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실내화재의 성상을 전실화재이전단계(pre-flashover fires)와 전실화재이후단계(post-flashover fires)로 구분하여 설명2025.04.281. 화재 화재는 연소현상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실내화재는 화염의 크기나 진행시간에 관계없이 몇 단계의 패턴이 공통적으로 발생한다. 화재의 성상이 계속 일어나게 되면 플래시오버가 생겨나며 화재를 진압하다가 백드리프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2. 플래시오버 플래시오버는 실내의 국소화재로부터 실내 모든 가연물 표면이 연소하는 대화재로 전이되어 연소하는 현상이다. 주로 화재의 성장기에서 최성기에 발생한다. 플래시오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재실의 개구부 크기 및 모양을 제한해야 하며 화재실 내의 가연물의 양을 제한해야 한다. 3. ...2025.04.28
-
플래시오버 전후의 실내화재 성상2025.01.221. 전실화재 이전 단계 실내화재는 초기 → 성장기 → 최성기 → 감쇄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초기는 무염착화가 이루어지는 작열연소 단계로, 주로 백색 연기가 발생한다. 발염착화가 이루어지면 불꽃연소가 시작되고 점차 화재가 성장한다. 성장기에는 불꽃이 커지면서 내장재에 착화되고 화재 플럼이 상승하여 천장을 따라 퍼지는 제트 플로우가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복사열이 축적되다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전실화재가 발생한다. 2. 전실화재 이후 단계 전실화재 이후부터 연소낙하의 시작까지를 최성기라 한다. 이 기간에는 불꽃이 소용돌이치며 모든 ...2025.01.22
-
실내화재의 성상: 전실화재 이전·이후 단계 분석2025.11.121. 성장단계(전실화재이전단계) 발화 직후 화염이 형성되고 주위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기 시작한다. 구획실의 벽과 천장에 의해 화염이 급속히 영향을 받으며, 가연물의 위치에 따라 흡입 공기량과 화염온도가 결정된다. 벽 근처의 가연물은 적은 공기를 흡수하고 높은 화염온도를 지니며, 구석의 가연물은 더욱 적은 공기를 흡수하고 가장 높은 화염온도를 지닌다. 뜨거운 가스가 상승하여 천장에 부딪친 후 벽으로 퍼지면서 가스층의 두께가 증가한다. 이 단계는 '통제된 가연물' 상황으로, 가연물과 산소가 충분하면 지속된다. 2. 성숙화재단계(전실화...2025.11.12
-
건축물 구조별 화재성상 특징 및 화재발생 특성2025.11.171. 건축물 구조의 종류와 화재성상 건축물 구조는 화재 발생 시 화재의 퍼짐 정도와 화재 대응에 큰 영향을 미친다. 철골구조는 높은 내구성과 강도로 화재 저항력이 높지만 고온에 노출되면 강도가 감소하여 붕괴 가능성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높은 내화성과 내구성으로 화재 저항력이 높으나 내부 강철재가 노출되면 붕괴 위험이 있다. 경량강구조도 고온 노출 시 강도 감소로 붕괴 가능성이 있다. 건축물 구조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화재 대비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목조 건축물의 화재발생 특성 목조 건축물은 목재가 주로 사용...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