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A+] 간호정보학 -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평가보고서2025.04.281. 모바일 헬스케어 앱 평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문화의 확산으로 정신건강 문제가 대두되면서 정부와 기업에서 다양한 모바일 헬스케어 앱을 개발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KLAR라는 명상 앱을 평가하였으며, 콘텐츠, 인터페이스 디자인, 기술 측면에서 양호한 품질을 보였다. 앱의 장점으로는 콘텐츠의 다양성, 음성, 활용도가 있었으며, 개선사항으로는 음성과 ASMR 서비스의 다양화가 제안되었다. 2. 멘탈 헬스케어 앱의 분류 멘탈 헬스케어 앱은 크게 '비대면 상담형', '단순 시청형', 'SNS형'으로 분류된다. 각 유형별로 장단...2025.04.28
-
공공형 디지털 헬스케어와 이아포 퍼블릭 사례2025.11.151. 공공형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 및 필요성 디지털 헬스케어는 건강관련 서비스와 의료IT가 융합된 종합의료서비스입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EMR을 통한 진료기록 저장, 병원 간 공유, 모바일·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해졌습니다. 원격진료, 자동 관리 알림 등으로 의료취약지 보완, 전염병 대응, 고령화 시대 일차의료 확충, 의료 격차 해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2. 이아포 퍼블릭 서비스 및 기능 '이아포 퍼블릭'은 공공·보건·복지·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로, 특정 대상층의 구강 ...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