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우리나라의 고대시가2025.05.091. 고대시가 우리나라의 고대시가에는 고조선 시대의 작품인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를 비롯하여 고구려 유리왕의 작품인 황조가(黃鳥歌), 가야국의 시가인 구지가(龜旨歌), 백제의 시가인 정읍사가 있습니다. 고조선 시대의 작품인 공무도하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시가라고 할 수가 있고요 고구려 유리왕의 작품인 황조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정시입니다. 2. 공무도하가 공무도하가는 중국 후한의 채옹이 펴낸 금조에 채록되어 내려오는 고대가요인데요 백수 광부의 아내가 지었습니다. 진(晋) 나라 최표가 지은 고금주(古今注)라는 책에는 공무도하가와 관련한...2025.05.09
-
고전시가 황조가2025.01.121. 황조가 황조가는 우리의 고대가요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세련된 서정가요(서사시)로 전해지고 있다. 이 노래는 고구려 제2대 유리왕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왕비 송씨가 세상을 떠나자 왕은 화희와 치희를 계비로 맞아들였는데, 두 여인이 왕의 사랑을 두고 다투어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왕은 이 상황을 보며 느낀 바 있어 이 노래를 불렀다. 이 노래는 서정적이고 애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객관적 상관물(꾀꼬리)을 매개로 사랑하는 임을 잃은 슬픔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 노래는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서정 시가이자 집단 가요...2025.01.12
-
고대 가요2025.01.281. 고대 가요 고대 부족국가 시대에서 삼국시대 초기까지 불린 고전 시가를 말하는데요. 향가가 나타나기 이전에 있었던 작품들을 말합니다. 고대 가요들은 삼국사기를 비롯하여 삼국유사, 악학궤범 등에 실려서 전해지고 있습니다. 고대가요에는 공무도하가를 비롯하여 황조가와 정읍사, 구지가, 해가, 속박물지, 숙세가 등이 있습니다. 2. 공무도하가 공무도하가는 백수광부의 아내가 지은 고대가요인데 금조, 고금주 등에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공무도하가는 기록상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시입니다. 3. 황조가 황조가는 고구려의 유리왕이 지었는데 삼국...2025.01.28
-
고구려 2대왕 유리왕과 황조가2025.11.121. 유리왕의 두 후실 고구려 2대왕 유리왕은 왕비 송씨가 죽은 후 화희와 치희 두 명의 희(姬)에게 장가들었습니다. 화희는 골천인이었고 치희는 한인이었습니다. 두 여인이 총애를 받으려고 다투자 유리왕은 동서에 두 궁을 지어 그들을 살게 했습니다. 유리왕이 사냥을 나가 7일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자 두 여인이 서로 질투하다가 화희가 치희를 꾸짖었고, 치희는 부끄러워 도망쳐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2. 황조가 황조가는 유리왕이 치희를 잃은 후에 지은 4언시입니다. 원문은 '翩翩黃鳥 雌雄相依 念我之獨 誰其與歸'이며, 우리말로는 '펄펄 나는...2025.11.12
-
고대시가: 황조가, 서동요, 정읍사2025.11.121.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이 지은 시가로, 암수 꾀꼬리가 서로 의지하는 모습을 보고 외로운 자신의 처지를 노래한 작품입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유리왕이 두 후실 사이의 불화로 인해 치희가 도망친 후, 나무 아래에서 꾀꼬리를 보며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원문은 한문으로 되어 있으며 현대역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2. 서동요 백제의 시가로, 선화공주와 서동(薯童)의 사랑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삼국유사에서는 백제 30대 무왕의 작품이라 주장하나, 역사학자 이병도는 동성왕의 작품이라 주장합니다. 서동요의 작자에 대해 원효의 쇼뚱노래설...2025.11.12
-
고구려 유리왕의 통치와 국내성 천도2025.11.121. 유리명왕의 통치 유리명왕은 주몽에 이어 고구려 2대 왕으로 기원전 19년부터 서기 18년까지 37년간 통치했습니다. 그는 대외적 팽창을 펼치며 부여와 선비를 공격하고 왕망의 신나라와 맞서면서 고구려의 위상을 강화시켰습니다. 유리명왕 시기는 고구려 초기 발전의 중요한 시기였으며, 국가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 국내성 천도 유리명왕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고구려의 수도를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옮긴 것입니다. 제사용 돼지가 도망가는 사건을 계기로 설지의 건의에 따라 국내성으로 천도했으며, 고구려는 서기 425년까...2025.11.12
-
유리왕과 황조가 요약2025.05.071. 유리왕과 황조가의 관계 삼국시대 설화문학 유리왕과 황조 노래 요약. 유리왕 작자설, 황조가의 배경담, 유리왕과 황조가의 관계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2. 삼국사기의 신빙성 삼국사기에 기록된 유리왕 관련 내용의 신뢰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삼국사기의 불완전성과 '신라 제일주의' 특성으로 인한 편향성 등을 지적하고 있다. 1. 유리왕과 황조가의 관계 유리왕과 황조가의 관계는 삼국사기에 기록된 바와 같이 복잡하고 긴장관계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유리왕은 고구려의 건국 시조로 알려져 있으며, 황조가는 고구려 건국 초기 중요한 역할...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