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5개
-
골로새서 3장 1-11절: 그리스도인의 영적 삶2025.11.161.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부활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리심을 받았음을 강조합니다. 이는 단순한 함께 사는 관계가 아니라 생명이 이어진 관계를 의미합니다.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심을 받은 성도는 죽음에서 해방되었으며, 하나님 우편에 계신 그리스도를 바라봐야 합니다. 이러한 영적 연합은 그리스도인이 계속 살아갈 수 있는 조건이 되며, 예수님이 나타나실 때 우리도 그와 함께 영광 중에 나타날 것입니다. 2. 위의 것을 추구하는 그리스도인의 시야 그리스도인의 특징은 위의 것을 찾는 사람들이라는 점입니다. 하늘에서 생명을 ...2025.11.16
-
골로새서 3:12-4:1 - 그리스도인의 삶과 관계2025.11.161. 그리스도인의 신분과 덕목 바울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이 택하신 거룩하고 사랑받는 자로서 긍휼, 자비, 겸손, 온유, 오래 참음을 옷 입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덕목들은 서로 용납하고 피차 용서하는 실천으로 나타나며, 모든 것 위에 사랑을 더함으로써 온전하게 매는 띠가 됩니다. 그리스도의 평강이 마음을 주장하게 하고 감사하는 자가 되어야 함을 권면합니다. 2. 그리스도의 말씀과 지혜 그리스도의 말씀이 성도 속에 풍성히 거하여 모든 지혜로 피차 가르치며 권면하고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를 부르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찬...2025.11.16
-
김세윤 <바울복음의 기원> 독후감&서평2025.04.281. 바울의 회심 전 모습 바울은 이스라엘의 베냐민 지파 사람으로 다소에서 태어나 예루살렘에서 자라고 교육을 받았다. 그는 바리새파 중에서도 가장 엄한 Shammai학파에 속했으며 율법과 유대의 전통에 대한 극도의 열의를 지니고 있었다. 이런 열심이 바울을 오히려 교회를 핍박하는 자로 만들었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인들이 나사렛 예수를 하나님이 부활시키시고 높이신 메시야라고 선포한 것과 그리스도인들이 예수의 이름으로 율법과 성전의 의식을 공격하였기 때문이었다. 2. 바울의 다메섹 도상 경험 박해를 위하여 그리스도인들을 추격하던 바울...2025.04.28
-
빌레몬서 1장 1-16절 설교2025.11.161. 바울의 옥중 사역과 빌레몬의 사랑 바울은 그리스도 예수를 위해 갇힌 상태에서 여러 교회로부터 지원을 받습니다. 빌레몬은 자신의 노예 오네시모를 바울의 필요를 공급하기 위해 파송합니다. 바울은 빌레몬의 사랑과 믿음, 그리고 성도들의 마음을 평안하게 한 그의 헌신에 감사합니다. 빌레몬의 이름은 '사랑함'을 의미하며, 바울은 이러한 덕목을 통해 오네시모에 대한 결단을 촉구합니다. 2. 오네시모의 회심과 신분 변화 오네시모는 빌레몬의 노예였으나 감옥에서 바울을 섬기던 중 예수를 믿게 됩니다. 바울은 그를 '갇힌 중에 낳은 아들'이라 ...2025.11.16
-
기독교교육과 영성이란 책에서 '6장 기독교영성'의 부분 요약 정리2025.04.261. 기독교 여정 성경 속 아브라함과 사라, 출애굽기의 이야기를 통해 기독교 여정을 묵상할 수 있다. 이들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고향을 떠나 여행을 이어가지만, 인간적인 의심과 불안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우리의 인생 여정에서도 발견되는 모습이며, 실망하지 않고 하나님의 언약을 믿으며 여정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2. 천로역정 존 번연이 집필한 소설 '천로역정'은 기독교인의 순례 여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주인공 크리스찬은 멸망하는 도성을 떠나 거룩한 곳으로 향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거짓 순례자들을 만나지만 전도자, 조...2025.04.26
-
