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정형외과에서 많이 쓰는 보조기종류2025.04.291. TLSO 보조기 TLSO 보조기는 허리골절, VP 수술 후 등 / 허리 / 엉치뼈의 관절운동 등 흉 / 요 / 천추의 모든 운동을 제한 또는 고정하는데 사용됩니다. 흉 / 요추 손상 또는 흉 / 요추 수술 후 흉추와 요추의 운동을 최대한 제한하며 몸에 완전히 밀착되어 척추를 곧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입니다. 평균 적용기간은 8주~12주입니다. 2. MCL 보조기 MCL 보조기는 TKR, A/S 시 내측 / 외측 슬관절 파열, 인대손상 시 관절측에 대한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합니다. 슬관절 굴곡 신전을 허용하지만 외전 / 내...2025.04.29
-
영양 건강문제와 비만에 대한 보고서2025.01.031. 비만의 정의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체내에 과다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이 쌓인 상태'를 의미한다.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한다. 최근에는 전신의 체지방 축적보다 '복부 비만'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2. 비만의 원인 비만은 섭취한 음식량에 비해 활동량이 부족할 때 생기는 것이다. 불규칙한 식습관, 과다한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내분비계통 질환, 유전적 요인, 정신적 요인 및 약물 등이 비만의 현실적 원인이 된다. 3. 비만의 증상 및 합병증 비만은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2025.01.03
-
고관절 수술 후 비활동적 생활양식 간호과정2025.11.141. 고관절 전치환술(THR) 후 재활 고관절 관절염으로 인한 전치환술 후 환자의 회복 과정에서 단계별 보행 운동이 중요하다. POD 0에서는 침대에서 일어나기만 하고, POD 1-2에서 보조기구를 사용한 걷기 연습을 시작하며, POD 3-4에서 물리치료사와 함께 짧은 거리 보행을 수행한다. POD 5-7에서는 보조기구 없이 독립적 보행이 가능해지고, POD 14 이후 일상적 걷기 활동이 가능해진다. 환자의 연령, 기존 질병, 체력, 근육 강도, 뼈 상태가 수술 후 회복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2. 비활동적 생활양식 간호진단 및 중...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