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34개
-
면역혈액학 1과 2과 정리 보고서2025.01.041. 면역혈액학 면역혈액학은 항원과 항체가 관여하는 면역반응을 이용하는 학문으로, 혈액 은행 업무와 수혈 의학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면역혈액학에서는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와 물질, 항원과 항체의 특성, 1차 및 2차 면역반응, 항원-항체 결합 원리 등을 다룹니다. 2. 혈액형 검사 혈액형 검사에는 ABO 혈액형 검사, Rh 혈액형 검사, 항체 선별 검사, 항체 동정 검사, 교차 반응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위해 상용화된 항혈청, 항글로불린 시약, IgG 감작 적혈구 등의 시약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2025.01.04
-
면역혈액학 7과 정리 레포트2025.01.041. 항체 선별 및 동정 항체 선별 테스트(screening test)는 수혈 전에 환자의 혈액에 비예기 항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환자의 혈청/혈장과 screening cells(Group O 적혈구)를 반응시켜 항체 유무를 확인합니다. 양성 반응이 나오면 비예기 항체가 있다고 판단하며, 이때 자가항체인지 동종항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항체 동정 테스트는 비예기 항체가 어떤 항원에 특이성을 가지고 있는지 찾아내는 것입니다. Panel cells(다양한 항원을 가진 Group O 적혈구)를 이용하여 반응 패턴을 분석하여 항체...2025.01.04
-
면역혈액학 10과 11과 정리 보고서2025.01.041. 헌혈 혈액 검사 헌혈 받은 혈액에는 질병 인자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ABO 혈액형 검사, D 항원 검사, 임상적으로 중요한 비예기 항체 검사, 간염 바이러스(A형, B형, C형), HIV, HTLV 등의 감염성 질환 검사를 실시한다. 매독 검사와 West Nile 바이러스 검사도 진행한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수혈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2. 바이러스 표지자 검사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ELISA 검사와 핵산 증폭 검사(NAT)를 실시한다. ELISA 검사는 항원이나 항체의 존재를 확인하고...2025.01.04
-
면역혈액학 8과 및 9과 정리 보고서2025.01.061. 수혈 적합 검사 수혈 적합 검사는 수혈을 하기 전에 환자의 혈액과 공여자의 혈액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는 환자 식별, 혈액형 확인, 비예기 항체 검사, 교차 적합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교차 적합 검사는 환자의 혈액과 공여자의 혈액을 섞어서 응집이나 용혈 반응이 없는지 확인하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이를 통해 수혈 부작용을 예방하고 수혈된 적혈구가 환자의 몸에서 잘 생존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헌혈자 선별 및 채혈 헌혈자 선별 과정에는 등록, 건강 문진, 신체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채혈 금지 기준으로는 체중, 체...2025.01.06
-
면역혈액학_6과_정리레포트2025.01.101. Rh Antibodies Rh 항체는 반드시 수혈이나 임신을 통해서 rh 항원을 가지고 있는 적혈구가 몸에 들어와서 면역 시스템에 노출이 되었을 때만 만들어진다. IgG 타입의 대부분이 그러하듯이 complement 가 activate 되지 않는다. Rh 항체가 생겨난 이후에 수혈을 받으면 ABO 타입 혈액형처럼 바로 보체가 형성되어 용혈성 작용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비장으로 간 이후에 혈관 밖 용혈이 일어난다. 태아 신생아 용혈성 질환은 D-positive baby vs D-negative mother 에서 발생한다. 2....2025.01.10
-
면역혈액학 11과 정리 레포트 12주차2025.01.101. 전혈 수혈 전혈 수혈과 관련해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로는 순환 과부하, 혈소판 손실, 응고 인자 감소, ABO 혈액형 일치 등이 있다. 전혈은 출혈이 많거나 전체 혈액량의 25% 이상 손실된 경우, 전체 혈액을 교체해야 할 때 사용된다. 재구성된 전혈은 유아 혈액 수혈에 필요한 성분끼리 재조합하여 사용한다. 2. 적혈구 수혈 적혈구는 조직의 산소포화도가 손상된 경우 수혈한다. 수혈용 1 unit 혈액당 적혈구 농도는 헤모글로빈 1g/dL, 헤마토크릿 3% 이상이어야 한다. 백혈구를 제거한 적혈구는 수혈 부작용 예방을 위해 사용...2025.01.10
-
서강대 일반생물학실험2 면역계 및 혈액분석 결과레포트2025.05.141. hematocrit 값 계산 본인의 hematocrit 값을 계산하였습니다. 계산식: red cell column 길이 = 11mm, red cell + plasma 길이 합 = 28mm, 적혈구 비율: 39%. 사진을 첨부하였습니다. 2. 정상 남녀 hematocrit 범위 차이 일반적으로 여성의 hematocrit은 35~45%, 남성의 hematocrit은 40~50%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여성의 월경으로 인한 혈액 배출로 적혈구가 감소하기 때문이며, 또한 성 호르몬 중 안드로겐(테스토스테론)이 신장으로부터 적혈구 생...2025.05.14
-
생리학 요점요약정리22025.05.011. 중추신경계통의 구조 및 기능 중추신경계통은 몸 안팎의 환경변화에 대하여 적절히 적응하도록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뇌(대뇌, 중뇌, 시상하부, 시상, 소뇌, 뇌교, 연수)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위별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대뇌는 지각, 청각, 시각, 후각 등의 중추와 운동중추를 가지고 있으며, 중뇌는 감각정보 전달, 눈의 움직임과 청각에 관여한다. 시상하부는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최고위 조절 기능을 하며, 시상은 감각정보 전달과 정서 반응 조절을 담당한다. 소뇌는 운동 조절과 몸의 평형...2025.05.01
-
혈액형의 발견자 - 란트슈타이너2025.01.021. 혈액형의 발견 오스트리아의 병리학자 카를 란트슈타이너는 1901년에 사람의 혈액형을 A형, B형, C형(후에 O형으로 변경)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의 제자인 폰 드카스텔로와 스털리에 의해 1902년에는 AB형이라는 또 하나의 혈액형이 밝혀졌습니다. 란트슈타이너는 적혈구 막 표면에 있는 항원과 혈장에 있는 항체의 반응을 통해 혈액형을 판정할 수 있다는 원리를 발견했습니다. 2. 란트슈타이너의 업적 란트슈타이너는 혈액형 발견 외에도 소아마비 초기에 유효한 혈청을 개발하고 매독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알...2025.01.02
-
성인간호학실습 임상포트폴리오, 혈액검사 A+2025.01.201.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는 새로운 발열이 생겼을 때 24시간 이내에 반드시 시행해야 하는 검사이며, 첫 번째로 나가는 혈액배양검사는 반드시 항생제 투여 전에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열이 있는 환자에서 원인이 감염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확실하게 판단되지 않으면 혈액배양검사를 통해 균혈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혈액채취는 반드시 다른 부위에서 나가야 하는데 연속적으로 시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채혈할 수도 있다. 혈관 내 도관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는 도관을 통해 배양을...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