에스더가 왕후가 되기까지의 과정2025.01.241. 에스더의 선발과 왕후 등극 에스더가 왕궁에 이끌려 가서 궁녀를 주관하는 헤개의 수하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곳에 있었지만,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왕의 눈에 띄게 되었고 결국 왕후가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에스더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순종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하나님이 그녀를 먼저 주목하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하나님의 은혜와 함께하심 에스더가 왕후가 되는 과정에서 하나님의 은혜와 함께하심이 드러납니다. 그녀가 왕의 눈에 띄고 사랑받게 된 것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였습니다. ...2025.01.24
-
사도행전 20장 17-272025.01.181. 바울의 고별 설교 바울은 밀레도에서 사람을 에베소로 보내어 교회 장로들을 불렀습니다. 이는 자신이 떠나면 에베소와 소아시아의 그리스도인들을 책임져줄 사람들이 에베소의 장로들이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그 장로들에게 아시아의 그리스도인들을 잘 보살펴달라고 마지막으로 당부하기 위해서 그들을 불렀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에베소가 속해 있는 아시아(터키)에 온 이후로부터 자신이 어떻게 살아왔는지 '여러분도 아는 바니'라고 고별설교를 시작합니다. 2. 바울의 사역 바울은 유대인들의 온갖 모함으로 인한 시련에도 불구하고 모든 겸손과 눈물로 주...2025.01.18
-
사사기 13장 19-25절 새벽설교: 삼손의 탄생과 영적 소명2025.11.111. 삼손의 탄생과 나실인의 소명 마노아 부부에게 하나님의 사자가 나타나 아들을 주겠다는 약속을 전합니다. 제단에서 불꽃이 하늘로 올라가며 여호와의 사자가 나타나는 기적을 통해 마노아는 그가 여호와의 사자임을 깨닫습니다. 아내의 침착한 믿음으로 두려움을 극복하고 삼손이라는 이름의 아들을 낳게 됩니다. 삼손은 '해, 밝은 빛'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구원을 상징하는 나실인으로 구별되어 살게 됩니다. 2. 마노아의 아내의 영적 분별력과 믿음 마노아의 아내는 남편의 두려움 앞에서 침착한 말로 안정시킵니다. 하나님이 죽이려 하셨다면 번제와 소...2025.11.11
-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의 의미와 제자들의 모범2025.01.221.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의 대속적 의미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은 성경 전체에서 구원의 핵심 메시지를 담고 있다. 특히 미가복음 10장 45절에서 그는 자신의 죽음을 '많은 사람을 위한 대속물'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대속물'이라는 개념은 구약 성경에서 종종 등장하는 개념으로, 죄를 지은 자를 대신하여 죄의 대가를 치르기 위한 희생제물을 가리킨다. 예수는 자신을 인간의 죄를 위한 대속물로 제시하였고, 이는 그가 단순한 예언자나 성인이 아니라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희생양임을 나타낸다. 2. 제자들과 신자들에게 주는 모범으...2025.01.22
-
그리스도인의 영적 전쟁: 좋은 병사로서의 신앙생활2025.11.161. 영적 전쟁과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디모데후서 2장 1-3절을 중심으로 신앙생활이 영적 전쟁임을 강조합니다. 그리스도인은 마귀를 적으로 하는 영적 전투의 최전선에 있는 병사입니다. 에베소서 6장 12절에서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통치자들, 권세들, 어둠의 세상 주관자들, 악의 영들을 상대함을 명시합니다. 그리스도인은 자신이 세상 사람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 아래의 병사임을 인식하고 절대 순종해야 합니다. 2. 신앙의 전승과 제자 삼기 디모데후서 2장 2절은 신앙의 세대 간 전승을 강조합니다. 사도 바울이 디모...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