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개
-
방실접합부,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2025.04.281. 방실리듬 (AV junctional rhythm) 동심방결절의 심박조율 기능이 약화되거나 전도계의 장애로 인해 전기자극의 빈도가 감소될 때 방실접합부(심방심실이음부, AV junction)가 동심방결절을 대신하여 박동조율기(pacemaker)로서의 역할을 하여 발생한 리듬. 심박출량 감소와 심근조직관류 저하와 관련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물 독성, 저산소혈증, 고칼륨혈증, 미주신경 긴장도 증가, 방실결절 손상, 심근경색, 심부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심전도 상 심장박동수는 40~60회/분 정도이며, 보통 P파가 ...2025.04.28
-
성인간호학 부정맥 정리본 A+2025.01.17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박동장애로,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이는 전기적 전도 및 흥분전달장애, 심근의 허혈상태로 인해 발생한다. 자발성 장애는 심박조절이 동방결절이 아닌 다른 부위에서 시작되는 경우이며, 전도장애는 동방결절에서 시작된 전기적 자극이 정상적인 전도계를 통해 전달되지 못하고 방해받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으로는 선천기형, 전해질 불균형, 약물, 스트레스, 심장질환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빈맥, 서맥, 심계항진, 맥박 건너뛰기 등이 있다. 진단은 건강력 청취, 심혈관계 검사, 심전도 등을...2025.01.17
-
Escape rhythm2025.01.031. Escape rhythm Escape rhythm은 심장의 정상 박동 조절 기능이 실패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동방결절의 기능 장애나 완전 방실차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심장의 다른 부위에서 자체적으로 박동을 생성하여 심장 활동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escape rhythm에는 심방 escape rhythm, 접합부 escape rhythm, 심실 escape rhythm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발생 원인, 치료법이 다릅니다. 2. Atrial escape rhythm Atrial esca...2025.01.03
-
순환기간호-부정맥 그림2025.04.251. 조기심방수축 조기심방수축은 정상 심방 수축 사이에 발생하는 조기 심방 수축을 말합니다. 이는 심장의 정상적인 전기 활성화 패턴을 방해하여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심방조동 심방조동은 심방이 규칙적으로 빠르게 수축하는 부정맥입니다. 이로 인해 심실이 불규칙하게 수축하게 되어 심장 박동이 빨라지게 됩니다. 3. 동성빈맥 동성빈맥은 정상 동방결절 기원의 빠른 심장 박동으로, 운동, 스트레스, 불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때로는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2025.04.25
-
심전도 이해2025.01.121. 심전도의 이해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심장주기 중 심장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활동의 크기와 방향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심전도에는 P파, QRS파, T파 등의 기본 파형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장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심전도 유도 심전도 유도에는 표준유도, 사지유도, 흉부유도 등이 있습니다. 표준유도는 심장 전면의 심전도를 기록하고, 사지유도는 사지 간의 전위차를 기록하며, 흉부유도는 심장 전면의 심전도를 보다 자세히 기록합니다. 3. 부정맥의 이해 부정맥은 심장 맥박이 고르...2025.01.12
-
부정맥 레포트(심전도사진)2025.01.071. 부정맥의 정의와 원인 부정맥이란 자극형성장애나 자극전도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부정맥의 원인으로는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 전도 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 산-염기 불균형, 약물의 부작용, 전해질 불균형, 정서적 불안정, 저산소증, 쇼크, 대사성 질환 등이 있다. 2. 부정맥의 병태생리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로 인해 발생한다. 자극형성장애는 동심방결절의 기능 상실로 하위조직이 대신 전기자극을 형성하는 것이고, 자...2025.01.07
-
부정맥(arrythmia) 문헌고찰2025.01.121.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나 자극전도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입니다. 부정맥의 원인으로는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 전도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 산-염기 불균형, 약물 부작용, 전해질 불균형, 정서적 불안정, 저산소증, 쇼크, 대사성 질환 등이 있습니다. 2. 부정맥의 병태생리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자극형성장애에는 이소성 박동과 이탈 박동이 있으며, 자극전도장애에는 빠른 전도로와 느린 전도로의 ...2025.01.12
-
성인간호학 24시간 심전도(홀터검사) 정리2025.01.031. 부정맥 부정맥은 어떤 원인에서든지 맥박이 정상적으로 뛰고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부정맥에는 서맥성 부정맥과 빈맥성 부정맥, 그리고 조기 박동이 있습니다. 서맥성 부정맥에는 동기능부전과 방실전도차단이 있고, 빈맥성 부정맥에는 심방성 빈맥, 방실접합부 의존성 빈맥, 심실성 빈맥이 있습니다. 조기 박동은 심장 박동이 정상적으로 나와야 할 때보다 더 빨리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장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고 빨리 뛰거나 느리게 뛰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정맥...2025.01.03
-
응급실(응급의학과)에 대한 사전학습2025.01.141. 두개내압(ICP) 상승 환자 간호 두개내압 상승은 신경외과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두개강 내 내용물(뇌조직, 뇌척수액, 혈액)이 증가하면 두개내압이 상승하게 된다. 두개내압 상승 환자의 주요 증상으로는 의식수준 변화, 활력징후 변화, 동공 변화, 유두부종, 두통, 투사성 구토, 운동/감각 변화, 시각 변화 등이 있다. 간호중재로는 환기 유지, 영양요법, 뇌조직 관류 유지, 감염예방, 손상 방지 등이 필요하다. 2. 응급 시 사용하는 약물 응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로는 Epinephrine, Atropine, Calc...2025.01.14
-
부정맥 보고서2025.01.12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부정맥의 원인은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 등이 있으며, 동심방결절, 심방, 방실접합부, 심실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불규칙한 맥박, 흉부 통증, 어지러움, 실신 등이 있다. 부정맥의 치료로는 약물 투여, 인공 심장박동조율기 사용, 전기충격, 부정맥 절제술 등이 있다. 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장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고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정맥은 다양한 원...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