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근육의 구조와 기능 및 해부학적 이해2025.05.081. 등세모근(승모근)의 해부학적 이해 등세모근(승모근)은 목덜미인대(항인대)와 C1~C5의 가시돌기, 빗장뼈의 외측 1/3에 부착되어 있다. 상부섬유는 어깨거상, 중부섬유는 어깨후인, 하부섬유는 어깨하인 작용을 한다. 등세모근이 약화되면 중력상에서 머리를 잡아주고 지탱하는 역할이 어려워져 목이 전방을 향하거나 경추와 어깨에 변형을 초래한다. 2. 흉배부 근육의 종류와 기능 및 해부학적 이해 넓은등근(광배근)은 흉추7~12의 가시돌기와 엉덩뼈능선 아래쪽 3~4 갈비뼈에서 기시하여 위팔뼈 결절사이고랑에 부착된다. 작용은 위팔뼈의 모음...2025.05.08
-
여성간호학 분만에 관여하는 골반 및 산도 사전학습, 여성 골반과 산도 정리2025.01.161. 회음(perineum) 회음은 양쪽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과 치구항문을 잇는 마름모 모양의 부위로, 앞쪽은 비뇨생식삼각, 뒤쪽은 항문삼각으로 나뉩니다. 비뇨생식삼각에는 비뇨생식가로막(표재·심부 회음횡근, 구해면체근, 좌골해면체근)이 있으며, 출산 시 구해면체근이 열려야 합니다. 케겔운동으로 골반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2. 질(vagina) 질은 바깥음부와 자궁을 연결하는 섬유성 근막관입니다. 출산 시 산도는 기립자세에서 외음에서 후상방쪽인 천골곶(sacral promontory)을 향하며, 후질원개(p...2025.01.16
-
본초품휘정요 10권, 과루근, 과루실, 고삼, 당귀 한문 및 한글번역 10페이지2025.01.191. 과루근 과루근은 신농본초경 출전으로 소갈, 신열과 번만, 고열을 주치하고 허증을 보하고 중초를 편안하게 하며 절상을 이어준다. 과루근은 위장의 고질적인 열, 8종류 황달, 신체와 안면 황달, 입술 건조하고 입이 마름, 숨이 짧음을 제거하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많이 보는 소변을 중지하게 한다. 과루근 줄기와 잎은 열 적중과 더위먹음을 치료한다. 2. 과루실 과루실은 흉비를 주치하고 사람 얼굴에 조화롭고 윤택하게 한다. 과루실은 음력 3,4월에 싹이 생기며 넝쿨이 담장에서 생기면 울타리, 집 위에서 생긴다. 과루실은 가는 꽃이 음...2025.01.19
-
교차증후군과 가슴문증후군2025.04.301. 상부교차증후근(upper crossed syndrome) 상부교차증후근(upper crossed syndrome)은 상체에서 교차되는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한 체형문제를 말한다. 교차적으로 같은 대각의 선상에 있는 근육이 약화되고, 다른 대각 선상의 근육은 긴장되어 상체와 흉추가 과도하게 구부러져 굽은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주로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관절은 흉쇄관절(stermoclavicular joint)와 견봉새관절(acrominclavicular joint), 흉·경추 후관절(thoracic andcervical facet...2025.04.30
-
감자 재배 기술 및 기대소득2025.01.251. 감자 재배 간격 감자는 보통 30~40cm 간격으로 심는다. 간격이 넓으면 감자가 크게 자라지만, 수확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랑은 밭의 상황에 따라 조금씩 유연하게 만들어주면 되며, 두둑의 넓이는 약 70㎝, 고랑의 넓이는 30~40㎝로 하고, 재식간격은 50 × 20㎝ 정도로 심는 것이 좋다. 감자를 심는 깊이는 10~15㎝ 정도로 한다. 2. 감자 육묘 소요일수 감자는 씨앗 감자(육묘)를 심어서 재배하며, 육묘 소요일수는 보통 2~3주 정도가 소요된다. 씨감자 싹 틔우기는 감자를 심기 20~30일 전에 시작하는 것이 좋으...2025.01.25
-
본초품휘정요 8권2025.01.171. 추호근 추호근은 단맛, 찬기로 독이 없다. 주로 5장을 윤택하게 하며 소갈을 중지시키고 심번과 열을 제거하고 눈을 밝게 하며 공로가 맥문동과 같다. 중국 강남 산골짜기 응달에 생기며 싹은 원추리같고 뿌리는 천문동 같고 심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2. 첨등 첨등은 단맛이고 차고 독이 없다. 열 심번을 제거하고 해독하고 중기를 조절하고 사람이 살찌고 건장하게 한다. 또한 말가죽 벗긴 혈독이 살에 들어가거나 광견병, 소나 말의 열성 황달을 주치한다. 찧어 쥐어짜 즙을 취하며 쌀가루와 섞어 미숫가루를 만들어 먹으면 단 좋은 맛이 나며 ...2025.01.17
-
항고혈압제2025.05.131. ACE억제제 ACE억제제는 안지오텐신1을 안지오텐신2로 전환하는 효소를 억제하여 혈관수축작용을 줄이고 말초저항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이를 통해 심박출량, 심장박동수, 수축력의 반사적 증가 없이 혈압을 낮출 수 있습니다. 2. ARBs ARBs(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는 안지오텐신2의 작용을 직접 차단하여 혈관평활근과 부신에서의 수용체 부위와 안지오텐신2의 결합을 막아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3. CCB CCB(Calcium Channel Blockers)는 혈관평활근 세포...2025.05.13
-
[[에이쁠보장]] 모성간호/케이스스터디//여성건강간호실습/간호과정2개/Coxarthrosis/영양불균형, 비사용증후군2025.01.111. Coxarthrosis 변형성 고관절증 Coxarthrosis은 관절의 노화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는 연골이 점차 마모되고 뼈가 드러나면서 변형되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40~50대 이후의 중년층에게 많이 발생하며, 선천적 관절이상, 관절외상, 비만 등으로 인해 과도한 하중이 관절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걷거나 운동 후 통증이 발생하나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사라지지만, 진행되면 장기간 걸었을 때, 계단을 올라갈 때 통증이 지속되며 취침 시에도 통증이 있습니다. 악화되...2025.01.11
-
루게릭병에 대해서2025.01.091. 루게릭병이란?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질환으로, 근위축성섬유단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이라고 부른다. 1930년대 미국 유명 야구 선수 루 게릭이 38세 젊은 나이에 이 질환에 걸려 사망한 것을 안타까워하며 그를 기리기 위해 '루게릭-병'으로 부르게 되었다. 대뇌 피질의 위운동신경세포, 뇌줄기(뇌간), 척수의 아래운동신경세포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되어 근력 약화, 근육 위축,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2. 루게릭병과 파킨슨병의 차이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2025.01.09
-
외과계중환자실 SICU 현직간호사 중환자실 다빈도 약물 적응증과 부작용2025.05.111. Fentanyl Fentanyl은 마취 유도 및 유지를 위한 마취 전 진통제, 마취 보조제, 수술 중 및 수술 직후의 단기간 진통제로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혼돈상태, 어지러움, 졸음, 피로감, 두통, 변비, 구역, 구토, 무력증, 호흡억제, 부정맥, 가슴 통증, 가슴 두근거림, 불안, 우울증, 현기증, 환각, 불면, 감각이상, 복통, 식욕부진, 설사, 뇨저류, 떨림, 입 마름, 홍반, 가려움, 발진, 약물의존성, 의식장애, 아나필락시스, 동공 축소, 경련 등이 있습니다. 2. Ultian(Remifentanil) Ultia...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