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부정기선 운송2025.01.201. 해상 부정기선 운송의 의의 해상 부정기선운송은 정기선운송과는 달리 운항일자나 항로가 일정하지 않고, 화물의 수요에 따라 화주가 요구하는 시기와 항로에 해운서비스나 선복(Ship's Space)을 제공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이다. 부정기선운송의 대상화물은 광석, 곡물류, 목재, 비료 등과 같이 비교적 운송량이 많고, 운임부담능력이 적은 산화물(Bulky Cargo)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2. 해상 부정기선운송의 특성 1) 항로선택의 자유성: 부정기선운송은 정기선운송과 같이 정해진 항로를 운항하는 것이 아니라, 화주의 요구와 ...2025.01.20
-
COVID-19 전후 컨테이너 운임지수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해운 네트워크 변화를 중심으로2025.04.281. COVID-19 전후 컨테이너 운임지수 변화 분석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컨테이너선 운임이 급등했으나, 최근 다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SCFI 운임지수를 활용하여 COVID-19 이전과 이후의 컨테이너 운임지수 변화를 분석하고, 그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향후 운임 변화 추세를 예측하고 해운업계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해운 네트워크 변화 분석 해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COVID-19 팬데믹이 해운 네트워크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높...2025.04.28
-
환경규제에 따른 저유황 연료유 사용의 영향2025.11.131. 황산화물 배출규제 및 선사 대응방식 국제해사기구(IMO)는 2020년부터 국제항로 선박의 연료유 황함유량을 3.5%에서 0.5% 이하로 규제하기로 결정했으며, 국내법은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국내 선사들은 저유황유 도입, 스크러버 장착, LNG 추진선 도입 등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선령이 높거나 소형 선박의 경우 스크러버 설치의 기술적 문제와 화물적재 공간 제약으로 인해 대부분 저유황유를 선택하고 있다. 2. 저유황유 수급 및 가격 전망 세계 선박연료 수요는 전체 연료 수요의 7% 수준이며, 고유황유(HSFO)는...2025.11.13
-
글로벌 해운기업의 ESG 경영 사례 분석2025.11.131. ESG 경영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기업들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환경, 사회, 지배구조 관련 평가항목을 구성하고 평가하고 있다. 투자자와 소비자들은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는 기업에 투자하지 않고 상품을 구매하지 않으므로, 기업들은 ESG 경영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ESG 경영 이행은 기업이 당면한 주요 리스크로 규정되고 있다. 2. 해운산업 탄소 배출 해운산업은 항공기, 기차, 자동차 등 다른 운송수단보다 탄소 배출량이 훨씬 많다. 지구온난화 가속화로 전 지구적 탄소중립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해사기구는 해운산업...202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