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간호학과 성인 실습, 혈흉 hemopneuomohorax 문헌고찰 & 케이스2025.01.031. 호흡기계의 구조 및 기능 호흡기계는 상부기도와 하부기도로 나뉘며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산물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 제거와 산-염기 균형, 발성, 후각, 체액균형, 체온조절 등의 역할을 한다. 상부기도는 코, 부비동, 인두, 후두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기도는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허파(폐)로 구성되어 있다. 폐는 우리가 들이마신 공기 중의 산소를 혈액 속으로 받아들이고, 혈액 속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2. 기흉 기흉은 일명 공기가슴증이라 하며, 장측 혹은 벽측가슴막(흉막)의 손상으로 인...2025.01.03
-
[A+보장]성인간호학실습 마취 회복실 기흉(Pneumothorax)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2025.01.241. 기흉의 개념 폐는 정상적으로 두 겹의 흉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흉막 사이에는 약 10~15cc의 흉수가 있고 공기는 없는 것이 정상이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공기 주머니에 해당되는 기포가 파열되어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 공기가 흉막 안으로 들어가 폐의 일부분이 함몰되는 것이 기흉이다. 2. 기흉의 원인 폐의 일부가 약해지면서 폐 표면에 작은 기포들 즉 폐 기포(Bulla)가 형성되고 그 기포의 파열로 폐 속의 공기가 늑막강내로 유출되어서 생긴다. 기포파열의 원인으로는 폐의 신축, 이완 작용과 신체 활동에 따른 폐...2025.01.24
-
기흉(폐허탈) 스터디 케이스2025.11.171. 기흉의 정의 및 분류 기흉은 가슴막 안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또는 전체가 허탈된 상태입니다. 자발공기가슴증은 호흡기도가 파열되어 공기가 가슴막 안으로 들어가는 폐쇄공기가슴증이며, 외상성 공기가슴증은 가슴벽의 외상성 상처를 통해 공기가 들어가는 개방성 공기가슴증입니다. 자발공기가슴증이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2. 기흉의 원인 및 증상 기흉은 가슴막 천자 실패, 가슴 수술 중 외상, 양압 환기로 인한 압력외상으로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은 흉통과 호흡곤란이며, 흉통은 운동과 무관하게 발생하고 보통 24시간 이내에 사라집니...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