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5개
-
발광 다이오드 및 제너 다이오드 실험2025.11.161. 발광 다이오드(LED)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시 전류가 흘러 빛이 발생하며, 역방향 바이어스 시 꺼진 상태가 된다. 빛의 밝기는 다이오드를 통과하는 전류량에 따라 결정되며, 과도한 전류는 다이오드를 파괴한다. GaAsP나 GaP 같은 LED 재료는 순방향 바이어스 시 가시광원을 생성하는 광자를 방출하는 전계발광 과정을 거친다. 빛의 종류는 다이오드 제조 물질에 따라 다르며, 임계전압도 물질에 따라 5V, 7V 등 다양하다. 2.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제너 다이오드는 제너 항복영역을 이용하도록 설계된 ...2025.11.16
-
다이오드 실험: 동작원리 및 발광 다이오드 특성 분석2025.11.181. 반도체와 다이오드의 기초 실리콘과 게르마늄은 4족 원소로 대표적인 반도체이다. 진성반도체에 불순물을 첨가하는 도핑 과정을 통해 전도도를 증가시킨다. P형 반도체는 3가 원소를 첨가하여 정공을 캐리어로 사용하고, N형 반도체는 5가 원소를 첨가하여 전자를 캐리어로 사용한다. 다이오드는 P-N 접합으로 이루어지며, 접합 후 공핍층이 형성되고 재결합 과정이 일어난다. 2. 순방향 및 역방향 바이어스 N형 반도체에 음전압, P형 반도체에 양전압을 가하는 것을 순방향 바이어스라고 한다. 순방향 바이어스 시 공핍층의 전위장벽이 감소하여 ...2025.11.18
-
LED 발광 다이오드의 원리와 실험2025.11.151. LED(발광 다이오드)의 원리 LED는 Light-Emitting Diode의 약자로 발광 다이오드라고 불린다. 다이오드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하는 반도체 소자이며,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켜 만든다. p형 반도체는 13족 원소를 첨가하여 정공을 만들고, n형 반도체는 15족 원소를 첨가하여 잉여전자를 만든다. 순방향 전압을 걸어주면 자유전자와 정공이 만나 전류가 흐르고, 이 과정에서 빛이 방출되는 발광 특성을 이용하여 LED를 만든다. LED는 기존 백열등에 비해 고효율, 저전력, 긴 수명을 가진 소자이다...2025.11.15
-
전기전자공학실험-발광 및 제너 다이오드2025.04.301. 발광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는 이름이 함축하는 바와 같이 충분한 에너지를 받았을 때 가시광선을 내는 다이오드이다.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된 p-n 접합에 있어서, 접합부에서는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이 일어난다. 재결합은 구속되지 않은 자유전자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다른 상태로 전달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GaAsP나 GaP와 같은 LED 재료에서 빛 에너지의 광자가 눈에 보이는 가시광원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수로 방출된다. 이것이 소위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과정이다. 모든 LED에 대하여 밝고, 선명하고, 또...2025.04.30
-
다이오드 종류2025.05.151. 버랙터 다이오드 버랙터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의 전압 크기에 따라 접합 커패시턴스 용량이 변화하는 다이오드로 가변 캐퍼시턴스 다이오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버랙터 다이오드는 기본적으로 공핍층 때문에 발생된 커패시턴스를 이용하는 역방향 바이어스된 PN 접합 다이오드입니다. 역방향 바이어스에 의해 생성된 공핍층은 절연 특성 때문에 캐퍼시턴스의 유전체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버랙터 다이오드는 여러 특성을 가지며, 다른 다이오드에 비해 훨씬 적은 노이즈를 가지고 크기가 매우 작고 가벼워 비용이 저렴하며 높은 안정성 또한 가지고 있...2025.05.15
-
물리학실험- 옴의 법칙2025.05.011. 옴의 법칙 이번 실험을 통해, 전자회로에 쓰이는 탄소저항이 옴의 법칙을 만족하는가를 확인하고 옴의 법칙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다. 다이오드에 대하여 옴의 법칙이 성립하는가를 확인하고, 옴의 법칙을 확인하기 위한 측정조건을 검토하였다. 2. 탄소 저항 탄소 저항기에서 저항 값을 표시할 때는 색깔 코드를 사용한다. 네 줄로 이루어져 있는데, 왼쪽부터 A~D라 한다. A는 1째 자리에 올 유효숫자, B는 2째 자리에 올 유효숫자, C는 앞의 두 자리숫자 뒤에 붙일 0의 수이고, 마지막으로 D는 허용 오차를 의미한다. 3. 다이오드...2025.05.01
-
옴의 법칙 실험2025.01.221.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전자회로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이번 실험을 통해 탄소저항이 옴의 법칙을 만족하는지, 다이오드가 옴의 법칙을 성립하는지 확인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저항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옴의 법칙을 이용해 저항값을 계산하고 표시된 저항값과 비교하였다. 실험 2에서는 다이오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옴의 법칙을 이용해 다이오드의 저항을 구하였고,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를 때는 옴의 법칙을 만족하지만 흐르지 않을 때는 옴의 법칙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3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을 알아보고 ...2025.01.22
-
옴의 법칙 보고서2025.01.231. 옴의 법칙 이번 실험에서는 옴의 법칙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33Ω과 100Ω의 저항을 사용하여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저항값을 계산한 결과, 실제 저항값과 매우 근접한 값이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저항이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저항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다이오드의 경우 전압-전류 특성이 옴의 법칙을 만족하지 않는 비선형 특성을 보였다. 다이오드에 음의 전압이 가해지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정류 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경우 문턱 전압 이상에서 전류가 흐르며 ...2025.01.23
-
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 기계공학실험 (기공실) A+ 보고서_LED제어(LAB VIEW 응용)2025.05.071. 다이오드 다이오드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내부 저항의 차이로 전류의 흐름을 한쪽으로 주기위해 사용하는 전기 소자이다. 하나의 장치에 2개의 단자를 갖고 있는 특징이 있으며 다이오드에서 전류가 잘 흐르는 방향을 순방향, 반대로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한다.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으로만 흘리므로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직류(direct current, DC)로 변환하는데 사용하기도 하며, 전압 차이를 이용하여, 커페시턴스를 조절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도 있다. 2. LED 이번 실험에 ...2025.05.07
-
옴의 법칙 측정값 및 계산2025.04.261. 옴의 법칙 실험을 통해 탄소저항과 다이오드가 옴의 법칙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였다. 탄소저항은 옴의 법칙을 잘 만족하였지만, 다이오드는 옴의 법칙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에서는 빛이 나오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었고, 빛이 나오는 시간과 발광 조건에 대해서도 추정할 수 있었다. 2. 탄소저항 실험 1에서 33Ω와 100Ω의 탄소저항을 사용하여 옴의 법칙 만족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33Ω의 경우 3.03%의 오차율을 보여 옴의 법칙을 잘 만족하였지만, 100Ω의 경우 5.5%의 오차율을 보여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