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49개
-
성인간호학실습_Asthma(천식)2025.01.111. 천식의 정의와 원인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반복적으로 좁아지는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천식의 원인으로는 대기 알레르겐(꽃가루, 곰팡이, 집먼지 진드기, 바퀴벌레, 동물 알레르겐 등)과 실내의 비특이적 자극원(담배 연기, 냄새 등)이 있다. 천식 발병과 증상 악화에 관련된 인자로는 유전인자, 비만, 성별, 감염, 마이크로바이옴, 직업 자극물질, 직/간접흡연, 실외/실내 대기오염, 식품, 스트레스 등이 있다. 2. 천식의 병태생리 천식은 기도의 염증질환으로, 기도 협착, 기도 부종, 기도벽 비후, 점액 과분비, 기도...2025.01.11
-
Surgical Airways2025.01.031. Surgical Airways 수술적 기도 확보 방법에는 cricothyrotomy, tracheostomy, needle cricothyrotomy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구강/비강 기관내 삽관이 불가능한 경우, 경직, 부종, 관절염, 감염/외상/종양/화상, 고정 장치, 아나필락시스/혈종/말단비대증, 경화증, 당뇨, 기침/호흡정지/후두경련/역류성 타액 분비, 변형 등의 적응증이 있습니다. 또한 임신부, 소아 환자에서도 적응증이 됩니다. 기관절개관 삽입이 선호되며, 적절한 튜브 선택과 해부학적 구조 확인, 합병증 예방 ...2025.01.03
-
기도유지장치, airway I-gel LMA intubaion laryngoscope endotracheal tube2025.01.241. OPA (Oropharyngeal airway, 구인두 기도기) OPA는 기도를 유지할 수 없는 깊은 반응이 없는 환자에게만 사용되며, 반응이 있는 환자의 경우 구토와 흡인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OPA는 입과 성문 사이의 도관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직사각형 구멍이 있는 곡선형의 단단하고 속이 빈 튜브로, 환자의 혀와 기타 연조직에 의한 방해를 방지합니다. OPA 삽입 방법은 환자에게 맞는 OPA를 선택하고, 환자의 머리를 중립 위치에 놓고 기도가 깨끗한지 확인한 후, 교차 손가락 방법을 사용하여 환자의 입을 벌리고 OPA 팁...2025.01.24
-
Tube, 비위관 종류 및 간호2025.01.271. L-tube L-tube는 위장관으로부터 가스, 수술 후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삽입합니다. 삽입 시 위관의 길이는 코→귀→검상돌기까지이며, 청색증, 구역질, 기침, 호흡곤란 증상을 관찰해야 합니다. 위관을 잘 고정하고 위관의 위치를 확인하며, 위관영양 시 residual volume을 체크하고 부작용 증상을 관찰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2주일마다 교환하고 피부 손상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2. Trachial-tube 기관내 삽관의 목적은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흡인을 방지하며, 분비물 제거와 양압적 ...2025.01.27
-
도수적 기도유지, 인공 기도유지(intubation) 방법 및 주의사항(레포트 A+)2025.05.061. 도수적 기도유지 방법 두부후굴/하악거상법과 하악견인법은 외상환자가 아닌 경우의 도수 기도 유지법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두부후굴/하악거상법은 환자의 이마를 밀어 두부를 후굴시키고 턱을 전방으로 거상시켜 기도를 개방한다. 하악견인법은 양쪽 하악을 전방으로 밀어 올려 기도를 개방한다. 목뼈 손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하악견인이나 변형된 하악견인을 사용해야 한다. 2. 인공기도기를 이용한 기본기도 유지법 구인두기도기와 비인두기도기는 의식이 없는 환자에서 기도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구인두기도기는 입을 통해 삽입하여 기도를 유...2025.05.06
-
비효과적 호흡 양상, 감염 위험성 간호과정2025.01.051. 기도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환자는 폐렴으로 인한 기흉으로 호흡곤란을 겪고 있습니다. 산소 공급, 기침 및 심호흡 격려, 흉부 물리요법, 약물 투여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호흡이 편안해지도록 돕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퇴원 시까지 산소 공급 없이 편안한 호흡을 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일주일 내에 SpO2 수준이 정상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흉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환자는 기흉 치료를 위해 흉관 삽입술을 받았습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체온 측정, 배액관 부위 사정, 무균법 준수, 손위생...2025.01.05
-
A+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ahage) CASETUDY- 간호과정 2개, 간호진단 10개2025.01.131. 뇌 혈류량 감소와 관련된 비효과적 뇌 조직관류의 위험 환자의 뇌 혈류량 감소로 인해 뇌 조직관류가 비효과적일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혈압, 산소포화도, 체온 등의 생체징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2.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환자가 가래 배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기도청결이 비효과적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흡인, 체위 변경, 가습기 사용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기도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3. 뇌 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환자의...2025.01.13
-
기관절개관 삽입환자 간호2025.01.151. 기관절개관이란? 기관절개술은 성대 하부 기관에 절개를 하여 코나 입이 아니라 절개 구멍을 통해 공기를 흡입해서 숨을 쉴 수 있도록 하는 수술로, 기관의 전면에 절개를 가한 후 관을 삽입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기도의 개방이 유지되도록 하는 시술이다. 기관절개관은 세 가지 유형으로 볼 수 있는데, 일반 기관절개관, 구멍이 있는 절개관, 의사소통이 가능한 기관절개관이 있다. 2. 기관절개술 관리법 기관절개술 이후 관리법으로는 기관절개관 흡입, 흡입 카테터 세척, 내부 캐뉼러 교체, 기관절개술 주변 피부 세척, 호흡 공기...2025.01.15
-
성인실습 담석증 간호진단 5개/간호과정 3개(급성 통증,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감염위험성)2025.01.021.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 후 통증 관리를 위해 활력징후 모니터링, 통증 사정, 진통제 투여, 체위 변경 등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또한 PCA 사용법 교육과 심호흡, 이완요법 등의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통증 감소와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였다. 2. 전신마취 후 기도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호흡수와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suction을 통한 객담 배출, 흡입제 투여, 강화폐활량계 사용법 교육, 수분 섭취 독려 등의 중재를 제공하여 호흡 양상 개선을 도모하였다. 3. 배액관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감염 지...2025.01.02
-
응급실 주요 장비 및 기구 보고서2025.01.091. Airway 기도유지기 구강인두관, 비강인두관, 기관내관, 기관절개관 등 4가지 유형의 인공기도가 있으며, 의식이 없거나 자발호흡이 없는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구강인두관은 구강부터 인두 후방까지 위치시키고, 비강인두관은 비공에서 귓불까지의 길이로 삽입합니다. 기관내관은 구강(또는 비강)에서 기관분기부 3cm 위까지 삽입하며, 기관절개관은 후두 바로 밑 기관을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삽입합니다. 2. Ambu bag (소생백) 호흡이 없거나 불충분한 사람, 스스로 호흡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약 10L의 고농도 산...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