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고혈압(PIH) 케이스 간호과정
2025.11.14
1. 임신성 고혈압의 정의 및 진단 기준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는 고혈압성 증후군으로, 특별한 원인 없이 고혈압, 단백뇨, 부종을 동반한다. 진단 기준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이거나, 임신 초기 대비 수축기 혈압 3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15mmHg 이상 상승하는 경우이다. 자간전증은 초산부, 특히 10대나 35세 이상 초산부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2. 임신성 고혈압의 분류
임신성 고혈압은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임신성 고혈압(단백뇨나 부종 없음, ...
2025.11.14