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3개
-
[한국미술사] 조선 후기 - 오원 장승업, 추사 김정희2025.01.161. 오원 장승업의 화풍 오원 장승업은 조선 시대 말기 화단의 대표적인 대가로써, 그는 전문적인 미술 교육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옛 명화들을 많이 보고 익힌 결과 스스로 뛰어난 경지에 오른 화가였다. 남종화와 북종화를 결합한 화풍을 지닌 장승업은 전형적인 사대부 출신의 화가들과는 달리 배경이 애매한 직업화가로써 호방한 필묵법과 정교한 묘사력으로 생기 넘치는 작품들을 남겼으며 주제를 형태에 치중하여 자유분방하게 표현 하였다. 장승업 화풍의 특징으로는 그가 그린 <송풍유수>, <삼인문년도>, <방황공망 산수도>, <호취도>...2025.01.16
-
고려시대의 문화2025.01.141. 불교 문화 고려시대에 불교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왕실과 귀족층이 불교를 후원하며 절을 건립하고 경제적으로 지원했습니다. 불교의 영향으로 문화와 예술이 발전했으며, 석탑, 석조불상 등의 불교 예술이 번창했습니다. 2. 고려화 고려화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미술 양식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주제로 그려졌으며, 특히 법화(佛畵)와 서화(書畵)가 많이 그려졌습니다. 고려화는 중국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발전했습니다. 3. 서적 문화 고려시대에 문화와 지식의 중심지로서 성균관이 설립되었습니다. 성균관은 서적의 번역과 편찬을 통해 학문...2025.01.14
-
중국 오대~명대 산수화의 발전과 특징2025.01.131. 오대 산수화 오대 산수화는 화북산수화와 강남산수화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나며, 지역풍토에 기인한 양식의 차이를 보인다. 화북산수화는 높고 험준한 산수를 주로 그리며 형호, 관동, 범관에 의해 발전했다. 강남산수화는 낮은 산세와 넓은 수면을 그리며 남당의 동원과 거연에 의해 발전했다. 오대 산수화에는 삼원법이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2. 북송대 산수화 북송대에는 수묵산수화와 청록산수화가 발전했다. 화북산수화는 이성, 범관, 곽희, 허도녕 등에 의해 체계화되었고, 우점준법, 해조묘법 등의 준법이 사용되었다. 청록산수화는 왕희맹의 ...2025.01.13
-
조선화원: 김홍도 미디어아트 전시2025.05.101. 단원의 얼굴 김홍도의 작품 세계를 통해 그의 예술적 업적과 인품을 살펴보고, 그의 스승이자 예술적 교우였던 강세황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다. 김홍도는 철저한 전문 예술인으로서 언제나 진지한 자세로 작품 활동에 임했다. 2. 풍속도첩: 민중의 삶 김홍도의 풍속화는 화가와 그가 그린 대상들의 친밀도와 정서적 밀착성을 보여준다. 그는 민중의 삶 속으로 들어가 그들의 삶을 함께 살아내며 작품을 그렸다. <단원풍속도첩>은 이러한 정서적 밀착을 통해 탄생한 걸작이다. 3. 조선화원 열전: 속화, 진경산수, 그리고 문인화 조선 후기에는 속...2025.05.10
-
고려의 문학과 예술2025.05.091. 고려 시대 구비문학 고려 시대에는 구비문학이 발달하였으며, 대표적인 구비문학은 고려가요입니다. 고려가요는 민간에서 성행하던 문학으로,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작품이 많았습니다. 고려가요는 조선 시대에 기록되어 궁중음악으로 활용되었지만, 당시에는 '남녀상열지사'로 천대받았습니다. 월령체 고려가요인 '동동'은 고려 시대 구비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2. 고려 시대 회화 고려 시대 회화는 불교 관련 회화가 크게 발달하였습니다. 고려 전기에는 사찰 중심으로 회화가 발달하였고, 고려 후기에는 도화원이 설치되면서 문인화가 발달하였습...2025.05.09
-
