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한국어 교육 초급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어미 '-는데'의 문법 수업 지도안 구성2025.04.291. 한국어 교육 초급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어미 한국어 교육 초급 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어미에는 '-습니다/요', '-어/아요', '-ㅂ니다/ㅂ니까', '-네요', '-군요', '-는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는데'는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 기능을 가지고 있어 초급 학습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종결어미이다. 2. '-는데'의 의미 및 기능 '-는데'는 이유 제시 기능이 있으며, '-(으)니까'와 대치 가능하다. 하지만 단순히 이유의 기능으로만 가르치면 중급 및 고급 단계에서 적절하지 않은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2025.04.29
-
PPP 모형에 대한 특징 및 초급 과정의 말하기 수업 설계2025.04.301. PPP 모형 PPP 모형은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생산(Production)'의 3단계로 구성되며, 언어 학습을 습관 형성의 과정으로 보고 교사가 학습 목표가 되는 언어 항목을 제시하면 학습자들이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강화하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학습 활동이다. PPP 모형의 장점은 수업 설계가 쉽고 수업 목표가 분명하여 평가가 확실하지만, 목표어를 분절된 단위로 나누어 교수하고 기계적인 연습에 치중한다는 단점이 있다. 2. 초급 PPP 모형의 수업 설계 초급 PPP 모형의 수업은 '도입 ...2025.04.30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 교육론 - PPP 모형에 대한 특징 및 초급 과정 말하기 수업 설계2025.01.031. PPP 모형 PPP 수업 모델은 '제시 → 연습 → 발화'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영어 교수 방법입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언어적 지식은 연속적인 연습을 통해 기술이 되고, 이를 통해 언어가 학습됩니다. 수업은 교사의 주도하에 진행되며 정확성에 초점을 맞추지만, 결과적으로 학습자들은 정확성과 유창성을 모두 학습하게 됩니다. PPP 모델의 장점은 교사의 통제 하에 진행되어 부담감이 적고, 평가가 용이하다는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학습자들이 목표 언어 항목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부자연스러운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실제 ...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