사람의 애절한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심화요탑』으로도 불린다. 3. 최적전 『최적전』의 공간적 배경은...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