표암 강세황 칠탄정십육경도 연구2025.04.281. 강세황의 생애와 안산 시기 강세황은 18세기를 대표하는 시서화 삼절의 선비화가로, 가문이 정계에서 소외당하면서 30여 년 동안 안산에 거주하며 학문과 서화에 전념하였다. 안산에서 성호 이익을 비롯한 여러 문인들과 교유하며 예술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2. <칠탄정십육경도>의 제작 배경 <칠탄정십육경도>는 손사익이 선조 손기양을 기리기 위해 제작한 작품으로, 이익의 행장과 시문을 받아 완성되었다. 당시 이익은 선조와 집안의 역사를 현양하려는 목적으로 여러 문인들의 집안에 소장된 서화를 위해 글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고, <칠탄...2025.04.28
-
[한국미술사] 조선초중기2025.01.161. 조선 초중기 회화 양식 조선 전기에는 중국 북송의 이성과 곽희, 그의 추종자들이 이룩한 소위 이곽파 또는 곽희파 화풍이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다. 곽희파 화풍의 특징으로는 뭉게구름처럼 보이는 침식된 황토산을 즐겨 그리는 점, 산의 밑동을 밝게 표현하여 조광효과를 나타내는 점, 삼원법으로 구성된 산수화, 고원산수의 경우 비교적 짙은 수묵을 많이 쓰는 거비파적인 모습, 해조묘법이 나타나는 점 등이 있다. 이를 토대로 안견이 독자적인 안견파 화풍을 이루었는데, <사시팔경도>와 <몽유도원도>에서 그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2. 조선시대 ...2025.01.16
-
조선후기의 서민 문학과 위항문학2025.11.121. 위항문학 조선후기 양반사대부가 아닌 중인 이하 하급계층을 중심으로 형성된 문학. 위항은 중인 이하 하급계층을 의미하며, 주로 서울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18세기부터 양반뿐만 아니라 중인, 상민, 천민까지 포함하는 한문학이 발달했으며, 주로 한시를 중심으로 활동했습니다. 시사 조직을 통해 공동시집 발간과 중인역사 정리 등의 활동을 펼쳤습니다. 2. 시사(詩社) 조선전기에는 양반 전유의 장이었으나, 조선후기에는 위항인들이 주축이 되었습니다. 17세기말 숙종 때 임준원을 맹주로 한 낙사를 시작으로, 정조 시기 옥계시사가 조직되...2025.11.12
-
전환의 세기에서 빛난 한국 근대 회화 이야기 (19세기 후반~개화기)2025.05.061. 19세기 근대 미술의 시점 19세기는 봉건체제에서 자본체제로 이행하는 시기로, 근대 미술의 기점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있다. 1870년대 개항기, 1920년대, 19세기 후반기 등이 근대 미술의 시작으로 볼 수 있으며, 서구 미술 양식과 재료의 유입뿐만 아니라 조선 미술 자체의 발전 과정에서 근대성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19세기 사회 경제적 상황과 미술 시장 19세기는 열강의 침탈과 새로운 문물이 유입되는 격동의 시기였다. 경제적으로는 세도정치의 폐해로 어려움이 많았지만, 상인 등 신흥 계층의 부상과 민간 경제의 ...2025.05.06
-
우리나라의 한시2025.05.051. 동문선 동문선은 조선 성종 시대에 서거정 등이 편찬한 우리나라 한문학의 대표적인 서적입니다. 이 책에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시대, 조선초기의 한시 작품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동문선에 수록된 한시 작품들로는 최치원의 '촉규화', 김부식의 '결기궁', 최치원의 '강남녀', '고의' 등이 있습니다. 2. 최치원 최치원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한시 작가로, 동문선에 그의 작품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그가 당나라에 유학 시절에 지은 '강남녀'와 '고의'라는 한시가 동문선에 실려 있습니다. '강남녀'는 당시 강남 지역의 풍속과...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